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65Y1 -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65Y1
KR200448465Y1 KR2020090010712U KR20090010712U KR200448465Y1 KR 200448465 Y1 KR200448465 Y1 KR 200448465Y1 KR 2020090010712 U KR2020090010712 U KR 2020090010712U KR 20090010712 U KR20090010712 U KR 20090010712U KR 200448465 Y1 KR200448465 Y1 KR 200448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late
post
hook
bed
b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임식
Original Assignee
문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임식 filed Critical 문임식
Priority to KR2020090010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의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조립판재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고안은, 침대 모서리에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는 2개의 조립판재가 서로 고정되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판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교차부에는 상기 포스트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제1브래킷; 상기 하나의 조립판재와 연결판의 일측면 사이 및 다른 조립판재와 연결판의 타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상기 체결구멍을 통과한 후 아래쪽으로 끼움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걸고리가 형성된 제2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멍은 상부 공간부의 폭이 상기 걸고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지며, 하부 공간부에는 상기 걸고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의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사이에는, 결합시 상기 걸고리를 걸림턱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침대 프레임, 조립판재, 브래킷, 걸고리, 체결구멍.

Description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Combination structure of bedframe}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침대의 침대프레임을 구성하는 조립판재를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된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편안하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를 안락하게 떠받히는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기 위한 외곽의 침대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의 내측에 매트리스 받침대 등이 구비되며, 사용용도 및 규격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침대프레임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2312호의 '침대 외곽 프레임의 결합구조'가 공지되어 있고, 이는 침대의 외곽 프레임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구성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침대의 외곽 프레임을 연결하는 브래킷이 견고하게 결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브래킷을 고정하는 피스가 장공 및 확장공을 따라 유동하거나 또는 침대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피스 의 고정력이 이완되면서 침대프레임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과, 특히 침대의 분해조립시 피스를 반복적으로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기 피스의 고정력이 작용하는 나사부와 헤드 부분이 심하게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인에 의해서 선출원된 "브래킷 이층침대"가 있다( 특허 공개번호10-2008-0029981호)
위 본 고안인에 의한 선출원 발명은 기둥과 프레임이 금속소재일 경우 용접에 의해서 각 브래킷이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프레임(보드)이 목재일 경우에는 고정시키기가 곤란하고 나사조립시 고정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위 선출원 발명은 목재에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가 못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에 의해서 침대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보드, 헤드보드, 풋보드가 침대 모서리에 설치되는 금속소재의 포스트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대의 분해 및 조립이 신속하고 간편하여 가구의 운반 및 이동을 별도의 장비 없이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침대 모서리에 포스트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는 2개의 조립판재가 서로 고정되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판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교차부에는 상기 포스트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형성된 제1브래킷;
상기 하나의 조립판재와 연결판의 일측면 사이 및 다른 조립판재와 연결판의 타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상기 체결구멍을 통과한 후 아래쪽으로 끼움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걸고리가 형성된 제2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멍은 상부 공간부의 폭이 상기 걸고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지며, 하부 공간부에는 상기 걸고리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의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사이에는, 결합시 상기 걸고리를 걸림턱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는 침대프레임의 조립이 신속하면서도 용이하며, 특히 포스트와 조립되는 보드들이 견고하게 결합함에 따라 침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비 숙련자 또는 초보자도 누구나 손쉽게 침대 및 침대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작업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작업효율을 월등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상기의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침대(1) 모서리에 포스트(3)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3)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는 2개의 조립판재(4,5)가 서로 고정되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판(11)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판(11)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교차부에는 상기 포스트(3)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14)이 형성된 제1브래킷(10);
상기 하나의 조립판재(4)와 연결판(11)의 일측면 사이 및 다른 조립판재(5)와 연결판(11)의 타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상기 체결구멍(14)을 통과한 후 아래쪽으로 끼움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걸고리(22)가 형성된 제2브래킷(2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멍(14)은 상부 공간부의 폭이 상기 걸고리(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지며, 하부 공간부에는 상기 걸고리(2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4)의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사이에는, 결합시 상기 걸고리(22)를 걸림턱(15)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침대(1)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매트리스(7)를 지지하기 위한 침대프레임(2)이 모서리에 직립하는 포스트(3)와, 상기 포스트(3)와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에 의해 조립되는 양측 및 전/후방의 조립판재(4,5,6)들로 구성된다.
이에 따른 상기 결합구는 전술한 포스트(3)에 제1브래킷(10)이 부착되고, 외측으로 구성되는 조립판재(4,5,6)의 각 양측 끝에 제1브래킷(10)과 체결되는 제2브래킷(20)이 부착된다.
상기 제1브래킷(10)은 중간 부분이 'ㄱ'자로 된 절곡부(12)가 포스트(3)에 용접으로서 부착되고, 상기 연결판의 외측에 체결구멍(1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14)의 외측에는 나사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구멍(14)은 상부 공간부의 폭이 상기 걸고리(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지며, 하부 공간부에는 상기 걸고리(2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4)의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사이에는, 결합시 상기 걸고리(22)를 걸림턱(15)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5)과 걸고리(22)는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동일 간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고리(22)는 제2브래킷(20)의 일부분을 프레스로 가공하여 전면에 'ㄱ'자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멍(14)의 걸림턱(15)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구멍(14)은 하부의 걸림턱(15)이 포스트(3) 쪽으로 치우치면서 비스듬한 경사면(16)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걸고리(22)가 경사면(16)을 따라 걸림턱(15)에 자연스럽게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조립판재(4,5,6)가 포스트(3) 쪽으로 밀착하면서 정밀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2브래킷(20)은 일측 또는 양측부에 조립판재(4,5,6)와 결합하기 위한 제1나사구멍(24)들과, 상기 제1브래킷(10)의 나사구멍(18)과 동일한 위치의 제2나사구멍(26)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브래킷(10)은 절곡부(12)가 포스트(3)의 형상에 따라 충분히 접촉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포스트의 재질에 따라 용접 또는 나사 등의 고정수단으 로 강인하게 고정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위에서처럼 상기 포스트(3)의 안쪽 모서리에 제1브래킷(10)이 부착되고 상기 조립판재(4,5)의 양측 끝에 제2브래킷(20)이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20)은 조립판재(4,5)와 제1나사구멍(24)에 의해 고정나사(30)로 각각 체결된다.
다음 도 3에서처럼, 상기 조립판재(4,5)를 포스트(3)와 조립시에는 상기 제2브래킷의 걸고리(22)를 체결구멍(14)으로 끼운 후, 상기 조립판재를 살짝 눌러주면 걸고리(22)가 자연스럽게 걸림턱(15)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조립판재(4,5)가 포스트 쪽으로 밀착하면서 긴밀하게 조립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브래킷의 나사구멍(18)과 제2브래킷의 제2나사구멍(26)이 일치되면서 겹쳐지고, 상기 나사구멍(18,26)에 고정나사(32)를 끼워 제1, 제2브래킷(10,20) 내지 조립판재(4,5)가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견고하게 조립된 본 고안의 침대프레임(2)은 상기 포스트(3)와 조립판재(4,5,6)의 외측면이 동일하게 결합함은 물론 침대프레임의 외곽 모서리부가 매끈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침대는 침대프레임이 견고한 결합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의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구조의 이층침대를 구성하기에 적합하다. 즉 상기 포스트(3)를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하고 상기 포스트(3)의 하부와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조립판재(4,5,6)가 설치되며, 소정의 받침대를 구성하여 매트리스(7)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층침대의 일측부에는 이층으로 오르내리기 편리하도록 사다리(8)가 구비되고, 상부 매트리스의 양측에 절첩 또는 분리가 가능한 안전바(9) 등이 설치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2)

