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214Y1 -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 Google Patents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214Y1
KR200216214Y1 KR2019980019843U KR19980019843U KR200216214Y1 KR 200216214 Y1 KR200216214 Y1 KR 200216214Y1 KR 2019980019843 U KR2019980019843 U KR 2019980019843U KR 19980019843 U KR19980019843 U KR 19980019843U KR 200216214 Y1 KR200216214 Y1 KR 200216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bed
transfer
transfer nut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048U (ko
Inventor
윤춘배
Original Assignee
윤춘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춘배 filed Critical 윤춘배
Priority to KR2019980019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2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0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214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좁은 공간의 실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침대와 책장 및 책상이 일체로 구성되어 용도에 맞추어 변환 사용 가능하도록 한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승강식 가구는 승강 작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도르래와 와이어를 사용하여 승강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식탁이나 선반과 같은 비교적 중량이 작은 가구를 승강 시키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무거운 중량을 갖는 침대와 같은 가구를 승강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실내 바닥면적을 광범위하게 차지하는 가구는 침대이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 승강식 가구에 있어서, 승강장치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가구(300)(310)의 중앙부에 각각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전원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체인벨트(115)에 의해 전달되어 정.역회동하는 스크류(120)와; 상기 스크류(120)에 맞물리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하강하는 이송너트(130)와; 상기 이송너트(1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상승, 하강되는 침대(20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이송대(140)와; 상기 이송너트(13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어 침대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안정감 있게 승. 하강작동을 하도록 하며, 침대의 사용시에도 전혀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에 관한 것임.

Description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본 고안은 복합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좁은 공간의 실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침대와 책장 및 책상이 일체로 구성되어 용도에 맞추어 변환 사용 가능하도록 한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실내에 비치하는 가구는 침대를 비롯하여 책상, 장롱, 책장등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가구가 있다.
이와 같은 가구를 실내에 비치하여 설치하기에는 매우 넓은 실내 바닥면을 요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가구는 실내생활에 지장을 주게 된다.
즉 침대와 같은 가구는 취침시에만 사용되고 낮에는 필요 없는 가구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4 - 20657호, 제 94 - 20658호, 제 94 - 7406호, 제 94 - 7482호에 승강 가변식 가구의 여러 가지 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선출원은 가구의 승강 작동을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도르래와 와이어를 사용하여 승강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출원에서 제안한 도르래 와이어 방식은 일견 용이한 작동과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어 일반 가구 예를 들면 식탁이나 선반과 같은 비교적 중량이 작은 가구를 승강 시키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무거운 중량을 갖는 침대와 같은 가구를 승강 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실질적으로 실내 바닥면적을 광범위하게 차지하는 가구는 침대이기 때문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침대의 경우 주로 사용자가 위에 올라앉거나 누워 사용하는 것이므로 체중이 실리게 되며, 몸을 움직이면서 사용하게 됨으로서 상기와 같은 와이어에 매어 달린 상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진동과 흔들림으로 안정감을 저해하여 편안한 쉼자리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침대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하면서 안정감 있게 승. 하강작동을 하도록 하며, 침대의 사용시에도 전혀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고, 3b는 A - A'단면도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로서,
(a)는 침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침대를 하강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구동모터 115: 체인벨트
120: 스크류 130: 이송너트
140: 이송대 150: 리미트스위치
200: 침대 210: 침대틀
220: 침대받침대 221: 완충부재
300, 310: 측면가구 320: 상부지지대
330: 하부지지대 340: 차폐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승강장치에 의해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를 용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므로서 전체 가구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실내 사용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가구의 설치를 변화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갖는 승강식 가구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가구(300)(310)의 중앙부에 각각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전원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체인벨트(115)에 의해 전달되어 정.역회동하는 스크류(120)와; 상기 스크류(120)에 맞물리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하강하는 이송너트(130)와; 상기 이송너트(1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상승, 하강되는 침대(20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이송대(140)와; 상기 이송너트(13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대(140)는 양측이 상호 어긋나게 설치되어 침대(200)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이송대(140)에 의해 거치되는 침대틀(210)의 양 모서리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221)가 부착된 침대받침대(220)가 양측 측면가구(300)(310)의 전면 모서리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리미트스위치(150)로서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 이송너트(130)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너트(130)와의 접촉시 구동모터(110)의 전원이 자동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양측에 세워 설치되는 측면가구(300)(310)의 중간부에 승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중앙의 침대(200)가 상. 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가구(300)(310)의 하부 모서리에는 각각 침대받침대(220)가 설치되며, 상기 침대받침대(220)의 선단부에는 침대(200)의 하강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완충부재(2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전원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체인벨트(115)에 의해 전달되어 정.역회동하는 스크류(120)가 양측 측면가구(300)(310)의 중앙부에 각각 연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정. 역회전하는 스크류(120)에는 이송너트(130)가 맞물리어 설치됨으로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하강하도록 하며, 상기 이송너트(130)는 이송대(14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대(140)는 침대(200)의 양측단을 지지하며 스크류(120)의 회전에 따라 상승, 하강되도록 하므로서 침대(200)가 상승,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가 설치된 측면가구의 틈은 차폐판(34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므로서 침대(200)를 사용할 경우나 침대(2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승강장치인 스크류(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이송대(140)가 철판으로 중앙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부 사이에 설치된 차폐판(340)이 끼워져 상. 하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스크류(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방지 및 미관을 좋게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침대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수단은 상기 이송너트(13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가능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리미트스위치(150)로서 양측에 구비되는 이송너트(130)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너트(130)와의 접촉시 구동모터(110)의 전원이 자동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침대(200)를 사용하는 취침시간에는 승강장치를 작동시켜 침대(200)를 하강시키며, 사용하지 않은 낮이나 활동시간대에는 상승시켜 바닥 면적을 최대로 확장하여 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침대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되도록 한다.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모터(110)가 구동되면 체인벨트(115)에 의하여 스크류(120)가 회동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120)에 결합된 이송너트(130)가 나사산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송너트(130)와 일체로 고정된 이송대(140)는 침대(2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승. 하강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120)를 지지하는 측면가구(300)(310)의 상부지지대(320)와 하부 지지대(330)에는 리미트스위치(150)가 각각 설치되어 과도한 작동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된 상승,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하강시에는 침대(200)의 하단을 받쳐주는 침대받침대(220)에 안착되어 안정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시 요동됨이 없어 편안한 휴식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대받침대(220)의 상면에는 침대(200)와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완충부재(221)가 설치되어 더욱 안정된 작동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시에도 소음발생이나 요동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실질적으로 실내의 공간을 넓게 차지하면서도 일정시간 즉 취침시간에만 필요한 침대의 경우 활동하는 낮 시간 동안에는 승강작용에 의해 상승시켜 놓으므로서 넓은 실내 바닥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활동을 하지 않는 밤시간에만 하강시켜 사용하도록 하므로서 실내공간을 최대한 넓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특히 침대의 승강작용이 견고하고 사용시에도 유동을 하지 않게 되므로서 원룸형태의 주거공간등에 매우 바람직한 실적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별도로 구비된 승강장치에 의해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를 용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므로서 전체 가구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실내 사용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가구의 설치를 변화 가능하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갖는 승강식 가구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가구(300)(310)의 중앙부에 각각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전원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이 체인벨트(115)에 의해 전달되어 정.역회동하는 스크류(120)와;
    상기 스크류(120)에 맞물리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하강하는 이송너트(130)와;
    상기 이송너트(13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상승, 하강되는 침대(200)의 양측단을 지지하도록 하는 이송대(140)와;
    상기 이송너트(130)의 위치에 따라 구동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140)는 양측이 상호 어긋나게 설치되어 침대(200)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이송대(140)에 의해 거치되는 침대틀(210)의 양 모서리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221)가 부착된 침대받침대(220)가 양측 측면가구(300)(310)의 전면 모서리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리미트스위치(150)로서 양측에 구비되는 각각 이송너트(130)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설치되어 이송너트(130)와의 접촉시 구동모터(110)의 전원이 자동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19980019843U 1998-10-16 1998-10-16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0216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43U KR200216214Y1 (ko) 1998-10-16 1998-10-16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843U KR200216214Y1 (ko) 1998-10-16 1998-10-16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48U KR19990004048U (ko) 1999-01-25
KR200216214Y1 true KR200216214Y1 (ko) 2001-03-15

