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616B1 - 조립식 통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통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616B1
KR101967616B1 KR1020180030028A KR20180030028A KR101967616B1 KR 101967616 B1 KR101967616 B1 KR 101967616B1 KR 1020180030028 A KR1020180030028 A KR 1020180030028A KR 20180030028 A KR20180030028 A KR 20180030028A KR 101967616 B1 KR101967616 B1 KR 10196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base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함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신상 filed Critical 함신상
Priority to KR102018003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인 이동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통로 시스템 {Prefabrication type passage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통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관람석 의자 등이 배치되는 트러스 구조물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인접한 통로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 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은, 관람석단이 펼쳐졌을 때,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물이다.
기술 분야가 다소 상이하나, 생산 및 현장설치 작업이 용이한 건축용 안전발판(한국특허등록 제10-1571542호)을 참조하면, 발판부의 전후 측에 덧대어져 용접되는 마구리부가 파이프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지지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한다.
그러나,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가해지는 사용자 등의 하중이 고리 형태의 상기 마구리부에 집중되어 상기 마구리부와 발판부의 연결부분이 파손/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 등이 낙상할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파이프에 안착된 마구리부가 파이프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위치 이동되어 사용자 등이 중심을 잃어 낙상하는 사고도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람석단에 배치된 통로용 반팔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통로 시스템(등록번호 제10-1627994호)을 개발하였다.
다만, 새로 개발한 상기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걸림부와 통과부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부를 기준으로 플레이트가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걸림부는 지지부의 일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만, 타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지 못해,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람석 의자 등이 배치되는 트러스 구조물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인접한 통로 플레이트와 체결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인 이동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상기 제1 측면부를 가 고정시키는 제1 가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 고정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안착부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 가 고정면 및 상기 제1 가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 고정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걸림부가 통과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의하면,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플레이트)이 사용자 등의 하중을 분산시켜 지지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하게 배치되는 통로 플레이트간에 체결 구조로, 외력에 의한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동안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람석단의 트러스 구조에 착탈이 용이하여 설치/해제가 간편하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에도 흔들림이 없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간격 조정 장치없이 복수의 지지부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포함하는 관람석단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측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조립되는 과정 중에서 일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조립되는 과정 중에서 일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X-X'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보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일종의 발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다수의 가동 관람석단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힐 수 있으며, 접힌 경우에는 접힌 공간만큼 공간이 확보되어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펼쳐 놓은 경우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다단으로 앉을 수 있는 공간과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람석의 전방에 배치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용 발판은, 모듈화된 관람석단의 일 구성요소로 관람석단에 부착될 수 있으나, 관람석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관람석단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들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람석단이 배치된 이후, 별도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람석단이 설치되는 공간의 환경에 따라 관람석단의 배치를 달리하는 경우, 인접한 관람석단의 발판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은 인접한 관람석단의 발판과의 연속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발판과 지지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흔들림을 최소화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1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200), 상기 제1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플레이트(200)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100)에 연결되는 제3 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400) 및 제2 지지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의 일 측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의 타 측은 상기 제2 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400) 및 상기 제2 지지부(5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트러스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지지부(400) 및 상기 제2 지지부(500)의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지지부(400)와 상기 제2 지지부(500)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2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플레이트(300)에 대한 자세한 서술은 상기 제2 플레이트(200)에 대한 서술로 갈음한다.
