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713B1 -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713B1
KR100911713B1 KR1020090031984A KR20090031984A KR100911713B1 KR 100911713 B1 KR100911713 B1 KR 100911713B1 KR 1020090031984 A KR1020090031984 A KR 1020090031984A KR 20090031984 A KR20090031984 A KR 20090031984A KR 100911713 B1 KR100911713 B1 KR 100911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desk
support means
plat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금자
Original Assignee
백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금자 filed Critical 백금자
Priority to KR102009003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38Wall beds
    • A47C17/40Wall beds having balancing members, e.g. weights,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지지 수단(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이 2개 이상의 후면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연결된 지지 수단(11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편심 회전부(132)가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되며, 전면에 설치된 스토퍼 레버(133)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4)가 양 측면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에 매트리스(135)가 설치되며, 양측면 전방에 고정 돌기 삽입홈(136)이 형성된 침대판(130)과, 상기 지지 수단의 내측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 홈(140)과, 상기 가이드 홈(140)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롤러(141)와, 상기 롤러(141)에 연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142)와, 상기 와이어(142)의 일 말단에 연결된 밸러스트 무게추(143)와, 상기 가이드 홈(140)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44)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2)의 타 말단에 연결된 가이드(145)와,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의 상면에 추가로 착탈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에 상기 와이어(142)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홈(147)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와, 상기 가이드(145)가 양측에 각각 연결된 책상판(15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되는 상 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 삽입공(11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별도의 전동 구동 장치의 필요가 없이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책상과 침대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밸러스트 무게추와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에 의해 책상판과 무게 균형을 이루는 작용에 의해 책상판 자체는 물론, 책상판 위에 컴퓨터 등 중량이 나가는 물건을 상시 거치하여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고 손쉬운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대와 책상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침대는 세운 상태에서 벽면에 밀착하여 거치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고, 책상은 책상위의 작업물을 따로 정리하지 않고도 그 상태 그대로 위로 상승시켜 거치해 두는 것이 가능하여 좁은 설치 공간에서 유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책상, 침대, 밸러스트, 다용도, 가구

Description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Space-saving Bed and Desk}
본 발명은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지지 수단(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이 2개 이상의 후면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연결된 지지 수단(11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편심 회전부(132)가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되며, 전면에 설치된 스토퍼 레버(133)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4)가 양 측면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에 매트리스(135)가 설치되며, 양측면 전방에 고정 돌기 삽입홈(136)이 형성된 침대판(130)과, 상기 지지 수단의 내측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 홈(140)과, 상기 가이드 홈(140)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롤러(141)와, 상기 롤러(141)에 연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142)와, 상기 와이어(142)의 일 말단에 연결된 밸러스트 무게추(143)와, 상기 가이드 홈(140)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44)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2)의 타 말단에 연결된 가이드(145)와,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의 상면에 추가로 착탈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에 상기 와이어(142)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홈(147)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와, 상기 가이드(145)가 양측에 각각 연결된 책상판(15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 삽입공(11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그 사용상의 편리성에 의하여 침대를 취침 공간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면적 및 공간에 제약이 많은 도시의 주거 공간에서는 취침시에만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상시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는 침대의 특성상, 공간 활용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에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대한민국 등록 특허 10-0395475호)와 같은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장치의 경우, 침대와 책상의 겸용이 가능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벽면에 침상을 세워 붙여 놓을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회동축을 회전 축으로 하여 침상을 회전시키는 그 구성의 한계 상,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와 책상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높이가 동일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인체 공학적으로 책상의 사용 높이가 65~75㎝이나, 침대의 경우는 30~45㎝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상기한 기존 발명의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책상의 높이 또는 매트리스의 두께로 인해 일반적인 책상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침대에 올라가야 하기에 대단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형식의 기존 발명들은 침대와 책상 사용의 전환시에 침상을 회전시키는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책상위에 있던 물건은 침대로 전환시 모두 덜어져 버릴 수 밖에 없기에 책상 위에 컴퓨터 등의 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하며, 책상에서 작업하고 있었던 책이나 물건 등을 모두 정리한 후에야 침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크나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승강식 침대를 구현하여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다수의 