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60Y1 - 조립식 이층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이층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60Y1
KR200456260Y1 KR2020090000971U KR20090000971U KR200456260Y1 KR 200456260 Y1 KR200456260 Y1 KR 200456260Y1 KR 2020090000971 U KR2020090000971 U KR 2020090000971U KR 20090000971 U KR20090000971 U KR 20090000971U KR 200456260 Y1 KR200456260 Y1 KR 200456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late
fixing groove
horizontal suppor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855U (ko
Inventor
원욱성
Original Assignee
원욱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욱성 filed Critical 원욱성
Priority to KR2020090000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6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4Non-loosenable joints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glu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54Fittings for bedstea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조립식 이층침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이층침대는 양측에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지지대와 하부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상하단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는 하부 받침플레이트과,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받침플레이트과,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측면 난간 및 상기 측면 난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전후면 난간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연결브라켓이나 못, 나사, 스크류, 볼트 등의 부품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전문가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층침대, 조립, 끼워맞춤, 끼움홈, 결합홈

Description

조립식 이층침대{A PREFABRICATED BUNK BED}
본 고안은 조립식 이층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못이나 스크류, 볼트 등의 결합부재없이 끼워맞춤식으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침대는 사람의 수면과 휴식생활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가구이므로 가능한 안락하고 편안한 자세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침대는 사용목적과 장소 및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과 구조로 매우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한편, 한정된 넓이의 실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이층침대도 많이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이층침대는 각각의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서, 외면에 연결브라켓을 대어 양측의 두 부재에 각각 체결부재로 고정하여 조립하거나, 금속파이프 등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그 연결부의 견고성을 위해 용접으로 용착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여서 조립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고 조립이 번거로우며, 조립 후에는 분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는 물론 설치장소에서 보관 및 이동하고자 할 때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므로 인해 운반비 및 보관비 상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연결브라켓이나 못, 나사, 스크류, 볼트 등의 부품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이층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전문가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이층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 프레임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전하여 견고함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이층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양측에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지지대와 하부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상하단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는 하부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측면 난간 및 상기 측면 난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전후면 난 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이층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포스트와 상·하부 수평지지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직사각형을 이루는 형상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 및 하부 받침플레이트에는 매트리스의 빠른 복원과 수명연장 및 통풍을 위한 홀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난간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삽입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면 난간의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삽입가능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하부 받침플레이트,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 측면 난간 및 전후면 난간은 목재로 이루어진다.
특히, 목재 중에서도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연결브라켓이나 못, 나사, 스크류, 볼트 등의 부품 없이도 조립이 가능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전문가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전하여 견고함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조립식 이층침대의 구성요소 및 이층침대를 조립하는 순서에 따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조립식 이층침대는 크게 침대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2개의 측면 프레임(10)과,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전방부에 결합되는 전면 프레임(20)과,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후방부에 결합되는 후면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10)은 양측에 포스트(11)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11)들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지지대(13)와 하부 수평지지대(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스트(11)와 상·하부 수평지지대(12)(13)가 일체로 연결되어 직사각형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 프레임(10) 뿐 아니라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도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진 판재를 가공하여 각각의 프레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프레임(10)(20)(30)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목재를 합판형태로 가공하여 소정을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구성하고, 상기 판재를 가공하여 상기 각각의 프레임(10)(20)(30)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후술할 각각의 구성요소 역시 목재로 이루어지는 합판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은 상기 측면 프레임(10)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은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포스트(11)와, 상부 수평지지대(13) 및 하부 수평지지대(12)가 만나는 모서리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상하단 양측에 결합홈(21)(3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1)(31)은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의 상하단에 양측으로 각각 4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모서리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1)(31)의 폭은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결합홈(21)(31)에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모서리가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직육면체형의 이층침대의 틀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프레임(10)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돌출부(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2)는 상기 결합홈(21)(31)의 양측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 프레임(20)과 후면 프레임(30)의 높이보다 9㎜ 정도가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직육면체형의 틀이 형성된 본 고안의 이층침대는 메트리스 등을 깔 수 있도록 2층의 받침부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12)에 결합하는 하부 받침플레이트(40)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13)에 결합하는 상부 받침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받침플레이트(40)는 복수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12)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41)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부 받침플레이트(40)는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41)에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12)를 끼움으로써,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대의 1층 받침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41)의 폭이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12)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41)에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12)를 끼웠을 때 상기 하부 받침플레이트(4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도 복수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13)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홈(51)이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51)에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13)를 끼움으로써 침대의 2층 받침부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51)은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13)의 두께와 동일한 크기 의 폭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22)가 끼워질 수 있는 홈(54)이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를 얹으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가 상기 홈(54)에 끼워지므로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가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52)이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홈(52)에는 측면 난간(60)이 끼워진다.
상기 측면 난간(60)은 침대의 2층에서 잠을 자는 사람이 침대 밖으로 떨어지는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의 양측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 난간(60)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는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에는 상기 측면 난간(60)이 끼워져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71)(81)이 상하단의 양측으로 4개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난간(60)에는 상기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62)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62)을 통해 상기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을 끼워넣으면서 상기 결합홈(71)(81)에 측면 난간(60)을 끼우면 상기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공(62)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면 난간(70)과 후면 난간(80)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후면 난간(70)(80)의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70)(80)의 하단부가 삽입가능한 고정홈(5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71)(81)에 측면 난간(60)을 끼우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전후면 난간(70)(80)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홈(55)에 삽입시킴으로써 전후면 난간(70)(80)이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50) 및 하부 받침플레이트(40)에는 매트리스의 빠른 복원과 수명연장 및 통풍을 위한 홀(42)(53)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42)(53)이 형성됨으로써, 받침 플레이트(40)(50) 위에 놓이는 매트리스의 빠른 복원과 수명연장이 기대되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통공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이층침대의 조립완성도를 도 8에 도시한 바, 본 고안의 이층침대는 모든 구성요소를 조립할 때 별도의 연결브라켓이나 못, 나사, 스크류, 볼트 등의 부품이 필요치 않으며, 결합홈에 끼워맞춤식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결합함으로써 조립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비전문가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각 프레임의 결합상태가 보다 안전하여 견고함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조립식 이층침대의 구성요소 및 이층침대를 조립하는 순서에 따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면 프레임 11 : 포스트
12 : 하부 수평지지대 13 : 상부 수평지지대
20 : 전면 프레임 21 : 결합홈
30 : 후면 프레임 31 : 결합홈
40 : 하부 받침플레이트 50 : 상부 받침플레이트
60 : 측면 난간 70 : 전면 난간
71 : 결합홈 80 : 후면 난간
81 : 결합홈

