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9410A -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9410A
KR20110059410A KR1020090116132A KR20090116132A KR20110059410A KR 20110059410 A KR20110059410 A KR 20110059410A KR 1020090116132 A KR1020090116132 A KR 1020090116132A KR 20090116132 A KR20090116132 A KR 20090116132A KR 20110059410 A KR20110059410 A KR 2011005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joint
connec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6720B1 (ko
Inventor
김인태
Original Assignee
김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태 filed Critical 김인태
Priority to KR102009011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72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리브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을 형성하여 이들 끼움홈부 또는 연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음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을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되는 구조물로 구성하는 한편, 직선형이나 곡선형의 기초프레임을 상기 기초프레임 외주면의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부품의 단순화를 통한 운반과 보관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며, 작업현장에 맞는 부품 호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또한 간편하여 불필요한 적재공간으로 인한 물류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초프레임, 연결프레임, 가림패널, 회전방지편, 이음핀, 절곡핀

Description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A main frame for temporary publ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리브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 쌍의 연결홀을 형성하여 이들 끼움홈부 또는 연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음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기초프레임을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되는 구조물로 구성하는 한편, 직선형이나 곡선형의 기초프레임을 상기 기초프레임 외주면의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부품의 단순화를 통한 운반과 보관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며, 작업현장에 맞는 부품 호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보관이 또한 간편하여 불필요한 적재공간으로 인한 물류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이나 단체는 영리를 목적으로 상품을 홍보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내,외에 설치하는 가설식 홍보용 매장이 있다.
이러한 가설식 홍보용 매장은 상가 밀집지역의 유동인구들에게 차별화된 광고 선전하고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런 가설식 홍보용 매장은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고 있다.
즉,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 가설식 홍보용 매장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수 개의 가림패널과 상기 가림패널을 수용하는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과 그 사이에 위치되는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및 사이드프레임은 금속의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설식 홍보용 매장은 한 장소에 일정시간동안 홍보 활동을 위해 설치되었다 홍보 활동이 마감됨과 동시에 해체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전면프레임, 후면프레임, 사이드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다음 장소로 운송하고자 차량에 적재할 경우, 한 사람이 직접 홍보용프레임을 들어 옮기기에는 매우 힘들었으며, 상기 사이드프레임에 의해 포개어 적재할 수 없으므로 그 사이의 빈공간에 대한 적재효율이 낮아짐에 따라 운송비용이 배가됨은 물론, 차량에 적재되어 운송하는 도중 차량의 흔들림에 프레임끼리 서로 부딪혀 프레임에 손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그리고 사이드프레임을 현장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조립시켜 홍보매장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행사 종료후에는 분해를 통해 그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등록실용신안 제20-437283호, 이하 선행발명)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발명 또한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사각형상으로 구성하는 상태에서, 상기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을 사이드 프레임을 통해 연결하는 한편, 상기의 연결 고정을 나사로 실시하는 바, 분해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사각형상을 가지는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적재 부피는 커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선행발명은 전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 및 사이드프레임이 나사 결합되는 방식인 바, 이 또한 조립과 분해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때 이를 장시간 사용 할 경우 나사부의 마모가 발생하면서 결속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더욱이 이같은 블럭구조의 조립물들은, 그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불필요할 정도로 전 방향에 대하여도 강성부재를 중첩 배열 조립하게 되는 것이므로 자체 중량이 커지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이를 지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켜 돔형 또는 터널형의 조립하는 경우 구조물 조립 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과 하중에 의해서도 쉽게 붕괴되는 등 안전상의 중대한 문제점을 보이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리브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을 형성하여 이들 끼움홈부 또는 연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음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을 직선형과 곡선형이 조합되는 구조물로 구성하는 한편, 직선형이나 곡선형의 기초프레임을 상기 기초프레임 외주면의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하고 있는 연결프레임으로 연결 구성함으로서, 부품의 단순화를 통한 운반과 보관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며, 작업현장에 맞는 부품 호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또한 간편하여 불필요한 적재공간으로 인한 물류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음부재로 사용되는 이음핀이나 회전방지편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한 간단한 조립을 통해 외부의 골격을 이루는 기초프레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함이 없이도 안정된 구조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지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터널형의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연속된 기초프레임을 통해 안전하게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안정된 구조의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음부재로 사용되는 이음핀을 관절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골격을 이루는 기초프레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연속성이 유지되는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시각적인 디자인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는,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개의 리브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기초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초프레임 단부의 마주보는 연결홀에 끼워져,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이 단면적의 변화없이 연속적이고도 일체를 이루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재; 상기 기초프레임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하고 있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이 연결프레임을 감싸며 설치되어 기초프레임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좌우 기초프레임 사이의 높이를 보상한 체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림패널을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에 볼트체결공을 형성한 패널고정브라켓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에는 상기 볼트체결공에 결 합되는 나사(또는 볼트)를 통해 가림패널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초프레임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양단 연결홀 중 어느 하나를 암나사부로 구성하고, 상기 이음부재의 일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프레임의 연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이음부재의 단부가 인접한 기초프레임의 연결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정된 돌출길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기초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기초프레임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편을 결합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초프레임의 상하 양단 연결홀, 및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의 볼트체결공은 인서트너트를 삽입하여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회전방지편은, 기초프레임의 방사형 리브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끼움홈부내에서 밀림이 방지되도록 조임나사를 구비한다. 