기존 고안들이 있었으며, 그 중 가장 진보적인 기존 발명으로는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 가구"(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6214호)가 제안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기존의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 가구"는 책상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침대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것은 물론, 복잡한 전기 구동장치를 사용하여야 하여 그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스크류와 이송 너트를 사용하는 구조의 한계에 의해 침대를 승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데 비교적 긴 시간(약 몇 십초 가량)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적 강성이 요구되고 매트리스가 설치되는 등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침대를 승강시키는 구조이기에 그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으로 복잡하고 견고한 구조가 필요하며, 특히 침대를 상승시켜 거치하여 두는 경우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침대가 가구 구조체의 최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역학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한 설치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전동 구동 장치의 필요가 없이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책상과 침대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밸러스트 무게추와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의 작용에 의해 책상판 자체는 물론, 책상판 위에 컴퓨터 등 중량이 나가는 물건을 상시 거치하여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고 손쉬운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침대와 책상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침대는 세운 상태에서 벽면에 밀착하여 거치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고 책상은 책상위의 작업물을 따로 정리하지 않고도 그 상태 그대로 위로 상승시켜 거치해 두는 것이 가능하여 좁은 설치 공간에서 유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은, 한 쌍의 지지 수단(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이 2개 이상의 후면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연결된 지지 수단(11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편심 회전부(132)가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되며, 전면에 설치된 스토퍼 레버(133)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4)가 양 측면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에 매트리스(135)가 설치되며, 양측면 전방에 고정 돌기 삽입홈(136)이 형성된 침대판(130)과, 상기 지지 수단의 내측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 홈(140)과, 상기 가이드 홈(140)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롤러(141)와, 상기 롤러(141)에 연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142)와, 상기 와이어(142)의 일 말단에 연결된 밸러스트 무게추(143)와, 상기 가이드 홈(140)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44)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2)의 타 말단에 연결된 가이드(145)와,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의 상면에 추가로 착탈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에 상기 와이어(142)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홈(147)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와, 상기 가이드(145)가 양측에 각각 연결된 책상판(15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 삽입공(116)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110)은 후방 지지대(111)에 하부 프레임(113), 중앙 프레임(115) 및 상부 프레임(114)을 이용하여 결합된 전방 지지대(112)로 구성되어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가 상기 후방 지지대(111)와 상기 전방 지지대(11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면에는 내부 마감 판(117)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수단(110)의 외측면에는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 마감판(118)이 설치되며, 상기 책상판(150)의 후면부에는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침대판(13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위치에서 상기 침대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39)와,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 결합하여 설치되는 책장(160)과,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 조절 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별도의 전동 구동 장치의 필요가 없이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책상과 침대를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밸러스트 무게추와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에 의해 책상판과 무게 균형을 이루는 작용에 의해 책상판 자체는 물론, 책상판 위에 컴퓨터 등 중량이 나가는 물건을 상시 거치하여 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도 원활하고 손쉬운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대와 책상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침대는 세운 상태에서 벽면에 밀착하여 거치하여 두는 것이 가능하고, 책상은 책상 위의 작업물을 따로 정 리하지 않고도 그 상태 그대로 위로 상승시켜 거치해 두는 것이 가능하여 좁은 설치 공간에서 유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공간 활용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크게 한 쌍의 지지 수단(110), 침대판(130) 및 책상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 수단(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지지 수단(11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이 2개 이상의 후면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 수단(110)을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나, 그 일 실시예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지지 수단(110)은 후방 지지대(111)에 하부 프레임(113), 중앙 프레임(115) 및 상부 프레임(114)을 이용하여 결합된 전방 지지대(112)로 구성되어 후술할 밸러스트 무게추(143)가 상기 후방 지 지대(111)와 상기 전방 지지대(11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외관을 마감하고 작동부위가 노출되어 작동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면에는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 마감판(117)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수단(110)의 외측면에는 책상 위에 설치되는 물체의 중량에 맞추어 후술할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를 용이하게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외부 마감판(118)이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마감판(118)을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으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된 너트(119) 등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마감판(118)을 상기 지지 수단(110)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침대판(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침대판(130)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편심 