Claims (8)

  1. 양측에 포스트를 구비하고, 상기 포스트들을 연결하는 상부 수평지지대와 하부 수평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측면 프레임;
    상기 측면프레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상하단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는 하부 받침플레이트;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가 끼워지는 고정홈이 저면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홈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길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수평지지대들을 결합시키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끼움홈이 형성되는 상부 받침플레이트;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측면 난간; 및
    상기 측면 난간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전후면 난간;
    을 포함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포스트와 상·하부 수평지지대가 일체로 연결되어 직사각형을 이루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 및 하부 받침플레이트에는 매트리스의 빠른 복원과 수명연장 및 통풍을 위한 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난간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삽입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모서리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소정만큼 끼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홈은 상기 측면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난간의 설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에는 상기 전후면 난간이 삽입가능한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하부 받침플레이트, 상기 상부 받침플레이트, 측면 난간 및 전후면 난간은 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이층침대.
KR2020090000971U 2009-01-29 2009-01-29 조립식 이층침대 KR200456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71U KR200456260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이층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71U KR200456260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이층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55U KR20100007855U (ko) 2010-08-06
KR200456260Y1 true KR200456260Y1 (ko) 2011-10-21

Family

ID=4445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71U KR200456260Y1 (ko) 2009-01-29 2009-01-29 조립식 이층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59B1 (ko) 2016-08-12 2016-11-1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이층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39Y1 (ko) * 2010-11-01 2011-04-27 문임식 조립식 이층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12B1 (ko) 2003-10-01 2006-08-28 주식회사 알파침대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JP2008067820A (ja) 2006-09-13 2008-03-27 Itoki Corp ベ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312B1 (ko) 2003-10-01 2006-08-28 주식회사 알파침대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JP2008067820A (ja) 2006-09-13 2008-03-27 Itoki Corp ベッ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459B1 (ko) 2016-08-12 2016-11-1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이층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55U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593B2 (ja) 組合せ式家具
US7631375B2 (en) Bed base
KR101030212B1 (ko) 철재 프레임 침대
KR101322621B1 (ko) 침대 프레임 구조
KR200456260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200447453Y1 (ko) 침대 프레임의 조립구조
US20130125305A1 (en) Mattress foundation
CN216566225U (zh) 一种便于拆装的床架
KR200465616Y1 (ko) 책상 및 침대로 확장가능한 조립식 책장형 가구
JP6317719B2 (ja) 引戸用控え壁下地ユニット、引戸用控え壁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07971U (ko) 조립식 책상
JP6850316B2 (ja) 組立ベッド
JP4924364B2 (ja) 組立式デスク
KR10144004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KR100787189B1 (ko) 침대 조립체
KR200480310Y1 (ko) 조립식 평상
CN212698204U (zh) 用于家具的大跨度支撑结构
KR200409984Y1 (ko) 침대용 받침프레임
CN219680186U (zh) 床体的组装构造
CN215304420U (zh) 金属折弯边框快装式床架
JP3239335U (ja) すのこベッド
KR101440034B1 (ko) 가구 하부프레임
CN215533091U (zh) 一种床架结构及其床
JP7019189B2 (ja) 板材支持具及び間仕切り体
JP2005124742A (ja) ベッドーデスクコンビネ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