KR101613053B1 -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053B1
KR101613053B1 KR1020150181012A KR20150181012A KR101613053B1 KR 101613053 B1 KR101613053 B1 KR 101613053B1 KR 1020150181012 A KR1020150181012 A KR 1020150181012A KR 20150181012 A KR20150181012 A KR 20150181012A KR 101613053 B1 KR101613053 B1 KR 10161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ifting
elevation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하
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47B2009/04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47B2009/065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having rack and pin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8Control consoles or des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판의 높이 조절과정에 있어 소음을 최소화하고 양측 다리부의 승강이 다르게 동작시 동작이 차단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데스크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 상기 양측 다리부의 상측 데스크프레임에 구비되어 다리부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SMART Height-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작업판의 높이 조절과정에 있어 소음을 최소화하고 양측 다리부의 승강이 다르게 동작시 동작이 차단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스크는 사용자가 사무작업 또는 조립작업, 회의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일정높이의 작업판을 갖는다.
이러한 데스크는 판상의 작업판을 갖는 작업판과 상기 작업판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데스크받침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판의 높이가 일정 높이로 되는 데스크를 이용한 작업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데스크를 이용하여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면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게 되고,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압박이 장시간 동안 이루어져 소화불량 및 비뇨기관련 질환의 발생 등과 같은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장시간 앉아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통하여 발생하는 직업병은 산업화와 정보화의 발달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52690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스크가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게 되면 하체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고, 복부 및 엉덩이 부분의 압박이 장시간 동안 이루어져 소화불량 및 비뇨기과 질환의 발생 등과 같은 직업병을 유발하는 문제점과, 장시간 앉아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통하여 발생하는 직업병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스크에 있어서, 데스크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 상기 양측 다리부의 상측 데스크프레임에 구비되어 다리부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데스크프레임을 작업판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어 폭 조절가능하게 연결프레임에 의하여 결합되는 다리프레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다리부를 승강구동부의 구동하우징의 하부 외측에서 돌출형성된 고정다리와 고정다리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하단에 발판이 결합되는 지지다리, 상기 고정다리와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다리, 상기 지지다리와 연결다리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다리캡, 상기 고정다리와 연결다리의 하단 측 외면에 구비된 윤활패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구동부를 다리프레임의 최 외측에 힌지결합된 구동하우징과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와 축결합된 승강소켓부, 상기 승강소켓부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 상기 승강나사축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 상기 연결승강너트봉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지지다리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컨트롤부를 데스크프레임에 고정되는 컨트롤러하우징과 상기 컨트롤러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원부,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러, 각 승강모터의 동작량을 감지하는 모터동작감지부, 상기 양측 모터동작감지부의 동작감지량을 비교연산하여 양측 승강모터가 불균형동작시 승강컨트롤러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동작비교감지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버튼을 상승과 하강동작이 각기 조작되게 하고 동시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에 승강구동부가 최하위의 위치로 동작시켜 초기 동작위치가 셋팅동작되게 하는 상승동작스위치 및 하강동작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스크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과 상기 데스크프레임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 상기 양측 다리부의 상측 데스크프레임에 구비되어 다리부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데스크프레임이 