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06U - 자석 결합식 부스 - Google Patents

자석 결합식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06U
KR20200001806U KR2020200001962U KR20200001962U KR20200001806U KR 20200001806 U KR20200001806 U KR 20200001806U KR 2020200001962 U KR2020200001962 U KR 2020200001962U KR 20200001962 U KR20200001962 U KR 20200001962U KR 20200001806 U KR20200001806 U KR 20200001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wall
tip
booth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태
Original Assignee
박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태 filed Critical 박진태
Priority to KR202020000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06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8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의 모서리로 둘러싸이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제1 측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제2 측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복수의 벽부가 서로 자성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활용하면 간이 설치물인 전시용 부스를 빠르고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석 결합식 부스{Magnetic Coupling Booth}
본 고안은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석이 장착되어 조립이 간편한 조립식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용 부스(Booth)는 기업이나 단체 등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시 또는 홍보하기 위하여 일정 공간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임시 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부스는 대체로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 공간을 구획하는 패널을 조립하여 설치되고, 일정 기간 사용한 이후에는 철거되기 때문에 부스의 조립과 철거 및 보관이 용이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의 조립형 부스가 소개되어 있다. 이 중 대한민국 특허 제10-1136720호는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를 개시하였으나, 이는 여전히 나사 결합을 통한 조립에 의해 설치 및 해체되는 것이어서 전시 현장에서 신속하게 설치하고 해체하기에는 작업 소요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136720호 (2012년 4월 20일 등록공고)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스의 구성품인 벽부의 측부에 자석이 구비되어 복수의 벽부를 나사 없이 자석으로 연결함으로써 손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의 모서리로 둘러싸이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부는 제1 측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제2 측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는 복수의 벽부가 서로 자성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활용하면 간이 설치물인 전시용 부스를 빠르고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는 영구자석일 수도 있고, 이 중 하나는 영구자석이고 다른 하나는 철과 같은 자성 물질일 수 있다. 만약 제1 결합부재와 제2 결합부재 모두 영구자석이라면 제1 결합부재가 N극인 경우 제2 결합부재는 S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벽부의 제1 측부가 다른 벽부의 제2 측부와 맞닿을 때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제1 결합부재는 영구자석이고 제2 결합부재는 자성 물질이라면 제1 결합부재의 극성은 N극이 될 수도 있고 S극이 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립식 부스는 복수의 측부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심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연결심 및 하나 이상의 벽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심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벽부와 결합 가능하다.
상기 연결심은 측부가 4개인 사각 연결심 형태가 일반적이지만, 측부의 개수는 3개일 수 있고,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심이 상기 조립식 부스의 부품으로 구성됨으로써 조립식 부스의 벽부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심은 상기 복수의 측부 중 한 면에 형성되는 제3 결합부재 및 다른 한 면에 형성되는 제4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재와 제4 결합부재는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N극 영구자석과 S극 영구자석일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3 결합부재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2 결합부재와 상기 제4 결합부재 사이에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결합부재 및 제4 결합부재는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3 결합부재와 제4 결합부재는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인접한 결합부재 간에 척력이 아닌 인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덮는 복수의 마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판은 복수의 벽부를 이어붙였을 때 가장 끝에 설치되는 벽부의 측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을 매끄럽게 하고,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다치지 않게 벽부의 측부 내 굴곡이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부스의 구성품인 복수의 벽부가 서로 자성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활용하면 간이 설치물인 전시용 부스를 빠르고 쉽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벽부를 전면, 상면, 우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연결심을 전면,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픽처 레일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가 조립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분해도이다.
