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497B1 -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 Google Patents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497B1
KR102038497B1 KR1020190026142A KR20190026142A KR102038497B1 KR 102038497 B1 KR102038497 B1 KR 102038497B1 KR 1020190026142 A KR1020190026142 A KR 1020190026142A KR 20190026142 A KR20190026142 A KR 20190026142A KR 102038497 B1 KR102038497 B1 KR 10203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astening
viewing frame
assembly
grand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2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소정의 체결 수단인 체결부에 의해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 및 상기 베이스 상부가 상기 베이스 하부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 하부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FOOTBOARD ASSEMBLY FOR MULTI-STAGE BLEACHERS AND MULTI-STAGE BLEACHERS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체결 수단인 체결부에 의해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 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지면 상에 직립되는 관람 프레임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다단 관람석 조립체(한국특허공보 제10-0941635호, 2010. 02. 03 등록, 도 17 참조)는 작업자가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관람 프레임의 하측에서 체결 볼트를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와 관람 프레임을 서로 결합시켰다. 이러한 방식은, 높은 위치에 있는 관람 프레임과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를 조립시킬 경우, 작업자가 추락하여 부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위에서 사람이 지나다닐수록 관람 프레임과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를 서로 체결시키는 체결 볼트의 체결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조립 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관람 프레임과의 체결력이 약화되지 않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소정의 체결 수단인 체결부에 의해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 및 상기 베이스 상부가 상기 베이스 하부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 하부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1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상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측에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2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하부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 보다 더 넒은 너비로서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모두가 상기 제2 관통부에 통과되고, 상기 제1 체결부만 상기 제1 관통부에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부의 너비보다 더 크게 너비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부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관통부의 둘레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베이스부와 분리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된 후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된 상기 마개부가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마개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안착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마개 상부 및 상기 마개 상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인 가이드 공간 상에 배치되는 마개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연장부는, 상측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마개부에 작용되어, 상기 제2 위치인 상기 마개부가 상기 제1 위치로 위치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와 이웃되는 상기 마개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조립체는, 지면상에 직립되는 관람 프레임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안착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관람석 조립체는, 상기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 및 상기 베이스 상부가 상기 베이스 하부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 하부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는 작업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제1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X - X'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제2 베이스부와 제3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마개부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다단 관람석 조립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에서 마개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조립체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 조립체(B10)는 지면상에 직립되는 관람 프레임부(100),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안착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300) 및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300)를 체결시키는 체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는 후술하는 베이스부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의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는 복 수의 단을 형성되어 복 수의 베이스부가 안착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체결부(200)는 상기 베이스 하부(312a)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체결부(210, 도 6 참조) 및 상기 제1 체결부(210) 보다 더 넒은 너비로서 상기 제1 체결부(210)에 연결되는 제2 체결부(220), 도 6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체결부(210)의 직경은 상기 제2 체결부(220)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2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200)는 볼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체결부(20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300)가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안착되어, 사람들이 걸어 다닐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300)는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체결부(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20) 및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체결부(200)를 은닉시키는 마개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30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제1 베이스부(310a),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베이스부(310b) 및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3 베이스부(310c)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310a), 상기 제2 베이스부(310b) 및 상기 제3 베이스부(310c)는 후술하는 베이스 돌출부와 베이스 함입부의 유무에 차이만 있고, 나머지 기술적 특징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1 베이스부(310a)를 기준으로 설명을 하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제1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X - X'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소정의 체결 수단인 체결부에 의해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311a),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312a) 및 상기 베이스 상부(311a)가 상기 베이스 하부(312a)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312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311a)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는 상기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311a),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312a) 및 상기 베이스 상부(311a)가 상기 베이스 하부(312a)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312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311a)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313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일측단과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일 측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일측부(314a) 및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타측단과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베이스 타측부(31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상부(311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상부(311a)는 직사각형의 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상부(311a)에는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2 관통부(h31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일단부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타단부까지 제2 관통부(h311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베이스 하부(312a)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하부(312a)는 직사각형의 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하부(312a)에는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1 관통부(h31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일단부와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타단부 각 각에 상기 제1 관통부(h312a)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는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일단부에 하나의 제1 관통부(h3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부(h312a)의 개 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체결부(210)와 상기 제2 체결부(220)가 모두가 상기 제2 관통부(h311a)에 통과되고, 상기 제1 체결부(210)만 상기 제1 관통부(h312a)에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관통부(h311a)의 너비는 상기 제1 관통부(h312a)의 너비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관통부(h311a)는 베이스 상부(311a)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타측까지 상기 베이스 상부(311a)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부(h311a)의 폭(P10)은 상기 제1 관통부(h312a)의 직경(D10)보다 더 클 수 있다.