작업판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어 폭 조절가능하게 연결프레임에 의하여 결합되는 다리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크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다리부를 승강구동부의 구동하우징의 하부 외측에서 돌출형성된 고정다리와 고정다리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하단에 발판이 결합되는 지지다리, 상기 고정다리와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다리, 상기 지지다리와 연결다리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다리캡, 상기 고정다리와 연결다리의 하단 측 외면에 구비된 윤활패드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다리에 의하여 다리부가 측 방향의 굽힘력을 유지하는 효과를 가지며 다리캡과 윤활패드에 의하여 각 다리의 유동이 최소화되고 상하 승강이 부드럽고 조용히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승강구동부를 다리프레임의 최 외측에 힌지결합된 구동하우징과 상기 구동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와 축결합된 승강소켓부, 상기 승강소켓부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 상기 승강나사축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 상기 연결승강너트봉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지지다리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으로 구성함으로써, 연결승강너트봉과 지지승강너트봉이 승강나사축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결합된 상태의 길이가 줄어들거나 늘어나도록 이루어져 다리부의 길이 조절이 부드럽고 균형을 이루게 동작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승강컨트롤부를 데스크프레임에 고정되는 컨트롤러하우징과 상기 컨트롤러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원부,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러, 각 승강모터의 동작량을 감지하는 모터동작감지부, 상기 양측 모터동작감지부의 동작감지량을 비교연산하여 양측 승강모터가 불균형동작시 승강컨트롤러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동작비교감지부로 구성함으로써, 컨트롤러에 의한 승강모터의 동작이 명확하게 제어되는 효과를 가지고, 모터동작감지부와 동작비교감지부에 의하여 다리부의 불균형 승강을 감지하여 다리부의 불균형 승강으로 인한 데스크 전복과 같은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조작버튼을 상승과 하강동작이 각기 조작되게 하고 동시조작에 의하여 컨트롤러에 승강구동부가 최하위의 위치로 동작시켜 초기 동작위치가 셋팅동작되게 하는 상승동작스위치 및 하강동작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컨트롤러에 사용자의 조작신호가 명확하게 입력되고 별도의 세팅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세팅조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다리부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일측 다리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구동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일측 다리부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연결다리와 연결승강너트봉의 하부 체결 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지지승강너트봉의 하부 구성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다리부의 상부 구성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연결승강너트봉과 지지승강너트봉의 체결 구성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연결승강너트봉의 체결 구성 평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컨트롤러하우징의 구성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도록 하고, 작업판의 높이 조절과정에 있어 소음을 최소화하고 양측 다리부의 승강이 다르게 동작시 동작이 차단되게 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데스크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120)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210), 상기 양측 다리부(210)의 상측 데스크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다리부(210)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510)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은 작업판(1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어 폭 조절가능하게 연결프레임(111)에 의하여 결합되는 다리프레임(112)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다리프레임(112)은 양측으로 작업판(120)과 피스 결속할 수 있게 "ㄱ"형 선재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11)과의 결합부 측에는 "ㄷ"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11)은 "ㄷ"형으로 형성된 다리프레임(112)의 결합부의 내측으로 결합되게 양측에 "ㄷ"형 선재가 결합되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210)는 승강구동부의 구동하우징(310)의 하부 외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사각관체로 형성된 고정다리(211)와 고정다리(211)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하단에 발판(212a)이 결합되며 사각관체로 형성된 지지다리(212), 상기 고정다리(211)와 지지다리(212) 사이에 구비되며 사각관체로 형성된 연결다리(213), 상기 지지다리(212)와 연결다리(213)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다리캡(214), 상기 고정다리(211)와 연결다리(213)의 하단 측 외면에 구비된 윤활패드(215)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다리캡(214)과 윤활패드(215)는 수납되는 각 다리를 이점 지지하여 유동과 소음이 최소화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윤활패드(215)는 