이같은 상기 조임나사는 회전방지편을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임나사가 충분히 풀어진 상태에서 끼움홈부에 삽입되는 것이며, 일정한 위치에 삽입이 완료되면 조임나사를 조여주어서 조임나사의 끝부분이 회전방지편을 관통하여 연결홀을 형성하고 있는 기초프레임의 내측관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방지편을 방사형 리브의 외측 날개부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기초프레임의 회전동작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부재를 대체하는 지지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를 형성한 다수의 절개편을 포함하는 연결고정대; 캠리브가 형성되며 그 밑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회동캠; 및,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를 형성시킨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정대와 회동캠 및 하우징은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횡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횡프레임은 상하면에 각각 걸림홈부가 구성되고,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에는 상기 걸림홈부에 걸림동작하는 걸림턱부를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기초프레임들은 직선형과 곡선형 또는 직선형과 경사형으로 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기초프레임에는 L자형 또는 T자형의 분기형 프레임이 이음부재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상기 분기형 프레임의 각 분기관에는 상기 이음부재가 체결되도록 하는 결합홈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초프레임 단부의 마주보는 연결홀에 양단이 끼워져,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에서 상단측의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관절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관절형의 이음부재는 하나의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끼워지고, 일단에 축홀을 형성한 제 1 결합부를 가지 는 제 1 이음핀; 또 다른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축홀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를 가지는 제 2 이음핀; 및, 상기 제 1,2 이음핀의 제 1,2 결합부에 마련되는 축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음핀 또는 제 2 이음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축부; 을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관절형의 이음부재는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각각 끼워지고, 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를 가지는 제 2 이음핀을 을 복수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을 연결하도록, 양단에 각각 축홀이 형성되는 제 3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핀; 및, 상기 제 2 이음핀과 상기 연결핀의 제 2,3 결합부에 마련되는 축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 또는 상기 연결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축부; 을 포함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첫째, 부품의 단순화를 통한 운반과 보관의 효용성을 향상시키며, 작업현장에 맞는 부품 호환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간단히 조립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둘째, 운반 및 보관이 또한 간편하여 불필요한 적재공간으로 인한 물류비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이음부재의 간단한 조립을 통해 외부의 골격을 이루는 기초프레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함이 없이도 안정된 구조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지상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터널형의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연속된 기초프레임을 통해 안전하게 분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안정된 전시용 가설구조물을 설치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넷째, 이음부재로 사용되는 이음핀을 관절형으로 구성하여 외부의 골격을 이루는 기초프레임의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 연속성이 유지되는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외관에 대한 시각적인 디자인을 특정 모양으로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초프레임의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결프레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초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및 가림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림패널 결합시 기초프레임이 노출된 상태를 보인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림패널 결합시 기초프레임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프레임들의 연결에 따른 가설식 홍보매장의 구성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설식 홍보프레임은 기초프레임(10), 연결프레임(20), 패널고정브라켓(30), 가림패널(40), 그리고 이음부재와 회전방지편(60)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프레임(10)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가설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방사형의 리브(11)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1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복수의 기초프레임(1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의 상하 양단 연결홀(13) 중 어느 하나에는 암나사부(14)를 구성하지만, 인서트 너트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기초프레임(10)은 가설식 홍보매장을 구성하도록 직선형과 곡선형으로 구분되고, 그 길이는 규격화되지 않고 홍보매장의 설치범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기초프레임들(10)의 끼움홈부(12)에 양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시킨 것으로, 연결고정대(21), 회동캠(22), 그리고 하우징(23)이 횡프레임(24)에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고정대(21)는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21a)와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21b)가 형성되는 다수의 절개편(21c)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간의 절개편(21c)에는 하향으로 탄지편(21d)이 형성되고, 그 후방으로는 일측에 지지돌기(21e)가 형성된 재치공(21f)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절 곡된 가이드면(21g)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캠(22)은 몸체(22a)의 상면에 끼움홈(22b)이 형성되고 중간으로 상기 지지돌기(21e)와 가이드면(21g) 사이와 대응되는 캠리브(22c)가 형성되며 밑면에는 지지돌기(22d)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3)은 전방에 상기 연결고정대(21)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21b)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23a)(23b)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23c)를 형성하고 바닥면 중간으로는 돌출된 지지턱(23d)이 형성되며, 상면으로는 상기 회동캠(22)의 몸체(22a)와 대응되는 지지홈공(23e)이 형성되고, 일측면으로는 개방공(23f)이 형성되며, 전방면 상후방에는 각각 유동방지턱(23g)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횡프레임(24)에는 상하면에 각각 상기 패널고정브라켓(30)의 결하을 위한 걸림홈부(24a)가 구성된다.