이하,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및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측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되는 제1 베이스부(110) 및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상기 제1 측면부(120)를 가 고정시키는 제1 가 고정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일종의 보행로일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1 가 고정부(13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1a, 131b)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와 연결되는 제1 안착부(132a, 1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31a, 131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양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제1 연결부(131a, 131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일측연결부(131a) 및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1 타측연결부(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 및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일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 및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직교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착부(132a, 132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는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와 연결되는 제1 일측안착부(132a) 및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와 연결되는 제1 타측안착부(1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는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1 일측안착부(132a)는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와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타측안착부(132b)는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와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상기 제1 가 고정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가 고정부(13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양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측면부(120)는 바람직하게 두 개로서,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각각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측면부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제1 가 고정면(121) 및 상기 제1 상부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와 이격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400)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면(1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가 고정면(121)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 고정면(121)은 사각 판 형상으로서, 일면을 이루는 제1 가 고정일면(121a), 타면을 이루는 제1 가 고정타면(121b), 측면을 형성하는 제1 가 고정상면(121c), 제1 가 고정하면(121d), 제1 가 고정우면(121e) 및 제1 가 고정좌면(121f)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 고정상면(121c)은 상기 제1 가 고정우면(121e) 및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 고정하면(121d)은 상기 제1 가 고정우면(121e) 및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 고정상면(121c)은 상기 제1 가 고정하면(121d)과 서로 평행 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과 상기 제1 가 고정우면(121e)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또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가 고정되거나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또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가 고정상면(121c)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 고정하면(121d)은 상기 제1 일측안착부(132a) 및 상기 제1 타측안착부(132b)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 고정우면(121e)은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은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제1 결합면(122)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면(122)은 사각 판 형상으로서, 일면을 이루는 제1 결합일면(122a), 타면을 이루는 제1 결합타면(122b), 측면을 형성하는 제1 결합상면(122c), 제1 결합하면(122d), 제1 결합우면(122e) 및 제1 결합좌면(122f)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상면(122c)은 상기 제1 결합우면(122e) 및 상기 제1 결합좌면(122f)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하면(122d)은 상기 제1 결합우면(122e) 및 상기 제1 결합좌면(122f)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상면(122c)은 상기 결합하면과 서로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좌면(122f)과 상기 제1 결합우면(122e)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결합상면(122c)은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상면(122c)은 상기 제1 가 고정좌면(121f)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또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가 고정되거나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또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좌면(122f) 및 상기 제1 결합우면(122e)은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 및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와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하면(122d)은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 및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면(122)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000, 도 10 참조)가 체결되는 제1 중공(h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중공(h1)은 상기 제1 결합일면(122a)에서부터 상기 제1 결합타면(122b)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 고정면(121)과 상기 제1 결합면(12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1 가 고정면(121)과 상기 제1 결합면(122)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의해 상기 제1 베이스부(110)를 기준으로 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 고정이란 외력이 작용될 경우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접촉되고 있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 및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의 부분에 대해서 고정 과정을 시행하여 상기 제1 측면부(120)를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과정은 용접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고정 과정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200)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부(210),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220) 및 상기 제2 측면부(22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200)는 상기 제2 측면부(220)가 상기 제1 베이스부(110)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상기 제2 측면부(220)는 가 고정시키는 제2 가 고정부(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람석에 착석한 사용자가 발을 지지하거나, 관람석 간의 이동을 위해 사용자가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일종의 보행로일 수 있다.