내면에 끼움돌기(362c)를 형성하여 다리부재에 형성된 결속공에 끼움 결합되며 외면에 윤활유가 함침 도포된 패드부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다리프레임(112)의 최 외측에 힌지 결합된 구동하우징(310)과 상기 구동하우징(310)에 고정설치되는 승강모터(320), 상기 승강모터(320)와 축결합된 승강소켓부(330), 상기 승강소켓부(330)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340), 상기 승강나사축(340)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213)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350),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340)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36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의 구동하우징(310)은 직사각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판(120)의 중앙 측 단부 양측이 다리프레임(112)에 힌지핀(312)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어 작업판(120)의 내측으로 절첩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하우징(310)의 힌지핀(312) 반대 측이 다리프레임(112)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구속핀(313)에 의하여 구동하우징(310)이 힌지핀(312)을 지점으로 회전 제한되게 다리프레임(112)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핀(312)과 구속핀(313)은 승강모터(320) 동작과정에 진동 감쇠를 위하여 각기 힌지완충링(312a)과 구속완충링(313a)을 매개로 다리프레임(112)에 끼워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속핀(313)에는 양측 다리부(210)의 승강 동작과정에 일 측 다리부(210)에 편향적 동작에 의한 데스크의 전복이 방지되게 일측 다리에 과도한 회전모우멘트가 작용시 절단되게 하는 토크절단홈(313b)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하우징(310)의 고정다리(211) 상부 측에는 승강나사축(340)의 상단을 베어링 지지하는 나사봉축지부(31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320)는 구동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승강소켓부(330)는 승강모터(320)와 전동결속되며 승강나사축(340)과 각축결합되어 상기 승강나사축(34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강소켓부(330)는 승강나사축(34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각축(34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각축(34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속너트(341a)에 의하여 결속되는 금속재질의 소켓각축(332)과 상기 소켓각축(332)을 상하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 수용하며 진동이 흡수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수지소켓홈(331)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기 승강나사축(340)은 봉체 전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승강소켓부(330)에 결속되는 연결각축(34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각축(341)의 단부에는 나사 결합되는 결속너트(341a)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승강나사축(340)은 하단에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서 결합되어 지지승강너트봉(360)의 강성을 높이고 승강나사축(340)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나사 결속되는 지지고정봉(34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은 내면에 스플라인홈(371)이 형성된 중공 봉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상단에 승강나사축(340)과 나사 결합되어 다리부(210)에 상하 승강력을 부여하는 연결너트부(35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단 외면에 연결다리(213)의 하단에 결속되는 연결봉고정구(35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고정구(352)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지지승강너트봉(360)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유지되게 지지하는 내벽지지돌기(35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의 상기 지지승강너트봉(360)은 상단에 승강나사축(340)이 나사결합되어 다리부(210)에 상하 승강력을 부여하는 지지너트부(36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너트부(361)는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스플라인결합수단은 지지너트부(361)의 외면에 형성한 스플라인돌기(372)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승강너트봉(350)의 내면에 형성한 스플라인홈(371)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지지승강너트봉(360)은 하단이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는 지지다리(212)와 결속되는 지지마감캡(36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마감캡(362)은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서 끼워 결합되며 지지승강너트봉(360)에 형성한 결속공에 걸림 결속되는 마감걸림돌기(362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마감캡(362)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키결합공에 결합되어 결속공에 결속된 마감걸림돌기(362a)가 내측으로 수축되지 않게 지지하여 지지마감캡(362)이 견고하게 결속되게 하는 마감캡키(362b)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마감캡(362)에는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끼움 결합하는 두 개의 끼움돌기(362c)가 형성되고 지지다리(212)의 하단에서 관통된 피스가 결합되는 