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310A -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 Google Patents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310A
KR20110097310A KR1020100017095A KR20100017095A KR20110097310A KR 20110097310 A KR20110097310 A KR 20110097310A KR 1020100017095 A KR1020100017095 A KR 1020100017095A KR 20100017095 A KR20100017095 A KR 20100017095A KR 20110097310 A KR20110097310 A KR 2011009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dimensional structure
wall
po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경
Original Assignee
최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경 filed Critical 최혜경
Priority to KR1020100017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7310A/ko
Publication of KR2011009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2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scaffold members in end-to-side re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상기 포스트 파이프 하부 또는 중간 및 상부에 각 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형 연결부재; 상기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 상기 포스트 파이프와 수평 빔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억셉터 및 상기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가설물을 지지하도록 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입체 구조물에 있어서, 입체 구조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포스트 파이프 상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한 면이 절취된 반원형 연결부재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한 면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구조물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벤딩형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구조물로서 반원 형상의 연결부재 등을 사용하여 구조물 외벽의 포스트 파이프 및 수평 빔을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광고매체물, 조명 등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외벽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고, 구조물 외벽이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 구조물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CONNECTIONG MEMBER AND SCAFFOL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 무대, 비계 등의 입체 구조물 설치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입체 구조물의 외벽에 간판 또는 광고물의 설치시 미려한 외관 및 간판, 광고물 등을 견고하게 설치하고, 설치물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입체 구조물 설치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무대나 비계 등의 입체 구조물에 있어서 비계는 건물의 시공시에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가설물로서, 건축용 재료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통로 및 작업을 위한 발판이 되는 것이며, 조립식 무대는 연극이나 무용 또는 행사의 진행을 위하여 관객석과 구별하여 만들어 놓은 가설물을 말한다. 조립식 무대나 비계 등의 입체 구조물 모두 대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파이프를 서로 얽어 프레임을 형성한 하는 것으로, 비계의 경우는 그 사이에 이동 또는 작업을 위한 발판 등을 설치하게 되며, 프레임을 형성하는 파이프는 포스트용 파이프를 규정된 간격으로 지중에 박아 수직으로 설치하고, 이 포스트용 파이프에 빔용 파이프를 수평방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용 파이프와 빔용 파이프는 서로 결합시키는 방법은 와이어를 사용하여 묶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된 클램프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조립식 무대 등의 입체구조물 설치에 있어서는 설치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위하여 미국특허등록 제 4180342 호에 개시된 다공을 구비한 '원형 연결부재'를 이용하고 수직 포스트 파이프 및 수평 빔과의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핀을 사용하여 파이프들을 결합시키는 기술 등이 있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원형 연결부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와이어로 묶는 경우는 구조물이 큰 경우 구조물의 하중에 의하여 붕괴 될 우려가 있으며, 클램프를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는 구조물의 설치 및 분리에 있어서 많은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이 높지 않으며, 클램프 역시 구조물의 파이프와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구조물이 크거나, 비계와 같은 건축을 위하여 건축물에 임시로 설치된 가설물이 아닌 경우는 구조물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원형 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된 입체 구조물 시스템은 와이어, 클램프의 연결부재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는 구조물의 안정성, 설치 소요시간의 단축, 인력의 감축이라는 경제성의 문제를 어느 정도 극복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조립식 무대 설치나 건물 외부에 입체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외벽이 상기 원형 연결부재의 돌출로 인하여 간판, 광고매체물 등의 부착시 구조물의 파이프나 빔과 광고물의 고정이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없는 난점이 있으며, 광고물 등이 하중이 무거운 경우에는 원형 연결부재의 돌출로 인한 약한 고정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목재를 덧대어 외벽 면을 평탄화시킨 후 광고매체물 등을 부착시켜야 하므로, LED 광고기기, 조명기구 등 하중이 무거운 광고매체물을 부착시 여전히 그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립식 무대와 같이 많은 관중이 모인 장소의 경우, 구조물에 설치된 조명이나, 부착된 광고물이 구조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인명사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입체 구조물에 