제2 베이스부(2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이스부(21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베이스부(21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가 고정부(23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베이스부(210)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231a, 231b)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 연결부(231a, 231b)와 연결되는 제2 안착부(232a, 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31a, 231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31a, 231b)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양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31a, 231b)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일측연결부(231a) 및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타측연결부(2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 및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일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 베이스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 및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하면과 직교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착부(232a, 232b)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232a, 232b)는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와 연결되는 제2 일측안착부(232a) 및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와 연결되는 제2 타측안착부(232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안착부(232a, 232b)는 상기 제2 연결부(231a, 231b)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일측안착부(232a)는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와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베이스부(210)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타측안착부(232b)는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와 직교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베이스와 평행하도록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제2 베이스부(210)와 상기 제2 가 고정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가 고정부(230)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베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측면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양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측면부(220)는 바람직하게 두 개로서,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각각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측면부(220)는 사각 판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일면을 이루는 제2 측면일면(221), 타면을 이루는 제2 측면타면(222), 측면을 형성하는 제2 측면상면(223), 제2 측면하면(224), 제2 측면우면(225) 및 제2 측면좌면(226)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측면상면(223)은 상기 제2 측면우면(225) 및 제2 측면좌면(226)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면하면(224)은 상기 제2 측면우면(225) 및 상기 제2 측면좌면(226)과 소정의 각도, 일례로 직교하는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측면상면(223)은 상기 제2 측면하면(224)과 서로 평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측면좌면(226)과 상기 제2 측면우면(225)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 및/또는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에 가 고정되거나, 상기 제2 베이스부(210) 및/또는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제2 측면상면(223)은 상기 제2 베이스부(2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면하면(224)은 상기 제2 일측안착부(232a) 및 상기 제2 타측안착부(232b)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면우면(225)은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면좌면(226)은 상기 제2 일측연결부(231a)의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2 플레이트(200)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제2 측면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220)에는 제2 걸림부(2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240)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2 걸림부(240)는 상기 제2 측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241) 및 상기 제2 돌출부(241)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절곡부(2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240)는 상기 제2 측면부(220)의 일 방향으로 편향되는 위치에 상기 제2 측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제2 걸림부(240)는 상기 제2 측면부(220)의 중앙의 위치에 상기 제2 측면부(22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220)에는 제2 중공(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중공(h2)은 상기 제2 측면부(220)의 제2 측면일면(221)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타면(222)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에 의해 상기 제2 베이스부(210)를 기준으로 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2 가 고정부(230)의 일단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 고정이란 외력이 작용될 경우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측면부(220)와 접촉되고 있는 제2 베이스부(210), 상기 제2 연결부(231a, 231b) 및 상기 제2 안착부(232a, 232b)의 부분에 대해서 고정 과정을 시행하여 상기 제2 측면부(220)를 상기 제2 베이스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과정은 용접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고정 과정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연결되는 제3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3 베이스부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3 베이스부에 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3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3 베이스부에 상기 제3 측면부를 가 고정시키는 제3 가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는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3 베이스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3 가 고정부는 제3 연결부 및 제3 안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안착부는 상기 제2 안착부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3 측면부는 일면을 이루는 제3 측면일면, 타면을 이루는 제3 측면타면, 측면을 형성하는 제3 측면상면, 제3 측면하면, 제3 측면우면 및 제3 측면좌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3 걸림부는 제3 돌출부 및 제3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걸림부는 상기 제2 걸림부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제3 측면부에는 제3 걸림부가 돌출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제3 측면부에는 제3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제1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400)는 제1 프레임(410), 상기 제1 프레임(4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420) 및 제2 가이드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400)는 제1 프레임(410) 및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2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걸림부(240)가 통과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200)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40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걸림부(340)가 통과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3 플레이트(300)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420)는 상기 제1 측면부(120)가 상기 제1 프레임(41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430)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4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프레임(41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안착되는 제1 지지프레임(411) 및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을 지지하는 제1 하부프레임(412)으로 이루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은 각각의 면을 이루는 제1 지지상면(411a), 제1 지지하면(411b), 제1 지지우측면(411c) 및 제1 지지좌측면(411d)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하부프레임(412)은 트러스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420)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420)는 상기 제2 걸림부(240)가 삽입 이동될 수 있는 제4 중공(h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430)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430)는 상기 제3 걸림부(340)가 삽입 이동될 수 있는 제5 중공(h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에는 제6 중공(h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중공(h6) 및 상기 제1 중공(h1)에 후술하는 결합부재(1000)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400)와 제2 지지부(500, 도 7 참조)는 동일한 구조로서,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명칭을 서로 상이하게 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500)는 제2 프레임(510, 도 7 참조), 제3 가이드부(520, 도 7 참조) 및 제4 가이드부(530, 도 7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프레임(510)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안착되는 제2 지지프레임(511, 도 7 참조) 및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을 지지하는 제2 하부프레임(512, 도 7 참조)으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에는 