상기 패널고정브라켓(30)은 상기 연결프레임(20)을 감싸며 설치되어 좌우 기초프레임(10) 사이를 가리우며 설치되는 가림패널(40)을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잇도록 외측에 볼트체결공(31)을 형성한 ㄷ자 형상의 구조물로, 상기 가림패널(40)의 설치위치를 보상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볼트체결공(31)은 인서트너트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패널고정브라켓(30)에는 상기 횡프레임(24)에 형성되는 걸림홈부(24a)에 걸림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부(32)가 연장 구성된다.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기초프레임(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 로서 핀 형상의 이음핀(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음핀(50)의 일부에는 상기 기초프레임(10)의 단부에서 상하 한 쌍을 이루는 연결홀(13)의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에 체결되는 숫나사부(5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이음핀(50)은 상기 기초프레임(10)의 연결홀(13)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에 숫나사부(51)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음핀(50)의 단부가 인접한 또 다른 기초프레임(10)의 연결홀(1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정된 돌출길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방지편(60)은 상기 기초프레임(10)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방사형의 끼움홈부(12)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 기초프레임(10) 단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과 함께 기초프레임(10)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기초프레임(10)의 방사형 리브(11)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끼움홈부(12)내에서 밀림이 방지되도록 조임나사(100)가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조임나사(100)는 회전방지편(60)을 관통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음부재인 이음핀(50)과 회전방지편(60)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나의 기초프레임(10)의 상측 연결홀(13)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4)에 이음핀(50)의 일단에 마련되는 숫나사부(51)를 체결하면, 상기 기초프레임(10)의 상측으로는 이음핀(50)의 타단이 안정된 돌출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프레임(10)에서 방사형 리브(11)를 통해 형성되는 방사형의 끼움홈부(12) 상측으로 조임나사(100)가 결합된 회전방지편(6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방지편(60)이 기초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조임나사(100)를 조여 상기 회전방지편(60)이 끼움홈부(12)에서 기초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시킨다.