지지피스공(362d)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컨트롤부는 데스크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컨트롤러하우징(410)과 상기 컨트롤러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원부(420),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320)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러(430), 각 승강모터(320)의 동작량을 감지하는 모터동작감지부(441), 상기 양측 모터동작감지부(441)의 동작감지량을 비교연산하여 양측 승강모터(320)가 불균형 동작시 승강컨트롤러(430)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동작비교연산부(442)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컨트롤러하우징(410)은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데스크프레임(110)의 중앙부 측에서 작업판(12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상기 전원부(42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승강컨트롤러(430)와 승강모터(320)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상기 승강컨트롤러(4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부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와 승강모터(3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320)를 상승동작과 하강동작, 세팅동작 및 정지동작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모터동작감지부(441)는 승강컨트롤러(430)에 의하여 동작되는 승강모터(320)의 동작감지량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감지량 감지는 승강모터(320)로 공급되는 전원 동작부하 즉 동작전류를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동작감지부(441)는 승강컨트롤러(430)에 의하여 동작되는 승강모터(320)의 동작감지량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작감지량 감지는 승강모터(320)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동작비교연산부(442)는 각 승강모터(32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모터동작감지부(441)에서 입력되는 동작감지량을 비교 연산 감지하여 일정시간 약 0.5~3초 사이에 양측 승강모터(320)가 불균형동작시 승강컨트롤러(430)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여 승강모터(320)가 정지 동작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버튼(510)은 유선으로 승강컨트롤부에 전기적 조작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그 조작이 용이하게 작업판(120)의 전면 하부 측에 장착실시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버튼(510)는 무선으로 승강컨트롤부에 전기적 조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무선리모컨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데스크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120)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210), 상기 양측 다리부(210)의 상측 데스크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다리부(210)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러(430)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510)으로 구성하여 실시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판(120)의 높이를 기립작업높이와 착석작업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장시간 앉은 상태의 작업으로 인한 혈액순환 저하 및 관절 염증 유발이 방지되게 하여 앉은 상태 작업으로 인한 직업병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을 작업판(1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어 폭 조절가능하게 연결프레임(111)에 의하여 결합되는 다리프레임(112)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데스크프레임(110)의 길이를 조정하여 작업판(120)의 크기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다리프레임(112)의 연결프레임(111)과의 결합부 측에는 "ㄷ"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11)을 "ㄷ"형으로 형성된 다리프레임(112)의 결합부의 내측으로 결합되게 양측에 "ㄷ"형 선재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연결프레임(111)에 의하여 길이의 조작이 "ㄷ"형으로 이루어진 다리프레임(112)의 결합부와 "ㄷ"형 선재로 형성된 연결프레임(111)에 의하여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다리부(210)를 승강구동부 구동하우징(310)의 하부 외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사각관체로 형성된 고정다리(211)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고정다리(211)가 구동하우징(3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그 지지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다리(211)와 지지다리(212)가 연결다리(213)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다리부(210)의 높이 조절에 따른 승강과정에 있어 상호 겹침에 의하여 승강 동작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다리(212)와 연결다리(213)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다리캡(214)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다리(211)와 연결다리(213)의 하단 측 외면에 윤활패드(215)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겹침되는 각 다리가 이점 접촉되어서 슬라이딩 동작되어 그 동작과정에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윤활패드(215)에 의하여 윤활이 이루어져 그 