광고매체물, 조명 등의 설치시 그 안전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입체 구조물에 광고매체로서 휘장막, 현수막 등이 사용되는 경우 종래의 원형 연결부재 사용시 포스트 파이프 외부로 돌출되는 수평빔 또는 원형 연결부재로 인하여 구조물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 구조물의 외벽과 광고물, 조명등의 결합이 견고하고 안정감 있게 하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체 구조물의 외벽에 광고물 등을 부착시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구조물은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양단에 억셉터가 설치된 다수의 수평 빔; 상기 포스트 파이프상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반원형 연결부재와 다수의 원형 연결부재; 상기 억셉터와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핀; 지면으로부터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포스트 파이프가 삽입 고정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구조물의 반원형 연결부재는 반원 형상의 철재 플레이트상에 결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구조물의 수평빔에 설치되는 억셉터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수 있는 체결홈을 구비하며, 고정핀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구조물의 억셉터와 연결부재를 체결시키는 고정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에 억셉터로부터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체 구조물의 설치에 있어서 반원 형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구조물 외벽의 포스트 파이프 및 수평 빔을 연결함으로써, 구조물의 외벽과 광고매체물, 조명등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외벽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며, 구조물 외벽이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 구조물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제1도은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사용한 입체구조물의 부분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물을 이룬 사용상태 부분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물을 이룬 사용상태 부분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벤딩형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너형 연결부재의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구현된 입체구조물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 및 반원형 연결부재를 이용한 입체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사용한 입체구조물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물을 이룬 사용상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구조물은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10); 양단에 억셉터(13)가 설치된 다수의 수평 빔(12); 상기 포스트 파이프상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반원형 연결부재(11) 와 다수의 원형 연결부재(40); 상기 억셉터와 상기 연결부재를 고정 결합시키는 고정핀(14); 지면으로부터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포스트 파이프가 삽입고정되는 받침대(1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도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반원형 연결부재(11)는 반원 형상의 철재 플레이트에 관통공(20, 22, 23) 및 결합공(21)이 형성된 연결부재이다.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11)가 반원 형상으로 된 것은 종래의 원형 연결부재가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외벽에 판형의 조명기구나, 평면적인 광고매체물을 설치할 경우 외벽을 구성하는 포스트 파이프에 목재를 덧대어 포스트 파이프의 외부로 돌출된 원형 연결부재로 인하여 외벽을 평탄화시키지 않고는 하중이 무거운 간판, LED기기 등의 광고매체물 등을 설치하는 경우, 이들을 제대로 지지하거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없는 난점이 있으며, 오로지 파이프 외부로 돌출된 원형 연결부재에 의해서만 지지가 되므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없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11)를 포스트 파이프(10)상에 고정 결합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외벽 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더 견고하게 광고매체물 등의 설치가 가능하며, 설치물의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감 있게 광고매체물 등의 고정 결합이 가능하다. 반원형 연결부재(11)는 다수의 공동을 갖는다. 반원형 철재 플레이트의 중앙에는 포스트 파이프(10)가 관통할수 있도록 포스트 파이프의 외경에 상응하는 메인 관통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물의 외벽에 광고매체물을 와이어나 볼트, 리벳 등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결합공(21)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20)은 구조물이 안정한 형태를 이루도록 포스트 파이프 및 수평빔과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포스트 파이프 및 수평 빔과 45도 각을 이루는 대각 파이프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되거나, 포스트 파이프와 연접하는 수평빔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대각파이프 또는 상기 수평 빔 양단에 연결된 억셉터(13) 와 포스트 파이프상의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11)를 고정핀(14)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시 고정핀은 억셉터의 관통공과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의 관통공을 연속하여 관통함으로써 수평빔과 포스트 파이프가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제1관통공은 포스트 파이프 내경의 중심점과 앵글각 α가 15도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대각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함과 더불어 입체 구조물의 외벽의 일면과 타면이 이루는 각이 직각이 아닌 구조물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포스트 파이프(10)와 수평 빔(12)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관통공(23)은 포스트 파이프와 수평빔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관통공에 비하여 폭이 좁은 형태를 가진다.
