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716B1 -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716B1
KR101542716B1 KR1020150024182A KR20150024182A KR101542716B1 KR 101542716 B1 KR101542716 B1 KR 101542716B1 KR 1020150024182 A KR1020150024182 A KR 1020150024182A KR 20150024182 A KR20150024182 A KR 20150024182A KR 101542716 B1 KR101542716 B1 KR 101542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leg portion
upper plat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5002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47B2009/04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책상은: 레그부와,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레그부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과 레그부를 연결하고, 결속부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강성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DESK}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이 향상됨은 물론,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상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사무를 보거나 독서시 사용하는 가구로써 위판과 다리 및 서랍으로 되어 있다. 예로부터 책상은 받침대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테이블이 있었으나 오늘날의 사무용 책상과 같은 형태로 된 것은 실제로 오래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책상에는 좌식책상과 입식책상이 있다. 좌식은 전통적인 한옥 온돌방용의 독서 필기용이다. 입식은 의자(또는 걸상)와 한 조가 되는 것으로, 보통책상(또는 평책상), 쪽소매책상, 양소매책상, 타자용 책상, 컴퓨터용 책상 등이 있다.
이러한 책상은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레그(leg)등으로 이루어지며,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18117호 (공개일:2014.10.08, 발명의 명칭: 조립식 책상 결합구조)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레그부와 지지프레임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부위를 모듈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운반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고,결속부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강성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레그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판에 접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간격을 설정하는 장착절개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은 상기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승강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그부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상판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레그부의 상단에 일체로 지지강성브라켓이 구비되어 'ㄱ'자 형상의 레그부를 형성할 수 있는 조립부위의 강성을 향상시켜 견고한 책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 또는 작업에 따라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상판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위의 모듈화에 의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조립이 가능하고, 운반시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의 길이에 따라 연결프레임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로 변경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C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C-C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레그부(120), 지지프레임(130), 승강부(160), 구동부(170), 제어부(180) 및 지지강성브라켓(190)을 포함한다.
레그부(120)는 상판(110)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한다. 여기서 상판(110)은 물품을 올려둘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목재,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그부(120)는 상판(11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그부(120)는 바닥면에 접하는 받침부(122)와 받침부(122)로부터 상부로 기립 형성되는 지지부(124)를 포함한다. 받침부(122)의 저면에는 받침부(12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발(123)이 구비되고, 지지부(124)는 중공형성되는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30)은 레그부(12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판(110)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30)은 레그부(12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판(110)의 저면에 접하는 메인프레임(140) 및 메인프레임(14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50)을 포함한다. 연결프레임(150)은 상판(110)의 저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40)은 하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상판(110)의 가장자리 저면에 접하여 볼팅에 의해 결합된다.
메인프레임(140)에는 연결프레임(150)의 간격을 설정하는 장착절개홀부(142)가 형성된다. 장착절개홀부(142)는 각각의 메인프레임(140)의 마주하는 부위에 절개 형성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연결프레임(150)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장착절개홀부(142)는 메인프레임(140)의 상면과 측면에 연이어 형성되는데, 상면의 경우, 상면 전체가 절개되지 않고, 일부 절개되어 지지편(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50)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프레임(150)의 단부는 메인프레임(140)과 연결프레임(150)이 동일선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편(144)과 접촉되는 단턱부(151)가 형성된다.
지지강성브라켓(190)은 레그부(120)의 상단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프레임(130)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면은 상판(110)의 저면에 접하고, 연결프레임(150) 사이에 개재된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강성브라켓(190)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연결프레임(150)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지지강성브라켓(190)의 내면에는 연결프레임(150)과 볼트 결합되기 위한 판너트(192)가 구비된다. 그리고 공간부에는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가 안착된다.
승강부(160)는 레그부(120)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30)을 승강시킨다. 이때, 지지프레임(130)에는 지지강성브라켓(190)이 결합되므로 승강부(160)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함께 승강되며, 레그부(120)는 중공형성되고, 지지강성브라켓(190)은 레그부(120)에 삽입되는 가이드관(194)을 포함한다.
