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6Y1 - 침대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침대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6Y1
KR200400956Y1 KR20-2005-0024946U KR20050024946U KR200400956Y1 KR 200400956 Y1 KR200400956 Y1 KR 200400956Y1 KR 20050024946 U KR20050024946 U KR 20050024946U KR 200400956 Y1 KR200400956 Y1 KR 200400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abinet
guide rail
storage cabin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상
Original Assignee
이경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상 filed Critical 이경상
Priority to KR20-2005-0024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침대용 수납장을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은,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을 침대의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수납장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후면에 결합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동 롤러 및 이 회동 롤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수납장의 상판에 결합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수납장의 하측 네 모서리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침대용 수납장{a wardrobe for bed}
본 고안은 침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트리스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는 수납장을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게 구비시켜 사용상의 편의성과 공간활용도를 개선시킨 침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기타 주거용 공간에 설치되는 침대는 그 용도에 따라 싱글이나 더블 및 2층 침대 등으로 분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침대는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소비자에게 미감을 줄 수 있도록 다양한 디자인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침대는 사용빈도가 낮은데 반해 공간 점유율이 높은 편에 속하는 가구로서, 옷장과 같은 수납장과 책상과 별도로 구비되어 방안에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일정 높이에 매트리스를 구비시키고 그 하부 공간에 수납장이나 책상 등을 구비시킨 멀티 이층침대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수납장은 옷이나 각종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침대의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이층 침대는 수납장을 침대의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구비시키는 구조에 의해 수납장의 후면측 공간을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침대의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납장이 침대의 전면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여 수납장의 후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침대용 수납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은,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을 침대의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수납장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후면에 결합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동 롤러 및 이 회동 롤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수납장의 상판에 결합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수납장의 하측 네 모서리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납장의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게 스토퍼와 회동 롤러 및 포스트가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측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침대(1)는 멀티형 이층 침대로서, 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네 개의 코너 포스트(2a)와 이들 코너 포스트(2a)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3)가 놓여지는 지지부(4)을 일체로 구비하는 골조를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3)의 하부 공간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반, 옷장, 책상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멀티형 이층침대(1)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고안은 매트리스(3)의 하부 공간에 구비되는 수납장(5)을 회동 가능하게 구비시켜 선택적으로 수납장(5)의 후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티형 이층 침대에 적용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침대용 수납장은 메인프레임의 지지부(4)에 설치되는 길이재의 가이드 레일(1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전후면측에 결합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5)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수용되는 회동 롤러(20) 및 이 회동 롤러(20)와 수납장(5)을 일체로 연결하는 포스트(25) 그리고 수납장(5)의 하부 네 모서리측에 구비되는 바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은 수납장(5)을 침대(1)의 앞쪽으로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하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홈(미부호)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10)은 수납장(5)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나사부재(10s)를 이용하여 지지부(4)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이드 레일(10)은 수납장(5)의 인출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두 개 이상 복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스토퍼(15)나 회동 롤러(20) 및 포스트(25) 역시 가이드 레일(10)에 대응되게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스토퍼(15)는 상술한 가이드 레일(10)의 전,후면측에 결합되어 후술할 회동 롤러(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일종의 브레이크로서, 완충성이 우수한 고무재로 된 댐퍼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토퍼(15)는 가이드 레일(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일예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양 