제5도에서 보듯이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 대신 상기 원형 연결부재의 어느 한 면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구조물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벤딩형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벤딩형 연결부재 역시 반원형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입체구조물 외벽에 광고매체물 등을 설치하는 경우 설치물의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입체구조물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벤딩형 연결부재는 지지부(30)와 절곡부(30a)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30)상에는 반원형 연결부재와 마찬가지로 관통공(20, 22, 23)이 형성되며, 벤딩되어 포스트 파이프와 밀착되는 상기 절곡부 상에는 결합공(21)이 형성됨으로써 볼트나 리벳 또는 와이어 등을 통하여 입체구조물에 광고매체물 등을 설치 할 수 있다.
제6도는 큐브 형태의 입체구조물에 있어서 입체구조물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직각을 이루는 타 외벽이 공유하는 포스트 파이프 상에 형성되는 코너형 연결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연접하는 외벽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원형 연결부재를 직각이 되도록 절취하거나 벤딩(도시되지 않음)하여 형성되는 직각 부채꼴 형태의 플레이트 상에 결합공(21)과 관통공(20, 22, 23)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포스트 파이프(10); 수평 빔(12)의 일단에 결합된 억셉터(13); 포스트 파이프에 고정 결합된 반원형 연결부재(11): 상기 억셉터와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핀(14)에 의하여 결합된 체결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 빔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된 억셉터(13)는 중심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될수 있도록 연결부재의 두께에 상응하는 체결홈을 가지며, 반원형 연결부재(11)와 억셉터(13)를 고정결합시키는 고정핀(14)이 관통되도록 억셉터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관통공을 형성한다. 고정핀(14)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에 억셉터(13)로부터 고정핀(1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5)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고정핀의 구조에 의하여 억셉터에 반원형 연결부재가 삽입된 후 고정핀을 하단으로 밀어넣는 경우 반원형 연결부재와 억셉터 및 고정핀이 서로 맞물려 고정되며, 고정핀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구조물의 안전에 아무런 문제없이 입체 구조물이 설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구조물을 건물 외벽에 설치하거나 또는 독립된 구조물로 설치하는 경우, 어느 경우나 제7도에서 보듯이 입체 구조물의 외벽을 형성하는 최외곽 포스트 파이프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연결부재(11) 또는 벤딩형 연결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구조물의 외벽을 이루는 최외곽 포스트 파이프 안쪽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내부 포스트 파이프의 경우에는 연접하는 포스트 파이프와의 결합을 위하여 종래의 원형 연결부재(40)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반원형 연결부재와 종래의 원형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입체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7도에서 보듯이 포스트 파이프 하단에는 지면으로부터 입체구조물이 지지되도록 받침대(16)가 설치된다. 받침대는 일반적으로 포스트 파이프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진형태의 받침대가 사용된다. 다만 지면이 편평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면의 높낮이와 지면이 수평면과 이루는 기울어짐을 보정하여 일정한 수평상태의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하는 높낮이 와 회전 기능을 구비한 받침대가 설치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 포스트 파이프 11 : 반원형 연결부재
12 : 수평빔 13 : 억셉터
14 : 고정핀 15 : 걸림돌기
16 : 받침대 20 : 제1관통공
21 : 결합공 22 : 메인 관통공
23 : 제2관통공 30 : 지지부
30a : 절곡부 40 : 원형 연결부재

Claims (9)

  1.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상기 포스트 파이프 하부 또는 중간 및 상부에 각 각 설치되는 다수의 원형 연결부재;
    상기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
    상기 포스트 파이프와 수평 빔을 서로 견고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억셉터; 및
    상기 다수의 포스트 파이프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가설물을 지지하도록 한 받침대; 를 포함하는 입체 구조물에 있어서,
    입체 구조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포스트 파이프 상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한 면이 절취된 반원형 연결부재 또는 상기 연결부재의 어느 한 면이 수직으로 벤딩되어 구조물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하는 벤딩형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연결부재는 포스트 기둥의 외주면과 평면을 이루는 반원형의 철재 플레이트이며, 플레이트 상에 결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형 연결부재는 지지부와 절곡부를 구비하며, 지지부상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절곡부상에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입체구조물이 큐브 형태인 경우, 입체구조물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직각을 이루는 타 외벽이 공유하는 포스트 파이프 상에는,
    연접하는 외벽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원형 연결부재를 직각이 되도록 절취하거나 벤딩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상에,
    결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코너형 연결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억셉터는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과 고정핀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에 억셉터로부터 고정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구조물.