즉, 상기 조임나사(100)가 충분히 풀어진 상태에서 상기 끼움홈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편(60)을 삽입하고, 상기 회전방지편(60)이 일정한 위치로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조임나사(100)를 조여 주어서 상기 조임나사(100)의 끝부분이 회전방지편(60)을 관통하여 연결홀(13)을 형성하고 있는 기초프레임(10)의 내측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방지편(60)을 방사형 리브(11)의 외측 날개부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진 기초프레임(10)은 상기 회전방지편(6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방지편(60)은 이음핀(50)을 보강하는 결합력을 유지하며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상기 기초프레임(10)의 상측에 또 다른 기초프레임(10)을 위치시킨 후, 상기 또 다른 기초프레임(10)의 하측 연결홀(13)과 하측 끼움홈부(12)에 각각 안정된 돌출길이를 유지하는 이음핀(40)의 타단 돌출부위와 회전방지편(60)의 돌출부위를 단순히 끼워주면 기초프레임(10)들에 대한 연결이 완료되는데,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들의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기 연결홀(13)들 중 어 느 하나에 나사결합된 이음핀(50)은 그 나머지 돌출부분이 이웃하는 기초프레임의 하측 연결홀(13)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상기 이음핀(50)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이 없이 균등한 삽입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이음핀(50)의 결합이 완료되고 나면, 그 외측 끼움홈부(12)에 고정된 상기 회전방지편(60)의 미조립 조임나사(100)를 조여서 기초프레임(10)들의 연결을 마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반복시키면 다수개의 기초프레임(10)에 대한 연결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상기 기초프레임(10) 조립체는 연속성을 가진 안정된 강성의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초프레임(10)들을 통해 가설식 홍보매장에 대한 기초골격이 완료되는 상태에서, 상기 기초프레임(10)들을 횡프레임인 연결프레임(20)을 통해 연결시킨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20)은 걸림홈부(24a)를 상하측으로 형성시킨 횡프레임(24)내에 연결고정대(21)와 회동캠(22) 및 하우징(23)을 수용하고 있는 것인 바, 작업자가 회동캠(22)을 끼움홈(22b)으로 필요로하는 렌치나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캠리브(22c)의 넓은 부분이 점차적으로 하우징(23)의 측면으로 형성된 개방공(23f)을 거쳐 연결고정대(21)의 가이드면(21g)을 타고 회전하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연결고정대(21)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3)의 전방으로 형성된 인입부(23c)의 경사면으로 인해 연결고정대(21)의 걸림고리(21a)(21b)가 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벌려지면서 종방향의 기초프레임(10)의 방사 형 리브(11)를 통해 형성되는 방사형의 끼움홈부(12)에 걸림동작하면서 지지되어, 상기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횡프레임(24)이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캠리브(22c)가 접하는 연결고정대(21)의 가이드면(21g)은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점차적으로 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캠(22)을 회전시, 상기 회동캠(22)은 좀더 작은힘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3)의 전방면 상하단으로 형성된 유동방지턱(23g)에 의해 상기와 같이 종방향의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을 이루는 횡프레임(24)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으로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의해서도 상기 유동방지턱(23g)이 기초프레임(10)의 방사형 리브(11)의 상하단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횡프레임(24)이 각각 비틀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식 프레임인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은, 하우징(23)내로 삽입되는 연결고정대(21)를 회동캠(22)의 회전에 의해 간편하면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연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고정대(21)의 걸림고리(21a)(21b)가 중간과 그 양측으로 분할된 형태의 고정력을 가지게 되어 연결부분의 변형 및 손상됨을 최소화시키면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프레임(20)을 이루는 횡프레임(24)을 감싸도록, 상기 횡프레임(24)의 상하측에 형성된 걸림홈부(24a)에 패널고정브라켓(30)의 걸림턱부(32)를 끼움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고정브라켓(30)에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이미지 또는 각 종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새겨진 가림패널(40)을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기초프레임(10)이 노출되는 형태로 밀착시키거나,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가림패널(40)이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이진 우드프레임의 효과를 창출하는 시각적인 느낌을 제공하도록 상기 기초프레임(10)을 완전하게 덮어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밀착시킨 후, 상기 가림패널(40)로부터 패널고정브라켓(30)의 볼트체결공(31)으로 조임나사(100)를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가림패널(40)에 의해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이 덮혀지면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최종 가설식 홍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매장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이는 L자형 또는 T자형으로서 결합홈부(71)를 가지는 분기형 프레임(70)을 이용하여 원형에 준하는 홍보매장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을 이루는 기초프레임(10)들과 L자형 또는 T자형의 분기형 프레임(70)을 이음핀(50)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은 매장 구조물을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는 이음부재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상 기 기초프레임(10) 단부의 마주보는 연결홀(13)에 양단이 끼워져,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복수개의 기초프레임(10)에서 상단측의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관절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관절형의 이음부재는 하나의 기초프레임(10)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13)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숫나사부(52a)를 