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716Y1 - 분리형 이층 침대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층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716Y1
KR200258716Y1 KR2020010028541U KR20010028541U KR200258716Y1 KR 200258716 Y1 KR200258716 Y1 KR 200258716Y1 KR 2020010028541 U KR2020010028541 U KR 2020010028541U KR 20010028541 U KR20010028541 U KR 20010028541U KR 200258716 Y1 KR200258716 Y1 KR 200258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unk
beds
assembly
str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호
Original Assignee
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호 filed Critical 전영호
Priority to KR2020010028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716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침대를 2개의 단층침대로 분리 구성할 때 상부침대와 하부침대의 지주들을 한 쌍씩 교환하고 사이드 바의 설치위치를 높여줌으로써 각 단층침대가 일반적인 단층침대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침상높이와 외관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분리형 이층침대는 하부침대와 상부침대의 대향하는 지주들 선단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핀과 조립구멍을 각각 구비하여 양자가 층상을 이루도록 조립된 분리형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부침대용과 하부침대용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양자간에 설치된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2개씩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에 중심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조립슬릿을 각각 갖는 상·하부침대의 지주들과, 각 지주의 조립슬릿에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관통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핀과, 각 침대의 사이드 바 양 단부에 설치되며 지주의 조립슬롯에 끼워져 걸림핀에 결합되는 훅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침대의 사이드 바 상단에 복수의 결합돌기들이 적정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각 침대의 사이드 난간 하단에 결합돌기들이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분리형 이층 침대 { An isolation second floor bed }
본 고안은 이층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두 개의 단층침대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 이층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침준비와 취침 후의 정리가 간단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한다는 장점 등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서 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침대는 통상 단층으로 구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상하 2단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컨대, 한정된 장소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기거해야 하는 기숙사나 합숙소와 같은 단체 숙박시설 또는 하나의 방에서 2명이 동시에 생활해야 하는 가정 등에서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의 확보를 위해 이층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이층침대는 상부와 하부의 두 침대가 완전히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특수한 경우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따르며, 특히 가정에서 한 방에서 둘이 함께 생활하다 각각 독립된 공간을 소유하게 된 경우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이층침대를 폐기하고 단층침대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경제적 부담도 줄일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2개의 단층침대로 간단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위 분리형 이층침대가 출현하고 있다.
도 1에 이러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일례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단순히 하부침대(1)의 네 지주(2) 상단에 연결핀(2a)을 설치하고 상부침대(5)의 네 지주(6) 하단에 연결핀(2a)이 끼워지는 조립구멍(6a)을 형성하여 상부 및 하부침대(5)(1)가 층상을 이루도록 일체적으로 연결 구성하고 있다.
상기 하부침대(1)의 지주(2)는 적절한 높이 확보를 위해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고, 상·하부침대(5)(1)의 주변에는 취침시의 추락 방지와 침대의 구조적 강도유지를 위해 난간(7)(3)이 설치되어 있다.
나머지 부호 4, 8은 매트리스이고, 9는 사다리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이층침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침대(5)를 하부침대(1)와 분리하여 2개의 단층침대로 구성할 경우, 침상의 높이가 일반적인 단층침대에 비해 비교적 낮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설치된 난간(3)(7)들 때문에 사용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두 단층침대가 이층침대를 단순히 분리해 놓은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으므로 단층침대로서의 미관을 확보할 수 없었다.
특히, 하부침대(1)의 경우 지주(2)가 상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 침대의 미관을 크게 떨어뜨리게 됨은 물론 자칫 충돌에 의한 부상유발의 우려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분리형 이층침대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침대를 2개의 단층침대로 분리 구성할 때 통상의 단층침대와 같은 적절한 침상높이와 외관을 확실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층침대로의 전환시 주변의 난간을 간단히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침대의 구조적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분리형 이층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분리형 이층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이층침대를 단층침대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이층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침대의 요부를 나타낸 발췌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를 따라 취한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침대의 사이드 바와 지주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발췌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침대의 사이드 바와 난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부분절단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이층침대를 단층침대들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침대
11: 지주 11a: (지주의) 조립슬릿
11c: 걸림핀 11d: (지주의) 연결핀
12: 엔드 플레이트 13, 13': 사이드 바
13b: (사이드바의) 훅 15: 지지블록
18: 크로스 보강 바 19: 바닥판
20: 상부침대
21: 지주 21a: (지주의) 조립슬릿
22: 엔드 플레이트 23: 사이드 바
24: 난간
30: 사다리 40: 장식물
50: 고정 브래킷 M1, M2: 매트리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분리형 이층침대는, 하부침대와 상부침대의 대향하는 지주들 선단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핀과 조립구멍을 각각 구비하여 양자가 층상을 이루도록 조립된 분리형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부침대용과 하부침대용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양자간에 설치된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2개씩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에 중심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조립슬릿을 각각 갖는 상·하부침대의 지주들; 각 지주의 조립슬릿에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관통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핀; 각 침대의 사이드 바 양 단부에 설치되며, 지주의 조립슬롯에 끼워져 걸림핀에 결합되는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침대의 사이드 바 상단에 복수의 결합돌기들이 적정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각 침대의 사이드 난간 하단에 결합돌기들이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부 및 하부침대를 2개의 단층침대로 분리 구성할 때 상부침대와 하부침대의 지주들을 한 쌍씩 교환하고 사이드 바의 설치위치를 높여줌으로써 각 단층침대가 일반적인 단층침대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침상높이와 외관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주변의 난간을 간단히 제거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이층침대의 편의성과 기능성 향상 등에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그리고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각 구성품들의 재질은 목재로 이루어짐을 미리 밝혀둔다.