제9 중공(h9,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은 각각의 면을 이루는 제2 지지상면(511a, 도 7 참조), 제2 지지하면(511b, 도 7 참조), 제2 지지우측면(511c, 도 7 참조) 및 제2 지지좌측면(511d, 도 7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가이드부(520)는 제7 중공(h7,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가이드부(530)는 제8 중공(h8,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조립되는 과정 중에서 일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및 제3 플레이트(3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2 플레이트(200)의 상기 제2 타측연결부(231b)의 외면과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 일측연결부(131a)의 외면은 서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플레이트(300)의 상기 제3 일측연결부의 외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 타측연결부(131b)의 외면과 서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연결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6,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 지지부(400) 및 상기 제2 제2 지지부(500) 상에서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부(400)를 향하여 이동되는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베이스부(110), 상기 제2 베이스부(210) 및 상기 제3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 지지부(400)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인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걸림부(240)는 상기 제1 가이드부(420)의 상기 제4 중공(h4)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걸림부(240)는 상기 제1 가이드부(42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걸림부(340)는 상기 제2 가이드부(430)의 상기 제5 중공(h5)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걸림부(340)는 상기 제2 가이드부(43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측면부(120)는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상기 제1 지지부(400)의 상기 제1 지지좌측면(411d)이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상기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 상기 제2 베이스부(21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와 상기 제2 플레이트(2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120)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걸림부(240)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Q1)과 반대 방향(Q2)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b)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상기 제1 지지부(400)의 측면이 서로 접촉된 후,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지지상면(411a)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제1 결합면(122)의 상기 제1 중공(h1)과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의 상기 제6 중공(h6)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또는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상기 제1 결합면(122)의 상기 제1 중공(h1)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의 제9 중공(h9)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또는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240)의 제2 절곡부(242)는 상기 제1 지지우측면(411c)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걸림부(240)가 상기 제1 가이드부(420)에 통과된 후, 상기 제2 걸림부(240)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2 측면부(120)가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걸림부(340)의 제3 절곡부는 상기 제1 지지우측면(411c)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걸림부(340)가 상기 제2 가이드부(430)에 통과된 후, 상기 제3 걸림부(340)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기 3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부(240)가 연결되는 상기 제2 측면부(220)는 상기 제1 가이드부(420)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걸림부(340)가 연결되는 상기 제3 측면부(320)는 상기 제2 가이드부(430)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232a, 232b) 및 상기 제3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중공(h2)이 형성되는 상기 제2 측면부(220)의 내면은 상기 제2 지지부(500)의 상기 제3 가이드부(520)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중공(h3)이 형성되는 상기 제3 측면부(320)의 내면은 상기 제2 지지부(500)의 상기 제4 가이드부(530)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부(232a, 232b) 및 상기 제3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결합부재(1000)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가 상기 제1 지지부(400)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40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부재(1000)에 의해 상기 제1 측면부(120)와 상기 제1 지지프레임(411)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1 지지부(400)를 기준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의 일부는 상기 제1 지지상면(411a)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베이스부(110)가 상기 지지부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 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1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일단까지 연장되는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는 상기 제1 지지상면(411a)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안착부(132a, 132b)의 일부의 내면, 상기 제1 가 고정일면(121a), 상기 제1 베이스부(110)의 내면, 상기 제1 연결부(131a, 131b)의 일부의 내면 및 제1 지지상면(411a)은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120), 상기 제1 가 고정부(130), 상기 제1 베이스부(110) 및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상기 제1 베이스부(110)와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20)는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좌측면(411d)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플레이트(100)가 상기 제1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결합일면(122a)은 상기 제1 지지좌측면(411d)과 접촉되며, 상기 제1 중공(h1)과 상기 제6 중공(h6)에 체결 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100)는 상기 제1 지지대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사용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상기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가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조립되는 과정 중에서 일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X-X'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은, 제4 플레이트(600), 제5 플레이트(700), 제6 플레이트(800) 및 제3 지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플레이트(600)는 제1 플레이트(1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플레이트(700)는 상기 제2 플레이트(2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플레이트(800)는 상기 제3 플레이트(3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지지부(900)는 상기 제1 지지부(400) 및/또는 상기 제2 지지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명칭을 부여한 것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5 플레이트(700)는 상기 제2 지지부(500) 및 상기 제3 지지부(900) 상에서 지지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500)를 향하여 이동되는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상기 제2 지지부(500)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는 상기 제2 지지부(500)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인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5 플레이트(700)의 제5 걸림부(740)는 상기 제3 가이드부(520)의 제7 중공(h7, 도 7 참조) 및 상기 제2 측면부(220)의 제2 중공(h2, 도 7 참조)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걸림부(740)는 상기 제3 가이드부(52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6 플레이트(800)의 제6 걸림부(840)는 상기 제4 가이드부(530)의 제4 가이드부(530)의 제8 중공(h8, 도 7 참조) 및 상기 제3 측면부(320)의 제3 중공(h3, 도 7 참조) 상에서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6 걸림부(840)는 상기 제4 가이드부(530)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잇다.