  7. 입체구조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포스트 파이프상에 고정 결합되며, 포스트 기둥의 외주면과 평면을 이루는 반원형의 철재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상에 결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원형 연결부재.
  8. 입체구조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포스트 파이프상에 고정 결합되며, 지지부와 절곡부를 구비한 연결부재로서, 지지부상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절곡부상에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형 연결부재.
  9. 큐브 형태의 입체구조물에 있어서 입체구조물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직각을 이루는 타 외벽이 공유하는 포스트 파이프 상에는 연접하는 외벽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원형 연결부재를 직각으로 절취하거나, 벤딩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상에 결합공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코너형 연결부재.

KR1020100017095A 2010-02-25 2010-02-25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KR20110097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5A KR20110097310A (ko) 2010-02-25 2010-02-25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095A KR20110097310A (ko) 2010-02-25 2010-02-25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310A true KR20110097310A (ko) 2011-08-31

Family

ID=4493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095A KR20110097310A (ko) 2010-02-25 2010-02-25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73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00B1 (ko) * 2012-03-15 2013-10-23 서보산업 주식회사 합벽 코너의 지지구조물
CN105064674A (zh) * 2015-08-05 2015-11-18 安徽长青电子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脚手架多方位安装的连接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00B1 (ko) * 2012-03-15 2013-10-23 서보산업 주식회사 합벽 코너의 지지구조물
CN105064674A (zh) * 2015-08-05 2015-11-18 安徽长青电子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适用于脚手架多方位安装的连接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156B1 (en) Construction set
US4359851A (en) Deck apparatus
CN110494616A (zh) 藤架建筑系统和支架
JP2011522142A (ja) 仮設観覧台
US20050086888A1 (en) Suspended ceiling assembly
US4566818A (en) Ledger hanger for geodesic domes
US20180155929A1 (en) Masonry lintel for long spans
KR20110097310A (ko)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KR101793842B1 (ko) 무용접 각형 프레임 연결장치
US9027298B1 (en) Modular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tructures
KR20110059410A (ko)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KR200424125Y1 (ko) 트러스 구조물용 연결구
US6748713B2 (en) Suspended ceiling construction
JP4805719B2 (ja) ドーム状建築物
EP1853774B1 (en) A construction element
US11781314B2 (en) System, method, kit and modular element for the dry building of structures for constructions
US20140318053A1 (en) Prefabricated wall frame for construction and ceiling frame using same
KR20190030292A (ko) 데크 조립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결합구조물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KR20080095407A (ko) 파이프 써포트용 연결구
KR101377011B1 (ko) 케이블 덕트 어셈블리
JP6945359B2 (ja) パネル体
JP2009027771A (ja) 分電盤架台
JP2006200164A (ja) 軽金属製手摺
KR102631889B1 (ko) 강성이 향상된 텐트용 골조 및 그 골조를 이용한 텐트하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