동작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윤활패드(215)에 의하여 다리의 외면에 윤활된 윤활제가 다리캡(214)의 내벽에 의하여 스크레이핑되어 슬라이딩 돌출되는 다리 외면에 윤활유 잔류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승강구동부를 승강모터(320)와 축 결합된 승강소켓부(330)와 상기 승강소켓부(330)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340), 상기 승강나사축(340)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213)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350),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340)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360)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승강나사축(340)과 결합된 연결승강너트봉(350)과 지지승강너트봉(360)에 의하여 연결다리(213)와 지지다리(212)가 균등 수축 팽창되어서 승강 동작이 명확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구동하우징(310)을 직사각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판(120)의 중앙 측 단부 양측이 다리프레임(112)에 끼워 결합되는 힌지핀(312)에 의하여 내측으로 절첩되게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구동하우징(310)이 작업판(120)의 중앙으로 접어져 유통 및 보관시 그 크기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하우징(310)의 고정다리(211) 측 양측에 외력에 의한 구동하우징(31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구속핀(313)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구동하우징(310)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힌지핀(312)과 구속핀(313)에 각기 힌지완충링(312a)과 구속완충링(313a)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승강모터(320)의 동작 또는 승강나사축(340)의 회전과정에 진동이 상기 힌지완충링(312a)과 구속완충링(313a)을 통하여 감쇄되어 승강 동작과정에 있어 소음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속핀(313)에 토크절단홈(313b)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양측 다리부(210)의 승강 동작과정에 일 측 다리부(210)에 많은 편향적인 외력이 작용시 상기 구속핀(313)은 토크절단홈(313b)을 중심으로 절단되면서 구동하우징(310)이 작업판(120)의 중앙으로 절곡되어 데스크의 전복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하우징(310)의 고정다리(211) 상부 측에 승강나사축(340)의 상단을 베어링 지지하는 나사봉축지부(311)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승강나사축(340)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상기 승강소켓부(330)를 승강나사축(340) 연결각축(341)에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소켓각축(332)과 상기 소켓각축(332)을 상하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결합 수용하는 수지소켓홈(331)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승강소켓부(330)의 회전동작에 따른 승강나사축(340)의 회전동작에 있어 상기 소켓각축(332)이 수지소켓홈(331)에서 상하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회전되고 진동이 흡수되어 동작과정의 소음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상기 승강나사축(340) 전체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상단에 승강소켓부(330)에 결속되는 연결각축(341)을 형성하여 실시하면, 회전동작에 의한 다리부(210)의 승강이 명확하게 이루어지고 승강소켓부(330)와의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승강나사축(340)은 하단에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서 결합되어 지지승강너트봉(360)의 강성을 높이고 승강나사축(340)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나사 결속되는 지지고정봉(342)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을 중공봉으로 구성하고, 상단에 연결너트부(351)를 형성하며, 하단 외면에 연결봉고정구(352)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봉고정구(352)에 내벽지지돌기(352a)를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상기 연결너트부(351)가 승강나사축(340)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 승강 되면서 연결봉고정구(352)에 의하여 결속된 연결다리(213)를 상하 승강 동작시키며, 상기 연결봉고정구(352)의 내벽지지돌기(352a)가 지지승강너트봉(360)과의 공극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지지승강너트봉(360)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에 있어 상기 지지승강너트봉(360)을 상단에 지지너트부(361)를 형성하고, 하단이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고정결속되게 구성하며, 상기 지지너트부(361)의 외면에 연결승강너트봉(350)의 내벽에 형성된 스플라인홈(371)과 맞물리는 스플라인돌기(372)로 이루어진 스플라인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승강나사봉의 회전에 따른 지지너트부(361)가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연결승강너트봉(35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승강컨트롤부를 데스크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컨트롤러하우징(410)과 상기 컨트롤러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원부(420),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320)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러(430), 각 승강모터(320)의 동작량을 감지하는 모터동작감지부(441), 상기 양측 모터동작감지부(441)의 동작감지량을 비교연산하여 양측 승강모터(320)가 불균형동작시 