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242A - 높이조절책상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242A
KR20190089242A KR1020180007435A KR20180007435A KR20190089242A KR 20190089242 A KR20190089242 A KR 20190089242A KR 1020180007435 A KR1020180007435 A KR 1020180007435A KR 20180007435 A KR20180007435 A KR 20180007435A KR 20190089242 A KR20190089242 A KR 20190089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eg
height
desk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443B1 (ko
Inventor
권병운
Original Assignee
권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운 filed Critical 권병운
Priority to KR102018000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4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9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책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또는 서서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원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L형의 상판과 승강구동부가 구성되는 높이조절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책상{HEIGHT ADJUSTABLE DESK}
본 발명은 높이조절책상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또는 서서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원하는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데 받치고 쓰는 등의 일 또는 학습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의 일 또는 학습의 능률을 높이기 위해서 직선형태인 상판을 가진 책상, L형태의 상판을 가진 책상, ㄷ형태의 상판을 가진책상 등, 사용자의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앉은키를 고려하여 다양한 높이를 적용가능할 수 있는 높이조절책상 있었다.
종래고안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1783호는 책상의 받침판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되는 제1수직지지대가 수평받침대에 결합된 제2수직지지대의 내부에서 승.하강하면서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책상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받침판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부와; 상기 콘트롤부의 제어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의 회전력으로 책상의 받침판을 승.하강시키면서 받침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고안은 직선의 책상의 받침판에 적용하기 때문에, 방안의 모서리부위나 자투리공간 등에 사용자를 위한 최대한의 작업공간확보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1178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를 위한 최대한의 작업공간확보를 하는 높이조절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적절한 높이를 설정하는 높이조절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높이조절책상에 있어서, L자형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책상프레임과, 상기 책상프레임에서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책상프레임은 직선상판프레임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에서 연장되어 평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는 책상상판프레임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을 지지하는 직선다리프레임 및 상기 연장상판프레임을 지지하는 연장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책상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선다리프레임 및 연장다리프레임은 높이를 변화가 가능하게 상부에는 고정다리, 하부에는 지지다리, 상기 고정다리와 지지다리를 잇는 연결다리 및 상기 지지다리를 지탱하는 발판이 포함되며,
상기 직선상판프레임 및 직선다리프레임에는 승강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승강구동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가 포함되며, 상기 직선상판프레임 양단부에 고정되는 구동부하우징과, 상기 구동부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와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소켓부와, 상기 승강소켓부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 상기 승강나사축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 상기 연결승강너트봉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다리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다리프레임의 고정다리 내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는 높이가 변화된 후 상기 랙기어에 걸려 높이변화를 멈추는 높이스토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상판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는 걸림고정 시키는 걸림고리 및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삽입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최대한으로 공간을 활용 할 수 있는 높이조절책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적절한 높이를 조절하여 작업능률을 올리는 높이조절책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주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고정부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승강구동부 및 직선다리프레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높이스토퍼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높이스토퍼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블록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주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고정부를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승강구동부 및 직선다리프레임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높이스토퍼의 동작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높이스토퍼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높이조절책상은 