따라서, 레그부(120)에 삽입되는 가이드관(194)은 승강부(16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지지강성브라켓(190)을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레그부(120)가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지지프레임(130) 중 메인프레임(140)은 상판(110)의 평면을 기준으로 상판(110)의 세로방향으로 길게 접하고 있어 책상(100)의 전후 흔들림을 방지하고, 지지강성브라켓(190)은 상판(110)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접하므로 책상(1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부(160)는 레그부(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162)(124) 및 승강지지부(162)(124)와 치합되고, 승강지지부(162)(124)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구동부(17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프레임(130)을 승강시키는 스크류(165)를 포함한다. 승강지지부(162)(124)는 스크류(165)를 감싸는 승강안내관(163) 및 승강안내관(163)에 결합되어 스크류(165)와 치합되는 지지블럭(164)을 포함한다. 지지블럭(164)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크류(165)와 치합되므로 스크류(165)의 회전시 승강안내관(163)으로부터 스크류(165)가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165)의 하단에는 승강안내관(163)의 내면에 접촉되는 유동방지부재(167)가 구비된다. 유동방지부재(167)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스크류(165)의 좌우유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승강부(160)에 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지지강성브라켓(190)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72) 및 구동모터(172)의 동력을 스크류(165)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74)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174)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져 구동모터(172)의 회전을 스크류(165)의 회전으로 전환한다. 이로 인해 스크류(165)는 회전되어 치합된 지지블럭(164)에 의해 승강되므로 상판(11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동력전달부(174)인 베벨기어는 기어박스(175)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지지강성브라켓(190)에 구비되는 구동부(170)는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80)는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작동스위치(182) 및 작동스위치(182)의 작동신호에 따라 구동부(170)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부(184)를 포함한다. 작동스위치(182)는 케이블에 의해 컨트롤부(1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부(184)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컨트롤부(184)는 각각의 구동모터(172)에 작동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컨트롤부(184)에는 상판(110)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센서(185)가 구비되며, 수평센서(185)의 감지값에 따라 컨트롤부(184)는 각각의 구동부(170)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50)은 상판(110)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된다. 이는 책상(100)의 조립시 상판(110)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책상(100)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다.
연결프레임(150)은 각각의 메인프레임(14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52) 및 고정프레임(15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52)을 상호 연결하는 가변프레임(154) 및 고정프레임(152)에 가변프레임(15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155)를 포함하다. 고정프레임(152)은 사각단면을 갖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변프레임(154)은 상부가 개구된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부(155)는 고정프레임(152)과 가변프레임(154) 각각에 상호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홀 및 고정홀을 관통하여 고정프레임(152)에 가변프레임(15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즉, 고정프레임(152)과 가변프레임(154)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홀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의 결합에 의해 가변프레임(154)을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홀의 결합위치에 따라 레그부(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고정홀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치수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책상(100)은 레그부(120)와 지지프레임(130)으로 부품이 단순화되어 운반 및 조립성이 향상된다. 즉, 한 쌍으로 구비되는 레그부(120)는 지지부(124)와 받침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30)은 양측에 메인프레임(140)이 구비되고, 메인프레임(140)의 장착절개홀에 나란한 연결프레임(150)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부품을 형성한다. 이때, 연결프레임(150)의 양단부에는 단턱부(151)가 형성되어 메인프레임(140)의 지지편(144)과 대응되므로 연결프레임(150)과 메인프레임(140)은 단차없이 정확한 동일선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지지프레임(130) 전체를 상판(110) 저면에 일직선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처럼, 레그부(120), 지지프레임(130) 및 상판(110)으로 각 부분이 모듈화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고, 현장에서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책상(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레그부(120), 지지프레임(130), 상판(110)으로 각 부분이 모듈화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30)의 단부에 각각 레그부(120)를 결합한다. 이때, 레그부(120)와 지지프레임(130)은 지지강성브라켓(19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즉, 지지강성브라켓(190)의 가이드관(194)은 레그부(1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는 연결프레임(150)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강성브라켓(190)에 구비되는 판너트(192)를 이용하여 볼트조립된다.
지지강성브라켓(190)의 양측으로 연결프레임(150)이 볼트조립됨으로써, 지지프레임(130)과 레그부(120)는 상호 결합된다. 이때, 지지강성브라켓(190)이 연결프레임(150) 사이에 개재될 때, 메인프레임(140)의 지지편(144)에 걸쳐지게 되므로 레그부(120)의 기립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레그부(120)의 내부에는 승강부(160)가 구비되고, 지지강성브라켓(190)에는 구동부(170)가 구비된다. 즉, 레그부(120)의 내부에는 승강안내관(163)과 지지블럭(164)이 구비되며, 승강안내관(163)의 내부에는 지지블럭(164)에 치합된 스크류(165)가 구비된다.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회전을 전환하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174)는 기어박스(175)에 수용되어 스크류(165)와 결합되며, 기어박스(175)는 지지강성브라켓(190)에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모터(172)는 지지강성브라켓(190) 내에 구비되어 동력전달부인 베벨기어와 축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구동모터는 케이블에 의해 컨트롤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컨트롤부는 상판의 전측에 마련된 작동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지지강성브라켓(190)을 매개로 레그부(120)와 지지프레임(130)이 결합됨으로써,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레그부(120)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므로써, 일반적인 책상(100)에서 취약한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지지강성브라켓(190)이 상판(110)의 저면 내측방향으로 많은 면적을 접하고 있어 가능하다.