상기 제4 플레이트(600)의 제4 측면부(620)는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Q1)으로 상기 제4 베이스부(610)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측면부(620)와 상기 제2 지지부(500)의 상기 제2 지지좌측면(511d, 도 7 참조)이 접촉될 때까지,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는 상기 이동 방향(Q1)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제4 베이스부 및 제5 베이스부는 상기 제4 플레이트(600)와 상기 제5 플레이트(700)가 상기 제2 지지부(500)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4 측면부(620)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Q1)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5 걸림부(740)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Q1)과 반대 방향(Q2)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상기 이동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4 측면부(620)와 제2 지지측면이 서로 접촉된 후,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는 중력 방향(G)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지지상면(511a, 도 7 참조)에 안착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4 측면부(620, 도 9 참조)에 형성되어 있는 제10 중공(h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에 형성되어 있는 제9 중공(h9, 도 7 참조)이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 되는 경우,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또는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걸림부(740)의 제5 절곡부(742)는 상기 제2 지지우측면(511c, 도 7 참조)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6 걸림부(840)의 제6 절곡부(842)는 상기 제2 지지우측면(511c, 도 7 참조)과 접촉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5 걸림부(740)는 상기 제2 중공(h2) 및 상기 제7 중공(h7)이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걸림부(840)는 상기 제3 중공(h3, 도 7 참조) 및 상기 제8 중공(h8)이 제공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걸림부(740)가 연결되는 제5 측면부(720)는 상기 제2 중공(h2)이 형성되는 제2 측면부(22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걸림부(840)가 연결되는 제6 측면부(820)는 상기 제3 중공이 형성되는 제3 측면부(320)와 접촉될 수 있다.
결합부재(1000)는 상기 제4 측면부(620), 상기 제1 가 고정부(130, 도 3 참조)의 타단에 배치된 상기 제1 측면부(1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4 측면부(620)의 제4 결합면(622)은 상기 제2 지지좌측면(511d, 도 7 참조)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타단에 배치된 상기 제1 측면부(120)의 제1 결합면(122)은 상기 제2 지지우측면(511c, 도 7 참조)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4 결합면(622)에 형성되어 있는 제10 중공(h10)과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에 형성되어 있는 제9 중공(h9, 도 7 참조)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상기 제5 플레이트(700) 및 상기 제6 플레이트(80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4 결합면(622)와 상기 제1 결합면(122)의 이격 거리의 중앙의 위치에는 상기 제2 측면부(220)와 상기 제5 측면부(720)의 접촉되는 부분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제3 측면부(320, 도 7 참조)와 상기 제6 측면부(820)의 접촉되는 부분이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3 가이드부(520) 및 상기 제4 가이드부(530)는 상기 제2 지지좌측면(511d)에서 상기 제2 지지우측면(511c)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제2 지지프레임(511)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내지 상기 제6 플레이트(800)는 상기 제1 지지부(400), 상기 제2 지지부(500) 및 상기 제3 지지부(900) 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지지대 간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보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통로 시스템이 구비하는 플레이트들을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100), 제2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3 플레이트(300)를 상기 제1 베이스부(110), 상기 제2 베이스부(210) 및 제3 베이스부(310)의 상면이 지면과 서로 접촉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 가 고정부(130, 도 3 참조)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1 측면부(120, 도 3 참조)의 외면(즉, 제1 가 고정일면 및 제1 결합일면)과 상기 제4 플레이트(600)의 제4 가 고정부(63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4 측면부(620)의 내면(즉, 제4 가 고정타면 및 제1 결합타면)이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100)의 상기 제1 가 고정부(130)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측면부(120)의 내면(즉, 제1 가 고정타면(121b) 및 제1 결합타면(122b))과 상기 제4 플레이트(600)의 상기 제4 가 고정부(630)의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4 측면부 외면(즉, 제4 가 고정일면 및 제1 결합일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상기 상기 제4 플레이트(600), 제5 플레이트(700) 및 제6 플레이트(800)를 뒤집혀진 상기 제1 플레이트(100) 내지 제3 플레이트(300) 위로 적층할 수 있다.