베이스 중부(313a)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중부(313a)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 하부(312a)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2 개의 베이스 중부(313a)가 상기 베이스 상부(311a)와 상기 베이스 하부(312a)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 상부(311a)와 상기 베이스 하부(312a)에 연결되는 베이스 중부(313a)의 개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중부(313a)는 일측 베이스 중부(313a-1) 및 상기 일측 베이스 중부(313a-1)와 이격되는 타측 베이스 중부(313a-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베이스부(310a)는 상술한 베이스 상부(311a), 베이스 하부(312a), 베이스 중부(313a)(일측 베이스 중부(313a-1), 타측 베이스 중부(313a-2)), 베이스 일측부(314a) 및 베이스 타측부(315a)를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부(310a)는 상기 베이스 일측부(314a)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2 베이스부(310b)의 제2 베이스 함입부(317b)에 삽입되는 제1 베이스 돌출부(316a-1, 316a-2) 및 후술하는 상기 제3 베이스부(310c)의 베이스 일측부(314a)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베이스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베이스 함입부(317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베이스 돌출부(316a-1, 316a-2)는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의 베이스 일측부(314a)()로부터 연장되는 제1-1 베이스 돌출부(316a-1) 및 상기 제1-1 베이스 돌출부(316a-1)와 연결되며 상기 제1-1 베이스 돌출부(316a-1)보다 높이가 더 긴 제1-2 베이스 돌출부(316a-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베이스 돌출부(316a-1, 316a-2)가 상기 제2 베이스 함입부(317b)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와 상기 제2 베이스부(310b)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의 베이스 타측부(315a)의 일부는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베이스부(310a)의 베이스 타측부(315a)가 관통된 부분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함입부(31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는 상기 체결부(200)가 상기 제2 관통부(h311a)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부(h312a)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관통부(h312a)의 둘레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상부(311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20)의 상면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마개부(330)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안착 영역(A320)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상면, 상기 제2 관통부(h311a)의 내면 및 상기 가이드부(320)의 상면은 소정의 단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상기 마개 상부(33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은 상기 체결부가 통과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S3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20)가 상기 안착 영역(A320)을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제2 관통부(h311a)에 삽입된 상기 마개부(330)가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제2 베이스부와 제3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a)는 제2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3 베이스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베이스부(310b)도 상술한 베이스 상부(311b), 베이스 하부(312b), 베이스 중부(313b), 베이스 일측부(314b) 및 베이스 타측부(315b) 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이스부(310b)는 상기 제2 베이스부(310b)의 베이스 타측부(315b)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 돌출부(316a-1, 316a-2)가 삽입되는 제2 베이스 함입부(317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함입부(317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베이스부(310b)의 베이스 타측부(315b) 일부는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베이스부(310b)의 베이스 타측부(315b)가 관통된 부분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베이스 함입부(317b)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 베이스부(310a)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한 제2 베이스부(310b)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3 베이스부(310c)도 상술한 베이스 상부(311c), 베이스 하부(312c), 베이스 중부(313c), 베이스 일측부(314c) 및 베이스 타측부(315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베이스부(310c)는 상기 제3 베이스부(310c)의 일측부(314c)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베이스 함입부(317a)에 삽입되는 제3 베이스 돌출부(316c-1, 316c-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베이스 돌출부(316c-1, 316c-2)는 상기 제3 베이스부(310c)의 베이스 일측부(314c) 로부터 연장되는 제3-1 베이스 돌출부(316c-1) 및 상기 제3-1 베이스 돌출부(316c-1)와 연결되며 상기 제3-1 베이스 돌출부(316c-1)보다 높이가 더 긴 제3-2 베이스 돌출부(316c-2)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제1 베이스부(310a)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한 제3 베이스부(310c)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베이스 돌출부와 베이스 함입부 구조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310a, 도 2 참조), 상기 제2 베이스부(310b) 및 상기 제3 베이스부(310c)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마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베이스부(310a, 310b, 310c, 도 2 내지 도 4 참조)와 분리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관통부(h311a)에 삽입되는 마개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는 상기 안착 영역(A320, 도 3 참조)에 안착되는 마개 상부(331) 및 상기 마개 상부(33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32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인 가이드 공간(S320, 도 3 참조) 상에 배치되는 마개 연장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외면의 일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과 밀착되는 마개 돌출부(3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개 상부(33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개 상부(331)는 직사각형의 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마개 상부(331)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 