회전부(132)가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 회전부(132)는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체중이 침대에 전부 실리게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된 것으로, 침대로 사용하는 경우 회전축(131)의 위치보다 사용자와 상기 침대판(130)의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더욱 안정적인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 편심 회전부(132)는 상기 침대판(130)의 양 측면의 중심이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침대 판(130)의 양 측면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침대판(130)의 전방측 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후술할 스토퍼(134), 고정 돌기(137) 및 지지대(139)와 함께 더욱 안정적인 하중의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침대판(130)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면에 설치된 스토퍼 레버(133)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4)가 양 측면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에 매트리스(135)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스토퍼 레버(133)에 의하여 스토퍼(134)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는 여러 가지 실시 예가 가능하며, 그 일 실시예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스토퍼 레버(133)에 연결되어 회전 축 상에 설치된 캠에 스토퍼(134)를 각각 연결하고, 복귀 스프링을 설치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상기 스토퍼 레버(133)에 의하여 스토퍼(134)를 작동시키는 구성에 관한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스토퍼 삽입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 삽입공(116)에는 상기 스토퍼(134)가 삽입되어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 사용 위치 또는 수납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침대판(130)를 상기 지지 수단(110)에 대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침대판(130)의 양측면 전방에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 돌기 삽입홈(136)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고정 돌기 삽입홈(13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고정 돌기(137)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돌기(137)는 상기 스토퍼(134)를 보조하여 전후방 하중은 물론, 하방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한편, 상기 고정 돌기(137)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고정 돌기 삽입홈(136)에 삽입되는 경우 횡방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말단에 돌출부(138)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 돌기 삽입홈(136)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 수단(110)과 역학적으로 결합되어 횡방향 응력을 지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위치에서 상기 침대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3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경우에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수단의 내측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 홈(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홈(140)의 상단부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롤러(141)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141)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와이어(142)가 연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롤러(141)는 상기 와이어(142)가 이탈하지 않고 작동하도록 양측면이 돌출되고 중앙부가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게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142)의 일 말단에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밸러스트 무게추(143)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140)의 내부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이드 레일(144)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144)에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이드 레일(144)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2)의 타 말단에 연결된 가이드(145)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145) 및 가이드 레일(144)의 형상은 도 5에 도시한 것 이외에도,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145)에는 도 1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책상판(150)의 양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책상판(150)이 상기 가이드(145)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44)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책상판(150)의 하중이 상기 가이드(145)에 연결된 와이어(142)가 상기 롤러(141)를 통해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와 상쇄되어 대단히 적은 힘만으로도 부드럽게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책상판(150) 위에 컴퓨터나 모니터 또는 서적 등 중량이 나가는 물건이 상시 적재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할 때,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의 상면에 추가로 착탈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에 상기 와이어(142)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홈(147)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책상판(150) 위에 적재되는 물건의 중량과 균형을 조절하여 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을 실시하는 여러 가지 다 양한 실시예에서 각 구성 요소의 치수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책상판(150)의 후면부에는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침대판(130)과 발생할 수 있는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부(15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 상부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 결합하여 설치되는 책장(160)을 더 포함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임과 동시에 상기 지지 수단(110)의 구조적 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을 설치하는 경우 정확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높이 조절 수단(170)이 각각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 조절 수단(170)의 실시예로는 상기 지지 수단(110)에 형성된 볼트공에 받침대에 고정된 볼트를 삽입하는 구성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높이 조절 수단(170)을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침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책상판(150)을 윗쪽으로 밀어올려 거치하여 두고, 침대판(130)을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내려 침대판(130)의 고정돌기 삽입홈(136)과 스토퍼(134)가 양측의 지지 수단(110)의 고정 돌기(137) 및 스토퍼 삽입공(116)에 각각 삽입 고정되어 침대판(130)을 양측의 지지 수단(1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책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침대판(130)을 수납위치로 회전시켜 위치시킨 후, 수납위치에 형성된 스토퍼 삽입공(116)에 스토퍼(134)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그 후, 책상판(150)을 아래로 당겨내려 책상을 사용하게 된다.
