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037Y1 - 조립식 침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037Y1
KR200443037Y1 KR2020080002669U KR20080002669U KR200443037Y1 KR 200443037 Y1 KR200443037 Y1 KR 200443037Y1 KR 2020080002669 U KR2020080002669 U KR 2020080002669U KR 20080002669 U KR20080002669 U KR 20080002669U KR 200443037 Y1 KR200443037 Y1 KR 2004430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eadboard
side plate
footboard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김외정
김희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8000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0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0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0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64Travelling or camp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05Bedstead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고, 분해시에는 침대의 구성품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특히 각종 산업현장, 야외활동 및 병영훈련 등과 같이 좁은 공간이나 이동이 잦은 생활에서도 편하고 안락한 잠자리만큼은 제공해 줄 수 있는 목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는,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은 각각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판과 발판은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상기 머리판과 발판에 각각 형성된 측판삽입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측판의 상단(上端)에는 상기 상판의 단부(端部)가 얹혀서 걸릴 수 있도록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의 단턱을 형성하며, 머리판과 발판은, 각각 2개씩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된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1조(組)의 머리판과 발판을, 각각 2조씩을 서로 경첩으로 연결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80002669
조립식, 침대, 절첩, 방진테이프

Description

조립식 침대{A collapsible bed}
본 고안은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고, 분해시에는 침대의 구성품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특히 각종 산업현장, 야외활동 및 병영훈련 등과 같이 좁은 공간이나 이동이 잦은 생활에서도 편하고 안락한 잠자리만큼은 제공해 줄 수 있는 목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주 5일제 근무가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감에 따라 여가 활동이 많아지면서 야외에서의 생활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침대생활에 익숙해지면서 심지어는 병영의 숙소도 점차 침대로 바뀌고 있고, 야전 훈련 중에도 취침시에는 야전 침대를 많이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각종 산업현장이나 사무소 및 공장에서도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취침시에만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는 조립식 침대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절첩 가능한 조립식 침대에 관한 많은 기술들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 등록되었으며, 그 한 예로서,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5-6213호를 들 수 있다. 이는 절첩식 침대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인데,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받침간(1, 2, 3, 4, 5)을 서로 X자로 힌지 연결하여 구성한 골격조립체(10)와, 골격조립체의 받침간 끝단을 시트(20)의 봉제부(17, 18, 19)에 결합하고, 받침간의 하부는 하부연결구(7, 8, 9)와 힌지 결합하여 구성된 휴대용 절첩식 침대이다.
그러나, 상기의 절첩식 침대는, 구조가 복잡하고 절첩과정이 번거로우며, 받침간이 철제로 되어 있어서 이동시에 침대의 무게가 무겁고, 더군다나 시트가 천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침대에 누우면, 신체가 허리부분을 중심으로 활처럼 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휴식을 취하거나 잠을 자고 일어나더라도 몸이 개운하지가 못하고 오히려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고, 분해시에는 침대의 구성품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특히 각종 산업현장, 야외활동 및 병영훈련 등과 같이 좁은 공간이나 이동이 잦은 생활에서도 잠자리만큼은 편하고 안락하게 할 수 있는 목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국산 낙엽송 및 잣나무 간벌재를 사용함으로써, 목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건강에도 유익한 웰빙(well-being) 조립식 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는, 상기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은 각각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판과 발판은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3개의 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3개의 측판은 각각 상기 머리판과 발판에 각각 형성된 측판삽입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측판의 상단(上端)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판의 각 단부(端部)가 얹혀서 걸릴 수 있도록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의 단턱을 형성하며, 머리판과 발판은, 각각 2개씩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된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1조(組)의 머리판과 발판을, 각각 2조씩을 서로 경첩으로 연결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침대를 구성하는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은 모두 낙엽송이나 잣나무 등의 목재를 사용하며, 상판의 하부에는 방진테이프 또는 방진고무가 더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로 구성되는 조립식 침대는, 분해와 조립이 간편하고, 분해시에는 침대의 구성품을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나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에도 가벼우며, 특히 각종 산업현장, 야외활동 및 병영훈련 등과 같이 좁은 공간이나 이동이 잦은 생활에서도 잠자리만큼은 편하고 안락하게 할 수 있고, 침대의 소재로 국산 낙엽송 및 잣나무 간벌재를 사용함으로써, 목재의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건강에도 유익한 웰빙 조립식 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침대는 머리판(110), 발판(120), 측판(130) 및 상판(14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머리판(110), 발판(120), 측판(130) 및 상판(140)은 각각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판(110)과 발판(120)은 경첩(117, 127)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판(130)은 3개의 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3개의 측판(130)은 각각 상기 머리판(110)과 발판(120)에 각각 형성된 측판삽입홈(115, 125)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측판의 상단(上端)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판(140)의 각 단부(端部)가 얹혀서 걸릴 수 있도록 바깥쪽에 위치하는 측판(13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의 단턱을 형성해 둠으로써 상판(140)이 측판(130)에 쉽게 맞춰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가운데 위치하는 측판은 상판(140)을 받쳐주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단턱이 형성되지 않고 그 높이도 양쪽 바깥쪽에 위치하는 측판의 단턱의 낮은 부분의 높이와 같아야 할 것이다.
머리판(110)과 발판(120)은, 각각 2개씩의 지주(111, 121)와 상기 지주 사이에 결합된 연결판(113, 123)으로 구성되는 1조(組)의 머리판과 발판을, 각각 2조씩을 서로 경첩(117, 127)으로 연결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의 가장 특징적인 것 중의 하나는 머리판(110), 발판(120), 측판(130) 및 상판(140)은 모두 재질이 목재, 특히 국내산 낙엽송, 잣나무 등의 간벌재를 사용함으로써, 향기도 좋거니와 목재가 모두 국산이므로 건강에도 매우 유익하고, 목재의 활용도도 높인다는 것이다.
상판(140)은 머리판(110)과 발판(120)에 결합된 측판(130)의 상부에 깔아서 사용하는데, 상판(140)은 측판(13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거나 슬라이딩하면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측판(130)의 상부에 얹혀지는 상판(140)의 하부에 방진테이프(141)나 방진고무 등을 더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판(140)은 판자 형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상판(14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측면을 따라 일측에는 오목부(143), 타측에는 상기 오목부(143)에 끼워지는 볼록부(145)를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판(140)과 측판(130)은, 상판(140)을 측판(130) 위에 아무런 연결수단 없이 그냥 깔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상판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상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립식 침대 110 : 머리판
111, 121 : 지주 113, 123 : 연결판
115, 125 : 측판삽입홈 117, 127 : 경첩
120 : 발판 130 : 측판