상면으로부터 상기 마개부(330)가 용이하게 식별되기 위해서, 상기 마개 상부(331)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 상부(311a, 311b, 311c, 도 2 내지 도 4 참조)의 상면과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개 상부(331)의 상면에는 복 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 연장부(332)는 상기 마개 상부(331)의 하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측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마개부(330)에 작용되어, 상기 제2 위치인 상기 마개부(330)가 분리되는 상기 제1 위치로 위치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320)의 하단부와 이웃되는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 공간(S320) 방향으로 경사(U10)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일단부는 상기 마개 상부(331)의 하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320)의 하단부와 이웃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마개 돌출부(333)는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가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가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마개부(330)는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마개부(33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관람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다단 관람석 조립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상기 베이스부(제1 베이스부(310a), 제2 베이스부(310b) 및 제3 베이스부(310c))가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베이스 상부(311a)의 상면에 올라간 상태로 상기 체결부(200)를 이용해 상기 베이스부(310a, 310b, 310c)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를 서로 체결시킬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 도 2 내지 도 4 참조)는 상기 체결부(200)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c)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c)는 상기 체결부(200)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c)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c)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1 관통부(h312a, h312b, h312c, 도 2 내지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부(311a, 311b, 311c, 도 2 내지 도 4 참조)는 상기 체결부(200)가 상기 베이스 상부(311a, 311b, 311c)의 상측에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h312a, h312b, h312c)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311a, 311b, 311c)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311a, 311b, 311c)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2 관통부(h311a, h311b, h311c, 도 2 내지 도 4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체결부(200)가 상기 제2 관통부(h311a, h311b, h311c), 상기 가이드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부(h312a, h312b, h312c)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체결부(210)는 상기 제1 관통부(h312a, h312b, h312c)를 통과하여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형성된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체결부(220)는 상기 베이스 하부(312a, 312b, 312c)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다단 관람석 조립체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b)는 도 7(a)의 X -X'에 대한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상기 마개 연장부(332)를 상기 가이드 공간(S320)에 배치하고, 상기 마개 상부(331)의 하면이 상기 안착 영역(A320)에 안착되도록 상기 마개부(33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체결부(200)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h312a, h312b, h312c)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100)에 연결된 후 상기 마개부(330)가 상기 제2 관통부(h3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330)로 인해 하측 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00)가 은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측 방향으로 낙하되는 물 혹은 이물질로부터 상기 체결부(200)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가 구비하는 베이스부 상에서 마개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단 관람석 조립체는 소정의 목적에 의해 소정 장소에 조립되어 설치된 후에, 소정의 목적이 달성되면, 조립 해체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단 관람석 조립체가 해체되기 위하여, 작업자는 제2 위치인 상기 마개부(330)를 제1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하단부에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 돌출부(333)가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에 밀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작업자가 제2 위치인 상기 마개부(330)를 제1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 연장부(332)의 타단부가 경사(U10)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타단부 형성된 경사 부분에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마개 연장부(332)에는 수평 방향의 외력과 상측 방향의 외력이 동시에 작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상기 가이드 공간(S320)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마개 돌출부(3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상기 가이드 공간(S320)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마개 돌출부(33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320)의 내면과 이격된 후, 상기 마개 연장부(332)는 상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마개 연장부(332)의 하단부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마개 상부(331)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면, 상기 마개 상부(331)에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마개부(330)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마개부(330)를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체결부를 상기 관람 프레임부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제1 관통부와 상기 제2 관통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베이스부를 상기 관람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자는 상기 다단 관람석 조립체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B10 : 다단 관람석 조립체 100 : 관람 프레임부