승강컨트롤러(430)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동작비교연산부(442)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컨트롤러(430)가 승강모터(320)를 상승동작과 하강동작, 세팅동작 및 정지동작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세팅동작은 사용자가 조작부의 상승동작스위치(511)와 하강동작스위치(512)를 동시 조작하게 되면, 승강컨트롤러(430)가 입력된 동시 조작신호에 따라 승강모터(320)를 제어하여 다리부(210)가 제일 낮은 위치인 세팅 위치로 동작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정지동작은 각 승강모터(320)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모터동작감지부(441)가 사용자의 승강조작에 따른 승강모터(320)의 동작부하 즉 동작전류를 감지하여 어느 하나의 동작전류가 다른 하나보다 일정시간 증가하게 되면 승강모터(320)의 불균형 동작에 따른 다리부(210)의 승강이 다르게 이루어짐으로 판단하여 다리부(210)의 불균형 승강에 따라 데스크가 전복되지 않게 승강모터(32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동작감지부(441)에 의한 동작감지는 승강모터(320)의 회전량 감지를 통하여서도 이루어지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작버튼(510)를 무선리모컨으로 구성하여서 실시하게 되면, 데스크의 승강 조작을 원격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110 : 데스크프레임
111 : 연결프레임 112 : 다리프레임
120 : 작업판
210 : 다리부
211 : 고정다리 212 : 지지다리 212a: 발판 213 : 연결다리
214 : 다리캡 215 : 윤활패드
310 : 구동하우징 311 : 나사봉축지부
312 : 힌지핀 312a: 힌지완충링
313 : 구속핀 313a: 구속완충링 313b: 토크절단홈
320 : 승강모터 330 : 승강소켓부 331 : 수지소켓홈 332 : 소켓각축
340 : 승강나사축 341 : 연결각축 341a: 결속너트 342 : 지지고정봉
350 : 연결승강너트봉 351 : 연결너트부
352 : 연결봉고정구 352a: 내벽지지돌기
360 : 지지승강너트봉 361 : 지지너트부
362 : 지지마감캡
362a: 마감걸림돌기 362b: 마감캡키
362c : 끼움돌기 362d: 지지피스공
371 : 스플라인홈 372 : 스플라인돌기
410 :컨트롤러하우징
420 : 전원부
430 : 승강컨트롤러
441 : 모터동작감지부 442 : 동작비교연산부
510 : 조작버튼
511 : 상승동작스위치 512 : 하강동작스위치

Claims (5)

  1. 데스크에 있어서;
    데스크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작업판(120)과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기 결속되는 다리부(210), 상기 양측 다리부(210)의 상측 데스크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다리부(210)를 승강 동작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부 및 상기 승강컨트롤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버튼(510)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스크프레임(110)은 작업판(120)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구비되어 폭 조절가능하게 연결프레임(111)에 의하여 결합되는 다리프레임(112)으로 구성하며;
    상기 다리부(210)는 승강구동부의 구동하우징(310)의 하부 외측에서 돌출형성되는 사각관체로 형성된 고정다리(211)와 고정다리(211)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하단에 발판(212a)이 결합되며 사각관체로 형성된 지지다리(212), 상기 고정다리(211)와 지지다리(212) 사이에 구비되며 사각관체로 형성된 연결다리(213), 상기 지지다리(212)와 연결다리(213)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다리캡(214), 상기 고정다리(211)와 연결다리(213)의 하단 측 외면에 구비된 윤활패드(215)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다리프레임(112)의 최 외측에 힌지 결합된 구동하우징(310)과 상기 구동하우징(310)에 고정설치되는 승강모터(320), 상기 승강모터(320)와 축결합된 승강소켓부(330), 상기 승강소켓부(330)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340), 상기 승강나사축(340)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213)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350),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340)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지지다리(212)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360)으로 구성하고;
    상기 승강소켓부(330)는 승강나사축(340)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각축(341)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각축(341)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결속너트(341a)에 의하여 결속되는 금속재질의 소켓각축(332)과 상기 소켓각축(332)을 상하 미끄럼 동작이 가능하게 결합 수용하며 진동이 흡수되게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수지소켓홈(331)으로 구성하며;
    상기 승강컨트롤부는 데스크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컨트롤러하우징(410)과 상기 컨트롤러하우징에 구비되는 전원부(420), 승강구동부의 승강모터(320) 동작을 제어하는 승강컨트롤러(430), 각 승강모터(320)의 동작량을 감지하는 모터동작감지부(441), 상기 양측 모터동작감지부(441)의 동작감지량을 비교연산하여 양측 승강모터(320)가 불균형 동작시 승강컨트롤러(430)로 동작정지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동작비교연산부(44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 구동하우징(310)은 직사각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작업판(120)의 중앙 측 단부 양측이 다리프레임(112)에 힌지핀(312)을 매개로 힌지 결합되어 작업판(120)의 내측으로 절첩되게 구성되고,
    상기 구동하우징(310)의 힌지핀(312) 반대 측이 다리프레임(112)의 양측에서 결합되는 구속핀(313)에 의하여 구동하우징(310)이 힌지핀(312)을 지점으로 회전 제한되게 다리프레임(112)결합되고;