책상과 침대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책상판(150)은 위로 밀어 올려놓고, 침대판(130)은 수납위치에 수납시켜서 유휴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내부 마감재 설치시 지지 수단의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침대 사용시 측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책상 사용시 측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가이드 레일부 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가이드 레일부 사시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상면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침대판 사시도.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의 침대판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0: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110: 지지 수단
111: 후방 지지대 112: 전방 지지대
113: 하부 프레임 114: 상부 프레임
115: 중앙 프레임 116: 스토퍼 삽입공
117: 내부 마감판 118: 외부 마감판
120: 후면 프레임
130: 침대판 131: 회전축
132: 편심 회전부 133: 스토퍼 레버
134: 스토퍼 135: 매트리스
136: 고정 돌기 삽입홈 137: 고정 돌기
138: 돌출부 139: 지지부
140: 가이드 홈 141:롤러
142: 와이어 143: 밸러스트 무게추
144: 가이드 레일 145: 가이드
146: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 147: 와이어 홈
150: 책상판 151: 공간부
160: 책장 170: 높이 조절 수단

Claims (3)

  1. 한 쌍의 지지 수단(110)이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이 2개 이상의 후면 프레임(120)을 이용하여 연결된 지지 수단(110);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후면에 형성된 회전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면으로 돌출된 편심 회전부(132)가 양 측면 후방에 형성되며, 전면에 설치된 스토퍼 레버(133)에 의해 작동되는 스토퍼(134)가 양 측면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면에 매트리스(135)가 설치되며, 양측면 전방에 고정 돌기 삽입홈(136)이 형성된 침대판(130);
    상기 지지 수단의 내측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상하로 형성된 가이드 홈(140);
    상기 가이드 홈(140)의 상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그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롤러(141);
    상기 롤러(141)에 연동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와이어(142);
    상기 와이어(142)의 일 말단에 연결된 밸러스트 무게추(143);
    상기 가이드 홈(140)의 내부에 상하로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44)에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2)의 타 말단에 연결된 가이드(145);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의 상면에 추가로 착탈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며, 양 측면에 상기 와이어(142)가 통과할 수 있는 와이어 홈(147)이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추가 밸러스트 무게추(146);
    상기 가이드(145)가 양측에 각각 연결된 책상판(150);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에,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스토퍼(13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스토퍼 삽입공(1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110)은 후방 지지대(111)에 하부 프레임(113), 중앙 프레임(115) 및 상부 프레임(114)을 이용하여 결합된 전방 지지대(112)로 구성되어 상기 밸러스트 무게추(143)가 상기 후방 지지대(111)와 상기 전방 지지대(112)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110)의 내측면에는 내부 마감판(117)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수단(110)의 외측면에는 손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 마감판(118)이 설치되며,
    상기 책상판(150)의 후면부에는 상기 침대판(130)이 수납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침대판(13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공간부(1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침대판(130)이 침대로 사용되는 위치에서 상기 침대판(130)을 지지하는 지지부(139);
    양측의 상기 지지 수단(110)의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후면 프레임(120)에 결합하여 설치되는 책장(160);
    상기 지지 수단(110)의 하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 조절 수단(1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100).
KR1020090031984A 2009-04-13 2009-04-13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KR100911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84A KR100911713B1 (ko) 2009-04-13 2009-04-13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984A KR100911713B1 (ko) 2009-04-13 2009-04-13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713B1 true KR100911713B1 (ko) 2009-08-10

Family

ID=4120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84A KR100911713B1 (ko) 2009-04-13 2009-04-13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7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368U (ko) * 1997-06-09 1999-01-15 이은옥 승강가변식 침대와 책상이 구비된 장식장 일체형 가구
KR19990004048U (ko) * 1998-10-16 1999-01-25 윤춘배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040048890A (ko) * 2001-09-14 2004-06-10 주안 카를로스 모네스티어 침대와 책상이 결합된 가구의 개량
KR100669365B1 (ko) 2005-11-07 2007-01-16 김동호 침대 겸용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0368U (ko) * 1997-06-09 1999-01-15 이은옥 승강가변식 침대와 책상이 구비된 장식장 일체형 가구
KR19990004048U (ko) * 1998-10-16 1999-01-25 윤춘배 승강식 침대를 갖는 복합가구
KR20040048890A (ko) * 2001-09-14 2004-06-10 주안 카를로스 모네스티어 침대와 책상이 결합된 가구의 개량
KR100669365B1 (ko) 2005-11-07 2007-01-16 김동호 침대 겸용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4455B2 (en) Appliance lift
CN105014626A (zh) 一种移动式多功能实验室工作台
CN102131424B (zh) 空间活用型多用途家具的转动装置
CN100486484C (zh) 多功能座椅
KR100911713B1 (ko) 공간 활용형 다용도 침대 및 책상
CN207270167U (zh) 电动床
JP3128259U (ja) 折り畳めるナイトテーブルがヘッドボードに格納できるベッド
CN201134999Y (zh) 可调整升降的显示器支撑架结构
CN218074180U (zh) 一种与书架结合的折叠式阅览椅
CN212815433U (zh) 一种公寓用高低床
CN108720413A (zh) 电动床
KR100917238B1 (ko) 공간 활용형 다용도 회전식 침대 및 책상
CN108523484B (zh) 一种多功能办公桌
CN202800849U (zh) 平铺式床护栏
RU62781U1 (ru) Кровать откидная
CN211380299U (zh) 一种带有滑轮和放置槽的床头柜
CN219515668U (zh) 一种便于组装且高稳定性的置物架
KR200400956Y1 (ko) 침대용 수납장
CN218303992U (zh) 一种组合式书柜
CN217365042U (zh) 一种拼装式集成野营厨房
CN213247906U (zh) 一种新型椅子
CN221044584U (zh) 一种舒适曲线型吧椅
CN117442025A (zh) 带有升降桌椅的公寓床
CN213587893U (zh) 手机终端蓝牙控制触控式智能沙发
CN215993366U (zh) 带升降功能的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