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41Y1 -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41Y1
KR200424941Y1 KR2020060013916U KR20060013916U KR200424941Y1 KR 200424941 Y1 KR200424941 Y1 KR 200424941Y1 KR 2020060013916 U KR2020060013916 U KR 2020060013916U KR 20060013916 U KR20060013916 U KR 20060013916U KR 200424941 Y1 KR200424941 Y1 KR 200424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height
frame
upper frame
bunk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Original Assignee
한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욱 filed Critical 한상욱
Priority to KR2020060013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20);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3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을 베이스프레임(20)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40);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40)의 높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60a,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층침대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소파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베이스프레임, 상부프레임, 높이조절부재, 컨트롤러, 매트리스

Description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HEIGHT-CONTROL TYPE BUNK 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높이조절부재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베이스프레임 30 : 상부프레임
40 : 높이조절부재 42 : 모터
44 : 회전스크류 44 : 승강바아
50 : 컨트롤러 60a,60b : 매트리스
70 : 사다리
본 고안은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위치한 침대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의 일종으로, 그 용도에 따라 가정용 침대·병원용 침대·군대용 침대·차량 침대·계단 침대·알코브 침대·소파겸용 침대 등이 있다.
그리고 그 크기에 따라서 더블·싱글·세미더블·어린이용·유아용 침대 등이 있다.
이러한 침대는 단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 2층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컨대, 한정된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 등과 같은 단체 숙박시설 또는 하나의 방에 2명이 동시에 생활해야 하는 가정 등에서 보다 넓은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이층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가정용 이층침대는 어린이 또는 유아용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층침대는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각각에 마련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은 수면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로 이격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층침대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이 일체형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베이스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사이공간이 일정하게 정해진다.
그로 인해, 아이들이 조금만 성장하더라도 사용하기 불편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은 바닥면과 상당한 이격거리를 가짐으로써 아이들이 이층침대에 올라가 장난을 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정에서 한 방에 둘이 함께 생활하다 각각 독립된 공간을 소유하게 된 경우, 이층침대의 사용성이 떨어져 대부분 새로운 침대를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상부프레임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스크류;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스크류와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로 실린더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는 베이스프레임(20);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3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40);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컨트롤러(5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60a,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20)은 이층침대의 설치장소 바닥면에 설치되어, 그 상부면에 마련되는 매트리스(60a) 및 상부프레임(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프레임(30)은 베이스프레임(20)의 크기 및 형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그 상부면에 마련되는 매트리스(60b)를 지지한다.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사용자의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프레임(30)의 개방된 측부에는 착탈 가능한 안전펜스(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높이조절부재(40)는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을 베이스프레임(20)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부재(40)는 안정성 등을 비롯한 여러 조건을 고려해 볼 때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의 모서리부 4곳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의 모서리부 4곳에 각각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40)는 컨트롤러(50)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높이조절부재(40)는 베이스프레임(20)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42); 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스크류(44); 회전스크류(44)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아(46)를 포함한다.
모터(42)는 회전스크류(44)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스크류(4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터(42)는 컨트롤러(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5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회전스크류(44)는 외관을 고려하여 베이스프레임(20)의 지지기둥 내부에 마련되어 있다.
승강바아(46)는 상부프레임(30)에 연결되어 회전스크류(44)와 스크류 결합되며, 내주면 상에는 회전스크류(44)의 회전에 의해 승강동작 가능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50)는 높이조절부재(40)의 높이를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컨트롤러(50)는 높이조절부재(40)의 신장 및 수축동작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50)는 높이조절부재(40) 각각의 모터(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미설명 도면부호 70은 취침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동작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침대를 취침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면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이층 침대와 같이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이 이격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상에는 매트리스(60a,60b,도1참조)가 각각 마련된다.
취침시간이 아닌 평상시에는 높이조절부재(40)를 통해 상부프레임(30)을 하 강시켜 베이스프레임(20)의 상단에 밀착시킴으로써 일층침대 또는 소파의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높이조절부재(40)의 높이는 컨트롤러(50)를 통해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다시 침대를 취침용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높이조절부재(40)를 통해 상부프레임(30)을 상승시켜 베이스프레임(20)에 대해 이격시키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식 이층 침대는 베이스프레임(20); 베이스프레임(2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3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을 베이스프레임(20)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40);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부재(4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50); 베이스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30)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60a,6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높이조절부재(4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형 액츄에이터가 사용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높이조절식 이층침대는 높이조절부재(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식 이층침대의 높이조절부재 구성은 베이스프레임(20)에 대해 상부프레임(30)의 높이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높이조절부재를 통해 상부프프레임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층 침대의 공간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층 침대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면시간 외에는 상부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에 밀착시켜 사용함으로써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소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선택적으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 상에 각각 마련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이층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스크류; 상기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스크류와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이층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실린더형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식 이층 침대.
KR2020060013916U 2006-05-24 2006-05-24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KR200424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16U KR200424941Y1 (ko) 2006-05-24 2006-05-24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916U KR200424941Y1 (ko) 2006-05-24 2006-05-24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41Y1 true KR200424941Y1 (ko) 2006-08-29

Family

ID=4177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916U KR200424941Y1 (ko) 2006-05-24 2006-05-24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040B1 (ko) 2010-01-18 2010-07-20 박춘식 이층 침대에서 사다리의 경사 조절장치
KR20160074293A (ko) 2014-12-18 2016-06-28 김종필 행거가 구비된 이층 침대
KR20190087127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이층 침대프레임
KR20220126143A (ko) 2021-03-08 2022-09-15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040B1 (ko) 2010-01-18 2010-07-20 박춘식 이층 침대에서 사다리의 경사 조절장치
KR20160074293A (ko) 2014-12-18 2016-06-28 김종필 행거가 구비된 이층 침대
KR20190087127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주경 이층 침대프레임
KR20220126143A (ko) 2021-03-08 2022-09-15 이경환 높이조절장치를 갖는 벙커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0298A (en) Modular high-low-adjustable contour-adjustable bed
US5687437A (en) Modular high-low adjustable bed bases retrofitted within the volumes of, and cooperatively operative with, diverse existing contour-adjustable beds so as to create high-low adjustable contour-adjustable beds
US20070294828A1 (en) Canister lift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KR200424941Y1 (ko) 높이조절식 이층침대
CN1946360A (zh)
KR200468856Y1 (ko) 침대 난간 높낮이 조절장치
CN107456335A (zh) 床提升架
US20080010740A1 (en) Motorized bathtub seat apparatus
US6772462B1 (en) Tiltable bed
KR101972154B1 (ko) 욕창방지용 매트리스
KR20090094419A (ko) 양옆으로 기울게 해 욕창을 방지하는 기구
KR101520430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200409978Y1 (ko) 건강의료침대
JP4566090B2 (ja) 動作支援ベッド
US20160374880A1 (en) Adjustable Bedframe for Existing Bedframe Structures
KR20180129241A (ko) 조립식 전동침대
CN2933157Y (zh) 一种电动睡床
KR200206459Y1 (ko) 베개의 승하강 수단을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JP2001309951A (ja) ベッド
JP3205662U (ja) ロボット付介護装置
KR102637969B1 (ko) 버튼식 침대 모션 구동장치
CN220423556U (zh) 一种用于居家安宁疗护的便利床
KR100699044B1 (ko) 침대
CN214072626U (zh) 一种简易式自动升降床架
KR200236187Y1 (ko) 다기능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