    상기 힌지핀(312)과 구속핀(313)은 승강모터(320) 동작과정에 진동 감쇠를 위하여 각기 힌지완충링(312a)과 구속완충링(313a)을 매개로 다리프레임(112)에 끼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핀(313)에는 양측 다리부(210)의 승강 동작과정에 일 측 다리부(210)에 편향적 동작에 의한 데스크의 전복이 방지되게 일 측 다리에 과도한 회전모우멘트가 작용시 절단되게 하는 토크절단홈(31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나사축(340)은 하단에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서 결합되어 지지승강너트봉(360)의 강성을 높이고 승강나사축(340)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나사 결속되는 지지고정봉(342)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구동부 연결승강너트봉(350)은 내면에 스플라인홈(371)이 형성된 중공봉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승강나사축(340)과 나사 결합되어 다리부(210)에 상하 승강력을 부여하는 연결너트부(351)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단 외면에 연결다리(213)의 하단에 결속되는 연결봉고정구(35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고정구(352)의 하단에는 지지승강너트봉(360)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유지되게 지지하는 내벽지지돌기(352a)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구동부 지지승강너트봉(360)은 상단에 승강나사축(340)이 나사결합되어 다리부(210)에 상하 승강력을 부여하는 지지너트부(36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너트부(361)는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50)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스플라인결합수단은 지지너트부(361)의 외면에 형성한 스플라인돌기(372)와 이에 대응되는 연결승강너트봉(350)의 내면에 형성한 스플라인홈(37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는 지지다리(212)와 결속되는 지지마감캡(36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마감캡(362)은 지지승강너트봉(360)의 하단에서 끼워 결합되며 지지승강너트봉(360)에 형성한 결속공에 걸림 결속되는 마감걸림돌기(362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마감캡(362)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키결합공에 결합되어 결속공에 결속된 마감걸림돌기(362a)가 내측으로 밀려들지 않게 지지하여 지지마감캡(362)이 견고하게 결속되게 하는 마감캡키(362b)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컨트롤부의 승강컨트롤러(4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조작부에서 입력되는 조작신호와 승강모터(3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320)를 상승동작과 하강동작, 세팅동작 및 정지동작 제어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데스크.

KR1020150181012A 2015-01-26 2015-12-17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1613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1817 2015-01-26
KR1020150011817 2015-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3053B1 true KR101613053B1 (ko) 2016-04-15

Family

ID=5580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12A KR101613053B1 (ko) 2015-01-26 2015-12-17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42A (ko) * 2018-01-22 2019-07-31 권병운 높이조절책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6B1 (ko) 2015-02-17 2015-08-06 장근대 책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716B1 (ko) 2015-02-17 2015-08-06 장근대 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42A (ko) * 2018-01-22 2019-07-31 권병운 높이조절책상
KR102062443B1 (ko) * 2018-01-22 2020-02-17 권병운 높이조절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327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150765B1 (ko) 교좌장치 교체시 사용되는 전도방지 및 안전을 고려한 교량 인상장치
KR102124694B1 (ko)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US6695751B1 (en) Jogging machine having a jogging platform adjustable and foldable structure
US20140283715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CN205286765U (zh) 一种肾内科用方便病人翻身的多功能病床
KR20100001413A (ko) 높이 조절 가능한 책상
KR101613053B1 (ko)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2016012737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베개
KR20160058560A (ko) 승강테이블
CN208031406U (zh) 一种超低护理床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KR200476511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190089242A (ko) 높이조절책상
KR101386072B1 (ko) 승강 테이블
JP2018064680A (ja) 昇降式座椅子
KR102635812B1 (ko) 의자용 좌판의 자동승강장치
KR10186527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보조 테이블
CN206137617U (zh) 整合式行动桌
KR20130083615A (ko) 승강식 의자
JPH11123108A (ja) 机などの昇降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さ調節式の机
KR20050114596A (ko) 출몰식 캐스터
KR102538493B1 (ko) 다기능 씽크대
CN206289931U (zh) 一种装饰工程施工用自动升降马凳
KR101666763B1 (ko) 모니터 승강장치 및 키보드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