형성하면서 일단으로는 축홀(h1)을 형성한 제 1 결합부(52b)를 연장시킨 제 1 이음핀(52)과, 다른 기초프레임(10)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13)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숫나사부(53a)를 형성하면서 일단으로는 상기 제 1 결합부(52b)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축홀(h2)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제 2 결합부(53b)를 연장시킨 제 2 이음핀(53), 그리고 상기 제 1,2 이음핀(52)(53)의 제 1,2 결합부(52b)(53b)에 마련되는 축홀(h1)(h2)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음핀(52) 또는 제 2 이음핀(5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볼트(54a)와 너트(54b)로 이루어지는 체결축부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체결부는 힌지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 1,2 이음핀(52)(53)을 상기 볼트(54a)와 너트(54b)의 체결로부터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2 이음핀(52)(53)의 일단을 각각 기초프레임(10)의 연결홀(13)에 나사 결합시키면,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측의 기초프레임(10)에 대한 설치각도를 수직형 또는 경사형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가지는 가설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 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관절형의 이음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초프레임(10)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13)에 각각 끼워져 체결되도록 숫나사부(53a)를 형성하면서 축홀(h2)을 각각 형성한 한 쌍의 제 2 결합부(53b)를 연장시킨 제 2 이음핀(53)(53')을 복수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53)(53')을 양단에 각각 축홀(h3)이 형성되는 제 3 결합부(55a)를 연장시킨 연결핀(55)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이음핀(53)과 상기 연결핀(55)의 제 2,3 결합부(53b)에 마련되는 축홀(h2)(h3)에 각각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53) 또는 상기 연결핀(55)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볼트(54a)와 너트(54b)로 이루어지는 체결축부로 결합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기초프레임(10)의 설치각도를 꺽임을 부여하면서 마음대로 조절하여 그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초프레임의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연결프레임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기초프레임과 연결프레임 및 가림패널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림패널 결합시 기초프레임이 노출된 상태를 보인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림패널 결합시 기초프레임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프레임들의 연결에 따른 가설식 홍보매장의 구성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기초프레임에 분기형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분기형 프레임을 통해 가설식 홍보매장을 구성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관절형 이음부재인 제 1,2 이음핀을 통해 기초프레임을 연결하는 상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관절형 이음부재인 제 1,2 이음핀을 통해 기초프레임을 연결하는 상태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관절형 이음부재인 제 1,2 이음핀을 통 해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변형하는 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관절형 이음부재인 제 1,2 이음핀을 통해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변경하여 가설구조물을 시공한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관절형 이음부재인 복수의 제 2 이음핀과 연결핀을 통해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설계하는 상태의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초프레임 11; 리브
12; 끼움홈부 13; 연결홀
14; 암나사부 20; 연결프레임
21; 연결고정대 22; 회동캠
23; 하우징 24; 횡프레임
30; 패널고정브라켓 31; 볼트체결공
40; 가림패널 50; 이음핀
51,52a,53a; 숫나사부 52,53; 제 1,2 이음핀
52b,53b,55a; 제 1,2,3 결합부 54a; 볼트
54b; 너트 55; 연결핀
60; 회전방지편 70; 분기형 프레임
71; 결합홈부 100; 조임나사

Claims (9)

  1. 구조물이 안정된 강성을 지닐 수 있도록 외주면에 복수개의 리브를 돌설하여 이들 사이에 끼움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되, 그 단부에는 중심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을 형성하고 있는 복수개의 기초프레임;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기초프레임 단부의 마주보는 연결홀에 끼워져,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이 단면적의 변화없이 연속적이고도 일체를 이루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이음부재; 상기 기초프레임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끼움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단에 확장형 걸림고리를 돌설하고 있는 연결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이 연결프레임을 감싸며 설치되어 기초프레임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프레임과 좌우 기초프레임 사이의 높이를 보상한 체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림패널을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외측에 볼트체결공을 형성한 패널고정브라켓을 결합 구성하고,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에는 상기 볼트체결공에 결합되는 나사(또는 볼트)를 통해 가림패널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기초프레임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양단 연결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암나사부로 구성하고, 상기 이음부재의 일부에는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형성하여, 상기 기초프레임의 연결홀에 나사결합되는 이음부재의 단부가 인접한 기초프레임의 연결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안정된 돌출길이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부에는 상기 기초프레임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기초프레임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편을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프레임 중심부에 형성되는 상기 양단 연결홀의 볼트체결공은 인서트너트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에 절곡된 걸림고리를 형성하고 그 양측으로 상기 걸림고리와 반대방향의 절곡된 걸림고리를 형성한 다수의 절개편을 포함하는 연결고정대; 캠리브가 형성되며 그 밑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회동캠; 및, 상기 연결고정대가 삽입되어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방향의 경사진 안내면이 각각 형성된 인입부를 형성시킨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정대와 회동캠 및 하우징은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횡프레임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횡프레임은,