이러한 보관 방법에 의해 걸림부가 지그재그로 적층되어 높이 방향으로의 복수의 걸림부가 서로 저촉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제1 플레이트 200 : 제1 플레이트
300 : 제3 플레이트 400 : 제1 지지부
500 : 제2 지지부

Claims (9)

  1. 다단식 관람석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조립식 통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상기 제1 측면부를 가 고정시키는 제1 가 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사용자의 보행을 위해 소정의 영역을 제공하는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3 측면부 및 상기 제3 측면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가 연결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를 통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걸림부가 통과되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 걸림부가 통과되면서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통과된 후, 상기 제2 걸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2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제3 걸림부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통과된 후, 상기 제3 걸림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걸리게 되고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위치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하여 이동되는 방향인 이동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의 한계를 규정하고,
    상기 제1 베이스부가 상기 제1 지지부 상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 상기 제1 가 고정부,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가 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게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상기 제1 가 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제3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가 고정부가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프레임에 상기 제2 걸림부가 걸린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프레임에 상기 제3 걸림부가 걸린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프레임을 관통하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 고정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 고정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베이스부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안착부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부의 일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1 가 고정부에 고정되는 제1 가 고정면 및 상기 제1 가 고정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 고정부와 이격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부 및 상기 제2 베이스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걸림부에 의해 상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한계가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측면부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가이드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1020180030028A 2018-03-15 2018-03-15 조립식 통로 시스템 KR10196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28A KR101967616B1 (ko) 2018-03-15 2018-03-15 조립식 통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28A KR101967616B1 (ko) 2018-03-15 2018-03-15 조립식 통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616B1 true KR101967616B1 (ko) 2019-08-13

Family

ID=6762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28A KR101967616B1 (ko) 2018-03-15 2018-03-15 조립식 통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6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94B1 (ko) * 2016-02-02 2016-06-0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조립식 통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7994B1 (ko) * 2016-02-02 2016-06-09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조립식 통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734B2 (en) Audience seating system
JP2016508553A (ja) 取外し可能に取付け可能なモジュール式側方作業者支持足場を備えた複数階パイプ支持フレームシステム
US9643039B2 (en) Trampolines
KR101967616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US8733838B2 (en)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KR101627994B1 (ko) 조립식 통로 시스템
US20040206945A1 (en) Rail barricade
KR20210000628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무대 경사로 구조체
US20180135321A1 (en) Two Pitch Bleacher
US6484450B1 (en) Demountable indoor/outdoor seating system components
US11466468B2 (en) Modular auditoriu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auditorium
US20030167698A1 (en) Modular command post system
US7905060B2 (en) Tiered seating system
KR20110002802U (ko) 조립식 관람석의 트러스 보강구조
KR20200077921A (ko) 접철식 관람석
JP2018131841A (ja) 組立式ステージおよびジャッキ機構
KR20200112476A (ko) 철탑 통로용 안전발판
US4102087A (en) Stand construction system
US6585314B2 (en) Tablet arm attachment for folding chair having ganging feature
GB2464955A (en) Bungee-cord trampoline structure
KR101920039B1 (ko) 현수 보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200496052Y1 (ko) 조립식 관람석
KR20110097310A (ko)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CN219011760U (zh) 一种登高装置
KR101693452B1 (ko) 관람석단 구획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