  1. 침대 모서리에 포스트(3)가 구비되고 상기 포스트(3)를 사이에 두고 직교하는 2개의 조립판재(4,5)가 서로 고정되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일측면과 타측면이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판(11)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판(11)의 일측면과 타측면의 교차부에는 상기 포스트(3)의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11)의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14)이 형성된 제1브래킷(10);
    상기 하나의 조립판재(4)와 연결판(11)의 일측면 사이 및 다른 조립판재(5)와 연결판(11)의 타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상기 체결구멍(14)을 통과한 후 아래쪽으로 끼움결합되는 'ㄱ'자 형상의 걸고리(22)가 형성된 제2브래킷(2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구멍(14)은 상부 공간부의 폭이 상기 걸고리(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구조를 가지며, 하부 공간부에는 상기 걸고리(2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걸림턱(15)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4)의 상부 공간부와 하부 공간부 사이에는, 결합시 상기 걸고리(22)를 걸림턱(15)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1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2. 삭제
KR2020090010712U 2009-08-18 2009-08-18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448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12U KR200448465Y1 (ko) 2009-08-18 2009-08-18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712U KR200448465Y1 (ko) 2009-08-18 2009-08-18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465Y1 true KR200448465Y1 (ko) 2010-04-13

Family

ID=4422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712U KR200448465Y1 (ko) 2009-08-18 2009-08-18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29B1 (ko) * 2015-10-01 2016-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조립식 침대의 프레임 결합구조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902U (ko) 1976-07-22 1978-02-09
KR20040089405A (ko) * 2003-04-14 2004-10-21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KR20050072963A (ko) * 2004-01-08 2005-07-13 주식회사 진성기업 학생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902U (ko) 1976-07-22 1978-02-09
KR20040089405A (ko) * 2003-04-14 2004-10-21 최천순 조립식 선반틀
KR20050072963A (ko) * 2004-01-08 2005-07-13 주식회사 진성기업 학생용 침대
KR100563268B1 (ko) * 2004-01-08 2006-03-27 주식회사 진성기업 학생용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29B1 (ko) * 2015-10-01 2016-09-06 주식회사 하이파오피스 조립식 침대의 프레임 결합구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128B1 (ko) 가구프레임의 결합장치
US20230240448A1 (en) Bed ladder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bed frame for use
KR200448465Y1 (ko)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447453Y1 (ko) 침대 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0382312Y1 (ko) 침대 외곽 프레임의 결합구조
KR200453339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101765424B1 (ko) 침대 프레임
KR101180268B1 (ko) 침대프레임
KR100563268B1 (ko) 학생용 침대
JP4686613B2 (ja) ペット用遊戯装置
KR100572932B1 (ko) 조립식 철제 침대
US6948198B1 (en) Bed with unitary headboard and unitary frame
KR200409984Y1 (ko) 침대용 받침프레임
KR200456260Y1 (ko) 조립식 이층침대
KR200440169Y1 (ko) 강제 1층 침대프레임의 조립구조
JP3129909U (ja) 折り畳みベッド
KR200231383Y1 (ko) 마루판 침대
JP3115821U (ja) ベッド
JP5696109B2 (ja) ベッド装置
JP2002010877A (ja) ベッド
KR100529522B1 (ko) 침대
JP7486330B2 (ja) 二段ベッド
KR200443037Y1 (ko) 조립식 침대
CN215304420U (zh) 金属折弯边框快装式床架
JP6178260B2 (ja) 組立式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