끝단부가 개방된 형태의 가이드 레일(10)인 경우에는 상기 스토퍼(15)를 가이드 레일(10)의 양끝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스토퍼(15)는 후술할 회동 롤러(20)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수납장(5)의 인출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회동 롤러(20)는 상술한 가이드 레일(10)내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전체로서, 그 일단은 포스트(25)의 상단이 용접을 통해 일체로 접합 연결되며 수납장(5)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25)는 상술한 회동 롤러(20)에 상단이 연결되는 구조이고 하단은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수납장(5)의 상판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동 롤러(20)와 포스트(25)는 수납장(5)에 연결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납장(5)을 전후 이동 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수납장(5)은 하부 네 모서리측에 지면에 접촉하는 바퀴(30)를 구비하는 구성이며, 이들 바퀴(30)는 수납장(5)이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전후 이동될 때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바퀴(3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트리스(3)의 하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수납장(5)을 침대(1)의 전면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납장(5)의 양측 또는 도어의 손잡이(미부호)를 잡고 앞으로 당기면, 수납장(5)의 상판에 포스트(25)로 연결된 회동 롤러(20)가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하측에 구비된 바퀴(30)가 회전하여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장(5)에 연결된 회동 롤러(20)가 가이드 레일(10)에 결합된 일측 스토퍼(15)에 도달하게 되면 이동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납장(5)의 인출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납장(5)의 후면 공간이 확보되므로 이 공간에 선반 등을 설치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수납장(5)이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납장(5)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후방측으로 밀게 되면 도 1의 상태로 위치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침대용 수납장은 포스트로 연결되는 회동 롤러가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구조이면서 그 하측에는 다수의 바퀴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손쉽게 수납장을 침대의 앞쪽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매트리스의 하부공간으로 밀어 넣을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수납장 후면측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용 수납장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 2 : 메인프레임
3 : 매트리스 4 : 지지부
5 : 수납장 10 : 가이드 레일
10s : 나사부재 15 : 스토퍼
20 : 회동 롤러 25 : 포스트
30 : 바퀴

Claims (2)

  1. 네 모서리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코너 포스트 및 이 코너 포스트의 일정 높이에서 사각 틀 형태로 연결되어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공간에 위치되어 물품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납장을 포함하는 이층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을 침대의 앞쪽으로 인출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부의 하측에 수납장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하측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후면에 결합되어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회동 롤러 및 이 회동 롤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홈을 통과하여 수납장의 상판에 결합 고정되는 포스트와;
    상기 수납장의 하측 네 모서리측에 각각 결합 구비되는 바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수납장의 일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게 스토퍼와 회동 롤러 및 포스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용 수납장.
KR20-2005-0024946U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KR200400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46U KR200400956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46U KR200400956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Y1 true KR200400956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46U KR200400956Y1 (ko) 2005-08-30 2005-08-30 침대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85B1 (ko) * 2011-12-29 2012-07-04 이용상 다용도 가구
KR101772980B1 (ko) * 2015-11-27 2017-08-31 주식회사 다나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285B1 (ko) * 2011-12-29 2012-07-04 이용상 다용도 가구
KR101772980B1 (ko) * 2015-11-27 2017-08-31 주식회사 다나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633B1 (ko) 서랍장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KR200400956Y1 (ko) 침대용 수납장
US5685600A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JP2008113916A (ja) 床頭キャビネット
JP3128259U (ja) 折り畳めるナイトテーブルがヘッドボードに格納できるベッド
KR101274910B1 (ko) 소파 겸 침대기능을 갖는 다용도 가구
KR200400957Y1 (ko)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
KR101361293B1 (ko) 프레임 어셈블리
CN215076796U (zh) 一种多功能组合家具
JPH11216032A (ja) 居室空間の間仕切りユニット
KR100658514B1 (ko) 수납장과 책상을 겸비한 침대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KR20100004036U (ko) 콤비네이션 가구세트
JPH0819440A (ja) 収納家具
CN110367709A (zh) 翻转折合凳
CN214963810U (zh) 基于一体化家具收纳的柜体结构
CN217013180U (zh) 一种家居收纳结构
KR20110008148U (ko) 식탁이 일체로 구비된 장식장
KR20110000249U (ko) 침대가 구비된 다용도 책장
CN217987129U (zh) 一种带储藏功能的沙发
CN218738100U (zh) 一种便于取放衣物的组合床
JP2001286357A (ja) 引き出し付き収納家具
KR102236985B1 (ko) 수납기능이 향상된 침대
KR200349680Y1 (ko) 다용도 조합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