이후, 상판(110)의 승강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신체적 조건이나 직립상태의 작업, 착석상태의 작업과 같은 작업여건에 따라 상판(11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작동스위치(182)를 이용하여 작동신호를 입력하면, 작동신호는 컨트롤부(184)에 전달되고, 컨트롤부(184)는 각각의 구동부(170)에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는 컨트롤부(184)에서 구동모터(172)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며, 구동모터(172)의 작동은 동력전달부(174)에 의해 스크류(165)를 회전시키고, 스크류(165)는 지지블럭(164)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승강안내관(163)으로부터 승강되어 상판(110)을 승강시킨다. 이때, 구동모터(172)는 레그부(120)에 대응되어 각각 구비되므로 상판(110)의 하중을 분할하여 승강시킬 수 있어 작은 출력의 구동모터(172)로도 안정적인 승강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크류(165)의 하단에는 승강안내관(163)의 내면에 접하는 유동방지부재(167)가 구비되어 스크류(165)는 유동없이 승강될 수 있으며, 스크류(165)의 유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110)의 승강은 지지강성브라켓(190)에 형성되는 가이드관(194)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184)에는 상판(110)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센서(185)가 구비되어 상판(110)의 기울어짐 발생 시 각각의 구동부(170)를 개별구동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책상(100)은 상판(110)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연결프레임(150)은 각각의 메인프레임(14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152) 및 고정프레임(152)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프레임(152)을 상호 연결하는 가변프레임(154)으로 이루어져 고정프레임(152)과 가변프레임(154)의 고정위치에 따라 레그부(1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고정프레임(152)과 가변프레임(154)의 고정은 연이은 2개 이상의 고정홀에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것으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프레임(152)과 가변프레임(154)에 형성되는 고정부(155)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치수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 고정홀의 간격을 100mm하여 상판(110)에 규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책상 110 : 상판
120 : 레그부 122 : 받침부
123 : 조절발 124 : 지지부
130 : 지지프레임 140 : 메인프레임
142 : 장착절개홀부 144 : 지지편
150 : 연결프레임 151 : 단턱부
152 : 고정프레임 154 : 가변프레임
155 : 고정부 160 : 승강부
162 : 승강지지부 163 : 승강안내관
164 : 지지블럭 165 : 스크류
167 : 유동방지부재 170 : 구동부
172 : 구동모터 174 : 동력전달부
175 : 기어박스 177 : 동력전달바
180 : 제어부 182 : 작동스위치
184 : 컨트롤부 185 : 수평센서
190 : 지지강성브라켓 192 : 판너트
194 : 가이드관

Claims (7)

  1.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작동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레그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레그부를 연결하고,결속부위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강성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레그부의 상단에 구비되고,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에 접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이 일부 수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장착절개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레그부는 중공형성되고,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에는 상기 레그부에 삽입되는 가이드관이 형성되어 상기 레그부를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레그부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작동스위치; 및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상판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강성브라켓의 상면은 상기 상판의 저면에 접하고, 상기 연결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레그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 및
    상기 승강지지부와 치합되고, 상기 승강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7. 삭제
KR1020150024182A 2015-02-17 2015-02-17 책상 KR101542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82A KR101542716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182A KR101542716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716B1 true KR101542716B1 (ko) 2015-08-06

Family

ID=5388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182A KR101542716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7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053B1 (ko) 2015-01-26 2016-04-15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1631108B1 (ko) * 2015-12-09 2016-06-16 이정기 전동 높이 조절 책상
JP2017176404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昇降機能付什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612A (ja) * 2001-03-21 2002-09-25 Takatani Engineering:Kk 水平維持装置
JP2007130320A (ja) * 2005-11-11 2007-05-31 Okamura Corp テーブル
KR101386072B1 (ko) * 2013-08-09 2014-04-29 장근대 승강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6612A (ja) * 2001-03-21 2002-09-25 Takatani Engineering:Kk 水平維持装置
JP2007130320A (ja) * 2005-11-11 2007-05-31 Okamura Corp テーブル
KR101386072B1 (ko) * 2013-08-09 2014-04-29 장근대 승강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053B1 (ko) 2015-01-26 2016-04-15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KR101631108B1 (ko) * 2015-12-09 2016-06-16 이정기 전동 높이 조절 책상
JP2017176404A (ja) * 2016-03-30 2017-10-0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昇降機能付什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481B2 (en) Motorized adjustable height table
KR101542716B1 (ko) 책상
US9730512B1 (en) Table frame and table
KR101542712B1 (ko) 책상
US8752488B2 (en) Height adjustable table
KR101688694B1 (ko) 승강테이블
US20080178779A1 (en) Height adjustable table
US7487690B2 (en) Elevating mechanism for furniture
US6912960B2 (en) Detachable computer desk
US20120248910A1 (en) Linear actuator
KR101564873B1 (ko) 책상
KR101724693B1 (ko) 높이조절책상
EP3123899B1 (en) Table with operating units adjustable in height
KR101666281B1 (ko) 승강테이블
KR101386072B1 (ko) 승강 테이블
KR101941268B1 (ko) 높이 조절용 싱크대
KR101423505B1 (ko) 장애인용 멀티 작업대
JP2018068943A (ja) 昇降天板付きデスク装置
US20090179123A1 (en) Single Column Pedestal for a Height-Adjustable Work Station
KR20160033374A (ko) 성인병 예방을 위한 책상 리폼 높낮이 조절장치
KR101701884B1 (ko) 파티션 책장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책상
JP4791801B2 (ja) 前板調整装置及び引き出し式収納部
KR200381992Y1 (ko) 높이조절책상
KR20180086910A (ko) 낚싯대 받침대의 각도조정장치 및 이를 적용한 좌대
KR100932731B1 (ko) 경사조절 기능을 갖는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