Claims (5)

  1.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으로 구성된 조립식 침대에 있어서,
    상기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은 각각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판과 발판은 각각 경첩에 의해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3개의 측판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3개의 측판은 각각 상기 머리판과 발판에 각각 형성된 측판삽입홈에 끼워져서 결합되며, 바깥쪽에 위치하는 상기 측판의 상단(上端)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는 상기 상판의 각 단부(端部)가 얹혀서 걸릴 수 있도록 측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의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머리판과 발판은, 각각 2개씩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에 결합된 연결판으로 구성되는 1조(組)씩의 머리판과 발판을, 2조씩을 서로 경첩으로 연결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판, 발판, 측판 및 상판은 모두 재질이 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방진테이프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오목부, 타측에는 상기 오목부에 끼워지는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침대.
KR2020080002669U 2007-08-21 2008-02-28 조립식 침대 KR2004430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669U KR200443037Y1 (ko) 2007-08-21 2008-02-28 조립식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794 2007-08-21
KR2020080002669U KR200443037Y1 (ko) 2007-08-21 2008-02-28 조립식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037Y1 true KR200443037Y1 (ko) 2009-01-08

Family

ID=444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669U KR200443037Y1 (ko) 2007-08-21 2008-02-28 조립식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0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50A (ko) * 2017-10-24 2019-05-03 김진호 목재판의 결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450A (ko) * 2017-10-24 2019-05-03 김진호 목재판의 결합구조
KR102020669B1 (ko) * 2017-10-24 2019-11-04 김진호 목재판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81799U (zh) 具有补强单元的简易折叠床
KR200443037Y1 (ko) 조립식 침대
JP2022133377A (ja) 組み立て式ロフトベッド
CN206102165U (zh) 一种折叠床
US7669254B2 (en) Convertible furniture
KR101459661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CN204862149U (zh) 一种折叠布料床
KR101308524B1 (ko) 절첩식 마루형 좌대
JP3217939U7 (ko)
KR100563268B1 (ko) 학생용 침대
CN208784116U (zh) 一种折叠式沙发架
KR200339132Y1 (ko) 조립식 침대
CN201683466U (zh) 折叠行军床
CN201431157Y (zh) 多功能积木式组合家具
CN215776813U (zh) 一种塑胶板床架
KR200474172Y1 (ko) 쇼파 변환 침대
KR20090000448U (ko) 휴대용 조립형 평상
CN214127788U (zh) 折叠床架
CN204169433U (zh) 一种棕棚床
KR101459662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KR200448465Y1 (ko) 침대프레임의 결합구조
CN213097115U (zh) 折叠床
CN212995629U (zh) 一种公寓床
CN204499046U (zh) 冬夏两用的宠物沙发
CN220045380U (zh) 一种方便拆装的家庭铁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