도 3 및 도 8에서,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이층침대는 하부침대(10)와 상부침대(20)가 대향하는 지주(11)(21)들의 선단에 서로 조립되는 연결핀(11d)과 조립구멍(21d)을 각각 구비하여 층상을 이루도록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침대(20)의 네 지주(21)들은 하부침대(10)상의 공간 확보를 위해 하부침대(10)의 지주(11)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침대(10)(20)의 전·후방에 위치한 2개씩의 지주(11)(21)들은 양자간에 설치된 엔드 플레이트(12)(22)들에 의해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각각 한 쌍식의 끝판유닛을 구성하고, 각 쌍의 끝판유닛들은 두 사이드 바(13)(23)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된다.
한편, 하부침대(10)의 한쪽 사이드 바(13)와, 상부침대(20)의 양쪽 사이드 바(23) 상에는 취침시의 추락 방지를 위해 난간(14)(24)들이 설치된다.
각 엔드 플레이트(12)(22)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크로스바(12a, 22a)(12b, 22b)와, 상·하부 크로스바(12a, 22a)(12b, 22b)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12c)(22c)들로 이루어져 양 끝 부위의 난간으로도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각 사이드 난간(14)(24) 역시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바(14a, 24a)(14b, 24b)와, 상·하부 바(14a, 24a)(14b, 24b)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봉(14c)(24c)들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침대(20)(10)들은 지주(21)(11)의 길이를 제외하고 사실상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부침대(10) 또는 상부침대(2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두 사이드 바(13)(13')의 내면에는 매트리스(M1)가 얹혀질 바닥판(19)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블록(15)들이 서로 대응하도록 각각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스크류(17)에 의해 체결된다.
그리고 두 사이드 바(13)(13')의 중간 부위에는 강도보강과 동시에 두 사이드 바(13)(13')가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로스 보강 바(18)가 양자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크로스 보강 바(18)는 여러 가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기로는 인접하는 두 지지블록(15)의 대향단에 단차부(15a)를 각각 형성함과 함께 그 하부를 금속재 커버판(16)으로 막아 대략 더브테일 형태의 결합채널을 형성하고, 크로스 보강 바(18)의 양 단부에 금속재 걸림판(18a)을 체결하여 결합채널에 끼워줌으로써 설치된다.
도 3과 도 6 및 도 7에서, 상호 대향하는 두 끝판유닛들의 각 지주(11)(21)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조립슬롯(11a)(21a)이 중심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각 지주(11)에는 조립슬롯(11a)에 직교하도록 복수의 금속재 걸림핀(11c)들이 삽입구멍(11b)을 통해 관통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주(21)의 조립슬롯(21a)은 지주(11)의 조립슬롯(11a)에 비하여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하로의 이동거리가 넓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바(13)(13')의 양 단부(도면에는 한쪽만 도시됨)에는 지주(11)의 조립슬롯(11a)에 끼워져 걸림핀(11c)을 걸어줌으로써 사이드 바(13)를 지주(11)에 지지하기 위한 금속재의 두 훅(13b)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 상기 두 훅(13b)은 고정판(13a)을 일체로 구비하여 스크류(13c)에 의해사이드 바(13)에 체결된다.
도 8에서, 사이드 난간(24)은 바람직하기로 사이드 바(23)의 상부에 분해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를 위해 사이드 바(23)의 상단에는 다수의 결합돌기(23d)들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사이드 난간(24)의 하단에는 사이드 바(23)의 결합돌기(23d)들이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구멍(24d)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난간(24)의 상부 바(24a)가 L자형의 금속재 고정브래킷(50)에 의해 지주(21)에 체결된다.
나머지 부호 30은 사다리이고, 40은 장식물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이층침대의 사용상태를 도 9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간이 협소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이층침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지주(11)들로 이루어진 끝판유닛을 하부침대(10)의 전후에 위치시키고, 길이가 긴 지주(21)들로 이루어진 끝판유닛을 상부침대(20)의 전후에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7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바(13)(13')(23)를 지주(11)(21)의 조립슬롯(11a)(21a) 하부에 설치된 두 걸림핀(11c)에 걸어서 끝판유닛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 프레임을 형성한 뒤, 각 사이드 바(13)(13')(23)상에 사이드 난간(14)(24)을 조립하고 사이드 바(13)(23)의 지지블록(15)상에 바닥판(19)과 매트리스(M1)를 순차적으로 재치하여 상부 및 하부침대(20)(10)를 각각 구성한다.