높이조절책상에 있어서, L자형의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책상프레임(200)과, 상기 책상프레임(200)에서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3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책상프레임(200)은 직선상판프레임(211)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에서 연장되어 평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는 책상상판프레임(210)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을 지지하는 직선다리프레임(221) 및 상기 연장상판프레임(212)을 지지하는 연장다리프레임(222)로 구성되는 책상다리프레임(220)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다리프레임(221) 및 연장다리프레임(222)은 높이를 변화가 가능하게 상부에는 고정다리(223), 하부에는 지지다리(225), 상기 고정다리(223)와 지지다리(225)를 잇는 연결다리(224)가 포함되며, 상기 지지다리(225)를 지탱하는 발판(226)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다리(223) 및 연결다리(224) 하부 외면에는 상기 연결다리(224) 및 지지다리(225)의 상부가 걸림 되는 외부 연결구(228)가 포함된다.
상기 연결구(228)에는 높이가 변화될 때 부드럽게 하는 윤활패드(228a)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다리(224) 및 지지다리(225) 상단에는 상기 연결구(228)가 걸림 및 외부 이물질을 안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다리캡(227)이 삽입 고정된다.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 및 직선다리프레임(221)에는 승강구동부(300)가 포함된다.
도 2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 양단부에 고정되는 구동부하우징(310)과, 상기 구동부하우징(31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311)와, 상기 승강모터(311)와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소켓부(312)와, 상기 승강소켓부(312)에 상단이 구속되어 회전되는 승강나사축(313), 상기 승강나사축(313)에 상단이 나사 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224)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314),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14)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313)에 나사 결속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다리(225)의 하단에 고정 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315)로 구성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승강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승강구동제어부(400) 및 상기 승강구동제어부(400)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420)가 포함된다. 상기 조작부(420)는 상기 상판(100) 일 측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구동제어부(400)에는 외부전원을 받아 공급하는 전원부(410)가 포함된다.
또한, 도 5와 6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연장다리프레임(222)의 고정다리(223) 내측 면에 랙기어(222a) (rack gear)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는 높이가 변화된 후 상기 랙기어(222a)에 걸려 변화를 멈추는 높이스토퍼(230)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스토퍼(230)는 상기 승강구동제어부(400)에 제어되는 포함한다.
상기 높이스토퍼(23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장치(231)로 랙기어에 돌출 삽입되어 걸림 및 걸림 해제 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장치(231)에서 랙기어와 결합되는 결합부분이 기어치합되게 다수돌기가 형성되는 다수돌기솔레노이드장치(23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연장상판프레임(212)의 일단에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13)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부(213)는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에 끼어 고정시키는 끼임고리(213a)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13)는 상기 직선상판프레임(211)에 삽입되어 고정시키는 삽입돌기(213b)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결속력을 높인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책상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판(100)을 맞추기 위해 조작부를 통해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판(100)을 위로 높게 또는 아래로 낮게 선택적으로 조작하면, 승강구동부(300)가 동작되는데, 승강모터(311)가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승강모터(311)에 축결합된 승강소켓부(312)가 승강나사축(313)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승강나사축(313)에 상단이 나사 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224)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314), 상기 연결승강너트봉(314)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313)에 나사 결속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다리(225)의 하단에 고정 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315)에 의해서 상기 고정다리(223) 및 연결다리(224)가 위로 올라가나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또한, 연장다리프레임(222)의 고정다리(223)의 내측 면에 형성된 랙기어(222a)에 높이스토퍼(230)가 사용자에 조작이 끝난 순간에 승강구동제어부(400)에 의해서 작동되어 높이변화를 멈추고 고정한다.
상기 높이스토퍼(230)가 다수돌기솔레노이드장치(232)가 되면, 랙기어에 다수돌기가 치합되어 멈춤 및 고정력을 높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상판
200 : 책상프레임
210 : 책상상판프레임 211 : 직선상판프레임
212 : 연장상판프레임
213 : 고정부 213a : 끼임고리
213b : 삽입돌기
220 : 책상다리프레임 221 : 직선다리프레임
222 : 연장다리프레임 222a: 랙기어
223 : 고정다리 224 : 연결다리
225 : 지지다리 226 : 발판
227 : 다리캡 228 : 연결구
228a: 윤활패드
230 : 높이스토퍼 231 : 솔레노이드장치
232 : 다수돌기솔레노이드장치
300 : 승강구동부 310 : 구동부하우징
311 : 승강모터 312 : 승강소켓부
313 : 승강나사축 314 : 연결승강너트봉
315 : 지지승강너트봉
400 : 승강구동제어부 410 : 전원부
420 : 조작부