Family

ID=6971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843U KR200216214Y1 (ko) 1998-10-16 1998-10-16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2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13B1 (ko) * 2009-04-13 2009-08-10 백금자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CN109349855B (zh) * 2018-11-26 2024-04-16 王健 组合式多功能床
KR102498218B1 (ko) * 2021-03-08 2023-02-08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48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7299A1 (en) Crib frame with lifting device
JP6697756B2 (ja) 枕の昇降構造
KR200216214Y1 (ko)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CN214803178U (zh) 一种防久坐的智能桌椅
CN204743364U (zh) 一种多功能升降吊床
CA2281260A1 (en) Inground lift
CN111248620A (zh) 一种升降桌
CN212307147U (zh) 升降桌
KR200427457Y1 (ko) 테이블용 모니터 리프트 장치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CN109965586A (zh) 一种升降床系统及结构
CN214679345U (zh) 一种电动美容床
CN210611535U (zh) 一种带升降台灯的床头柜
CN212546093U (zh) 升降桌的升降导引装置
CN215193082U (zh) 一种多功能病床
CN218246479U (zh) 一种自动升降护栏的家用床
KR102147956B1 (ko) 슬라이딩 방식의 각도 조절 침대
JP4097657B2 (ja) 家具などの支持装置
CN220859778U (zh) 一种具有多功能的沙发床
CN210870345U (zh) 一种附台可升降功能的办公桌
KR102400809B1 (ko) 생활공간과 수면공간의 효율적 확보가 가능한 매커니즘 업다운 침대
CN215456287U (zh) 一种可升降茶盘茶几
CN220236479U (zh) 一升降装置
CN213882269U (zh) 一种酒店用便于调节式升降茶几
CN220212433U (zh) 一种多功能升降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