이어서, 이와 같이 구성한 하부침대(10)상에 상부침대(20)를 그 지주(11)(21)의 대응단에 설치된 연결핀(11d)(21d)를 통해 적층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이층침대를 구성한다.
다음, 이층침대를 분리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독립된 단층침대로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침대(20)를 하부침대(10)로부터 분리한 뒤 각 침대(10)(20)를 구성품별로 분해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부침대(10)(20)의 끝판유닛을 한 개씩 교환한 뒤,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바(13)(23)의 훅(13b)을 지주(11)(21)의 조립슬롯(11a)(21a) 상측에 위치한 걸림핀(11c)에 삽입하여 걸어줌으로써 사각 프레임을 구성한다.
이어서 사이드 바(13)(23)의 지지블록(15)상에 바닥판(19)과 매트리스 (M1)(M2)를 순차 적층함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단층침대와 같이 침상이 적정높이를 가짐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갖는 2개의 단층침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때 사이드 난간(14)(24)은 조립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 조립된 단층침대들의 짧은 끝판유닛 지주(11)의 상단에는 별도로 구성된 장식물(40)을 연결핀(11d)을 통해 장착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이층침대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침대를 분리하여 2개의 독립된 단층침대로 구성할 때 각 단층침대를 일반적인 단층침대와 마찬가지로 적절한 침상높이와 미려한 외관을 갖는 심플한 단층침대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혼자서 독립된 공간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불필요하게 단층침대를 새로 구입할 필요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단층침대로의 전환시 주변의 난간을 간단히 제거함으로써 단층침대의 사용상의 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침대의 구조적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이층침대의 사용의 편의성과 기능성 향상은 물론 실내 유효공간의 확보 등에 크게 기여하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부침대와 상부침대의 대향하는 지주들 선단에 상호 결합되는 연결핀과 조립구멍을 각각 구비하여 양자가 층상을 이루도록 조립된 분리형 이층침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침대용과 하부침대용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양자간에 설치된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2개씩 일체로 구성되며, 외주에 중심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조립슬릿을 각각 갖는 상기 상·하부침대의 지주들;
    상기 각 지주의 조립슬릿에 직교하도록 일정간격으로 관통 설치되는 복수의 걸림핀;
    상기 각 침대의 사이드 바 양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의 조립슬롯에 끼워져 상기 걸림핀에 결합되는 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층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침대의 사이드 바 상단에 복수의 결합돌기들이 적정간격으로 돌출 설치되고, 각 침대의 사이드 난간 하단에 상기 결합돌기들이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구멍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층침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이드 바의 내면에 설치되어 바닥판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에 더브테일형의 결합채널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두 사이드 바 사이에 각 결합채널에 조립되는 걸림판을 양 단에 갖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보강 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층침대.
KR2020010028541U 2001-09-17 2001-09-17 분리형 이층 침대 KR200258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1U KR200258716Y1 (ko) 2001-09-17 2001-09-17 분리형 이층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1U KR200258716Y1 (ko) 2001-09-17 2001-09-17 분리형 이층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716Y1 true KR200258716Y1 (ko) 2001-12-28

Family

ID=7310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541U KR200258716Y1 (ko) 2001-09-17 2001-09-17 분리형 이층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7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91B1 (ko) 2008-01-31 2009-08-14 문임식 브래킷 이층침대
KR100971040B1 (ko) 2010-01-18 2010-07-20 박춘식 이층 침대에서 사다리의 경사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91B1 (ko) 2008-01-31 2009-08-14 문임식 브래킷 이층침대
KR100971040B1 (ko) 2010-01-18 2010-07-20 박춘식 이층 침대에서 사다리의 경사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02365A1 (en) Platform hotel bed frame
USRE28244E (en) Stock rack
KR200258716Y1 (ko) 분리형 이층 침대
KR101345910B1 (ko) 분리형 이층침대
KR100616312B1 (ko) 조립 가능한 분리형 이층침대
KR200440168Y1 (ko) 강제 2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EP1692976A1 (en) Kit and assembly for an infant enclosure
KR200453339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JP2009297381A (ja) 二段ベッド
KR102249215B1 (ko) 놀이용 인디언 텐트
JP2005124742A (ja) ベッドーデスクコンビネーション
KR100746068B1 (ko) 이층 침대의 구조
KR200292504Y1 (ko) 조립식 의자
JP3066340U (ja) ラック
US2042045A (en) Bed and bedrail
KR20090000448U (ko) 휴대용 조립형 평상
KR200367622Y1 (ko) 침대용 프레임
KR950008852Y1 (ko) 조립식 침대
KR200448465Y1 (ko)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226636Y1 (ko) 이단침대
KR200233671Y1 (ko) 스탠드형 시계
JP3568740B2 (ja) ベッド装置
BE1025901B1 (nl) Ontmantelbare bodeminrichting
KR200242170Y1 (ko) 침대용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