Claims (3)

  1. 높이조절책상에 있어서, L자형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책상프레임과, 상기 책상프레임에서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책상프레임은 직선상판프레임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에서 연장되어 평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는 책상상판프레임과,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을 지지하는 직선다리프레임 및 상기 연장상판프레임을 지지하는 연장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책상다리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직선다리프레임 및 연장다리프레임은 높이를 변화가 가능하게 상부에는 고정다리, 하부에는 지지다리, 상기 고정다리와 지지다리를 잇는 연결다리 및 상기 지지다리를 지탱하는 발판이 포함되며,
    상기 직선상판프레임 및 직선다리프레임에는 승강구동부가 포함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승강제어부 및 상기 승강구동제어부에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조작부가 포함되며, 상기 직선상판프레임 양단부에 고정되는 구동부하우징과, 상기 구동부하우징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와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소켓부와, 상기 승강소켓부에 상단이 구속된 승강나사축, 상기 승강나사축에 상단이 나사결속되며 하단 측 외면이 연결다리의 하단부에 구속된 연결승강너트봉, 상기 연결승강너트봉의 하부에서 스플라인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단이 승강나사축에 나사결속되고 하단이 상기 지지다리의 하단에 고정결속되는 지지승강너트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다리프레임의 고정다리 내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는 높이가 변화된 후 상기 랙기어에 걸려 높이변화를 멈추는 높이스토퍼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상판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직선상판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부는 걸림고정 시키는 걸림고리 및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삽입돌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책상.




KR1020180007435A 2018-01-22 2018-01-22 높이조절책상 KR10206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435A KR102062443B1 (ko) 2018-01-22 2018-01-22 높이조절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435A KR102062443B1 (ko) 2018-01-22 2018-01-22 높이조절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242A true KR20190089242A (ko) 2019-07-31
KR102062443B1 KR102062443B1 (ko) 2020-02-17

Family

ID=6747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435A KR102062443B1 (ko) 2018-01-22 2018-01-22 높이조절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4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32B1 (ko) 2019-11-04 2021-03-24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높이조절책상
CN112869401A (zh) * 2021-01-29 2021-06-01 山东交通学院 儿童用智能书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6707A (zh) * 2020-04-27 2020-07-31 嘉兴市辉宅家居有限公司 一种用于实木桌的便于移动和升降的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693U (ko) * 1978-04-15 1979-10-24
KR970050760U (ko) * 1997-06-24 1997-09-08 노재근 책상 상판의 전동 높이조절장치
JP3161735B2 (ja) * 1992-04-03 2001-04-25 アイデアソシエイツ リミテッド チューブ状の台枠を有する家具
KR200411783Y1 (ko) 2005-12-08 2006-03-17 주식회사 현대토피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613053B1 (ko) * 2015-01-26 2016-04-15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52693U (ko) * 1978-04-15 1979-10-24
JP3161735B2 (ja) * 1992-04-03 2001-04-25 アイデアソシエイツ リミテッド チューブ状の台枠を有する家具
KR970050760U (ko) * 1997-06-24 1997-09-08 노재근 책상 상판의 전동 높이조절장치
KR200411783Y1 (ko) 2005-12-08 2006-03-17 주식회사 현대토피스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613053B1 (ko) * 2015-01-26 2016-04-15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스마트 높이조절 데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432B1 (ko) 2019-11-04 2021-03-24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높이조절책상
CN112869401A (zh) * 2021-01-29 2021-06-01 山东交通学院 儿童用智能书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2443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242A (ko) 높이조절책상
CN209421338U (zh) 一种中层自动升降的电暖桌
CN204743091U (zh) 一种具有隐藏画写板的电脑桌
CN202664690U (zh) 带有周向限位机构的自动升降桌
KR101696417B1 (ko)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용 프레임
CN103393309A (zh) 一种遥控式智能电动升降床控制方法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101403414B1 (ko) 침대 겸 책상 유니트
CN207653790U (zh) 一种单立柱驱动的升降办公桌
CN109431085A (zh) 一种多功能办公桌
CN213550338U (zh) 一种多功能智能家居桌
CN208051901U (zh) 一种灯具安装维修装置
CN209084342U (zh) 一种会议一体机的支撑装置
CN203934832U (zh) 倾斜度可调式学习桌
CN204764191U (zh) 一种可升降的厨房操作平台
KR101840368B1 (ko) 사용자 맞춤 책상
CN205331937U (zh) 一种家用小台灯
CN219781898U (zh) 一种升降式学习桌
CN215304449U (zh) 一种可调节高度床垫
CN209403949U (zh) 一种智能型办公桌
CN216393370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桌子
CN213031164U (zh) 一种自动分区转角的手术操作床
CN209253387U (zh) 一种床头双摇老年护理床
CN221044517U (zh) 用于书写的升降结构及具有其的坐姿器
CN214547987U (zh) 一种阅读学习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