200 : 체결부 300 :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Claims (8)

  1. 소정의 체결 수단인 체결부에 의해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에 있어서,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
    상기 베이스 상부가 상기 베이스 하부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 및
    상기 베이스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1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상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측에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2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베이스 상부와 분리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된 후,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베이스 하부와 상기 관람 프레임부를 서로 결합시키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 보다 더 넒은 너비로서 상기 제1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2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관통부는,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모두가 상기 제2 관통부에 통과되고, 상기 제1 체결부만 상기 제1 관통부에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부의 너비보다 더 크게 너비가 형성되어 있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관통부로 이동되는 것이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2 관통부의 둘레에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된 상기 마개부가 하측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마개부가 안착되는 소정의 영역인 안착 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안착 영역에 안착되는 마개 상부 및 상기 마개 상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인 가이드 공간 상에 배치되는 마개 연장부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연장부는,
    상측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의 외력이 상기 마개부에 작용되어, 상기 제2 위치인 상기 마개부가 상기 제1 위치로 위치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부와 이웃되는 상기 마개 연장부의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8. 지면상에 직립되는 관람 프레임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안착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를 체결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는,
    관람객이 이동할 수 있는 소정의 이동 영역을 제공하는 베이스 상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베이스 하부, 상기 베이스 상부가 상기 베이스 하부를 기준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상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중부 및 상기 베이스 상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하부는,
    상기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통과되어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하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하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1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상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측에서부터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베이스 상부의 하면까지 관통된 제2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부는,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베이스 상부와 분리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가 하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관통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람 프레임부에 연결된 후, 상기 제2 관통부에 삽입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KR1020190026142A 2019-03-07 2019-03-07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KR10203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42A KR102038497B1 (ko) 2019-03-07 2019-03-07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42A KR102038497B1 (ko) 2019-03-07 2019-03-07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497B1 true KR102038497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142A KR102038497B1 (ko) 2019-03-07 2019-03-07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43B1 (ko) * 2020-10-15 2021-08-25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77A (ko) * 2007-12-06 2009-06-11 서세원 건축물 바닥 보호구조
KR20110002802U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77A (ko) * 2007-12-06 2009-06-11 서세원 건축물 바닥 보호구조
KR20110002802U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43B1 (ko) * 2020-10-15 2021-08-25 주식회사 호수산업 조립식 관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51B1 (ko) 다단 관람석용 차단 모듈
KR102038497B1 (ko) 다단 관람석용 발판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다단 관람석 조립체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2374283B1 (ko) 탄성결합 클립형 데크로드와 결속력 강화 확장형 난간 및 h빔 구조를 갖는 데크로드 시스템
KR101991294B1 (ko) 수평조절장치를 갖는 조립식 펜스
US8820011B1 (en) Stage flo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370194B1 (ko) 보행공간을 확장한 h빔 구조 데크로드 시스템
EP2812517A1 (de) Tribüne
KR20220118159A (ko) 조립식 안전 펜스
KR101627994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JP7375293B2 (ja) 重なった欄干が保管される側面組立体、ベース組立体をカバーする後側カバー組立体およびこれらを含む多段観覧席
KR100582995B1 (ko)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0971035B1 (ko) 목재기둥 구조물
KR102022515B1 (ko) 조립이 간편하고 내진지지구조를 구비한 관람석
CN101109240B (zh) 一种二层帐篷房
KR102478653B1 (ko) 조립식 안전 펜스
US20190128014A1 (en) Fence corner support
KR200390337Y1 (ko) 우산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KR101693027B1 (ko) 보드판마감재를 포함한 휀스기둥
KR200497036Y1 (ko) 캣타워
KR101553864B1 (ko) 울타리용 지주
KR101690504B1 (ko)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2100690B1 (ko) 연결유닛을 이용한 데크 난간 기둥
JP7247449B2 (ja) 建物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