    상하면에 각각 걸림홈부가 구성되고, 상기 패널고정브라켓에는 상기 걸림홈 부에 걸림동작하는 걸림턱부를 연장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숫나사부를 형성한 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기초프레임 단부의 마주보는 연결홀에 양단이 끼워져,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복수개의 기초프레임에서 상단측의 기초프레임의 설치각도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한 관절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의 이음부재는,
    하나의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끼워지고, 일단에 축홀을 형성한 제 1 결합부를 가지는 제 1 이음핀; 또 다른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축홀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를 가지는 제 2 이음핀; 및, 상기 제 1,2 이음핀의 제 1,2 결합부에 마련되는 축홀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음핀 또는 제 2 이음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축부;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의 이음부재는,
    기초프레임 단부에 마련되는 연결홀에 각각 끼워지고, 축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결합부를 가지는 제 2 이음핀을 을 복수로 구성하고,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을 연결하도록, 양단에 각각 축홀이 형성되는 제 3 결합부를 가지는 연결핀; 및, 상기 제 2 이음핀과 상기 연결핀의 제 2,3 결합부에 마련되는 축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수로 구성되는 제 2 이음핀 또는 상기 연결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체결축부;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KR1020090116132A 2009-11-27 2009-11-27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KR10113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2A KR101136720B1 (ko) 2009-11-27 2009-11-27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132A KR101136720B1 (ko) 2009-11-27 2009-11-27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410A true KR20110059410A (ko) 2011-06-02
KR101136720B1 KR101136720B1 (ko) 2012-04-20

Family

ID=4439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132A KR101136720B1 (ko) 2009-11-27 2009-11-27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7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29A1 (ko) * 2012-07-10 2014-01-16 Lee Jung-Yeop 보강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CN107882203A (zh) * 2016-09-30 2018-04-06 江苏旭华圣洛迪建材有限公司 一种快装隔断墙及其安装方法
KR20200030187A (ko) * 2018-09-12 2020-03-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98Y1 (ko) 2014-07-18 2015-11-05 이강선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KR200492676Y1 (ko) 2018-09-13 2020-11-23 라포애드(주) 임시 시설물의 인테리어 패널 설치 구조
KR20200001806U (ko) 2020-06-07 2020-08-11 박진태 자석 결합식 부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930A (ko) * 2000-08-11 2000-11-06 이주일 구조물 조립 구조
KR200413198Y1 (ko) 2006-01-19 2006-04-04 김지용 조립식 무대용 프레임부재
KR200450018Y1 (ko) * 2008-01-28 2010-08-30 김유근 조립식 전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0929A1 (ko) * 2012-07-10 2014-01-16 Lee Jung-Yeop 보강파이프를 구비하는 조립식 건축물용 프레임
CN107882203A (zh) * 2016-09-30 2018-04-06 江苏旭华圣洛迪建材有限公司 一种快装隔断墙及其安装方法
CN107882203B (zh) * 2016-09-30 2023-12-29 南京旭华圣洛迪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快装隔断墙及其安装方法
KR20200030187A (ko) * 2018-09-12 2020-03-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6720B1 (ko) 201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720B1 (ko)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US20040084584A1 (en) Shelf structure
KR102222824B1 (ko) 체결력 및 지지력 보강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CN201536797U (zh) 一种组合式支撑架
KR20100011293A (ko) 조립식 구조물
KR102075313B1 (ko) 우수한 조립성과 내구성을 가지는 가구용 프레임
KR20120094595A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5279358B2 (ja) 小規模ユニット型壁式パネル構造体
CN201691385U (zh) 一种组合架
KR20090079847A (ko) 일체 조립 가능한 접이식 아케이드 구조물
KR20200084711A (ko) 연립구조의 조립식 건축물
KR102147018B1 (ko) 전시용 가설구조물의 프레임 연결장치
KR200460211Y1 (ko) 디스플레이장치
JP3635467B2 (ja) 立体構築物
KR20140023062A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587801B1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CN101787817A (zh) 篷房
KR20110097310A (ko) 입체구조물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및 이를 사용한 입체구조물
KR100616320B1 (ko) 26방향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
WO2012056853A1 (ja) 組立式簡易ハウス
KR20200016054A (ko) 조립식 부스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KR102506330B1 (ko) 강구조물의 지주 연결 조립체
KR200233993Y1 (ko) 조립식 가구
KR200338214Y1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