상기 조립식 부스는 기본적으로 양 측부에 제1 결합부재(10) 및 제2 결합부재(20)를 포함하는 복수의 벽부(100)를 가진다. 상기 벽부(100)는 프레임과 패널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는 비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10) 및 제2 결합부재(20)는 서로 자기 인력이 작용하는 관계로 제작되어 복수의 벽부(100) 서로가 자기 인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재(10)가 N극 영구자석인 경우, 제2 결합부재(20)는 S극 영구자석이거나 자석에 끌리는 물질일 수 있다. 즉, 두 결합부재(10, 20) 중 하나가 자석이면 다른 하나는 반대 극성의 자석일 수도 있고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조립식 부스는 복수의 벽부(100) 및 복수의 연결심(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부(100)끼리 서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한 방향으로만 연장되므로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벽부(100)의 일 측부(130, 140)에 연결심(200)을 결합하면, 연결심(200)의 일 측면(210, 220, 230, 240)에 다른 벽부(100)를 결합하여 벽부(100)의 연결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벽부(100)의 일 측부(130, 140)와 연결심(200)의 일 측면(210, 220, 230, 240)을 결합하면, 연결심(200)의 나머지 측면들에 각각 하나의 벽부(100)를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결심(200)의 측면 개수만큼 벽부(100)의 연장 방향 개수가 결정된다.
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벽부(100)가 설치되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벽부(100)는 일 측부가 겉으로 드러난다. 외관을 매끄럽게 만들어서 그 주위를 지나는 사람들이 다치지 않도록 마감판(300)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판(300)으로 측부를 덮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마감판(300)은 벽부(100)의 측부(130, 1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자석 또는 자석에 끌리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감판(300)의 가장자리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벽부를 전면, 상면, 우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벽부(10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제1 측부(130), 제2 측부(140), 상단부(150) 및 하단부(160)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상기 벽부(100)의 내부는 대체로 비어 있고,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대가 벽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110)의 하부면(111)에는 하부 개구(161)가 형성되어 예를 들면 전기선이 상기 하부 개구(161)를 통해 벽부(100)의 내부로 배선될 수 있다. 하부 개구(161)를 통해 유입된 전기선은 상단부(150)에 형성된 상부 개구(151)를 통해 바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151) 및 하부 개구(161)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벽부(100)의 내부에는 몇 개의 지지대만 설치되므로 특정 전기선이 배치될 상부 개구와 하부 개구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161)는 전면부(110)의 하부면(111) 뿐 아니라 후면부(120)의 하단면(121)에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개구(161)가 양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전기 배선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배선된 상기 전기선을 가리기 위하여 상기 벽부(100)의 상단부(150)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팁(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팁(155)은 전면부(110)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팁(155a)과 후면부(120)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2 팁(15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151)가 상기 팁(155)보다 아래에 위치하므로, 전기선이 상기 상부 개구(151) 위로 나오더라도 상기 팁(155)에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벽부(100)가 바닥에 똑바로 서있을 수 있도록 상기 벽부(100)의 하단부(160)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풋(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풋(165)은 전면부(110)가 하방으로 연장된 제1 풋(165a)과 후면부(120)가 하방으로 연장된 제2 풋(16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부(110)와 후면부(120)에는 픽처 레일(170)이 구성될 수 있어 사용자는 여기에 전시물을 거치할 수 있다. 즉, 조립형 부스에 상기 픽처 레일(17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액자, 패널 등을 벽부(100)에 설치할 때 벽부(100)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연결심을 전면,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시된 연결심(200)은 4개의 측면(210) 및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단부(250) 및 제2 단부(260)를 포함하는 대략적인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연결심(200)의 내부는 비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단부(250)에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둘레 팁(25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단부(260)에는 하방으로 연장하는 둘레 풋(2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심(200)의 4개의 측면(210)에는 제3 결합부재(30) 및 제4 결합부재(40)가 번갈아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측면(210)에 제3 결합부재(30)가 형성되면, 제2 측면(220)에는 제4 결합부재(40)가 형성되고, 제3 측면(230)에는 제3 결합부재(30)가 형성되고, 제4 측면(240)에는 제4 결합부재(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0)와 제2 결합부재(20)는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결합부재(10) 및 제2 결합부재(20)는 제3 결합부재(30) 및/또는 제4 결합부재(40)와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재(10)가 N극 영구자석이고 제2 결합부재(20)가 S극 영구자석인 경우, 제3 결합부재(30) 및 제4 결합부재(40)는 모두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재(10)가 N극 영구자석이고 제2 결합부재(20)가 S극 영구자석인 경우, 제3 결합부재(30) 및 제4 결합부재(40)는 영구자석일 수 있다. 상기 제3 결합부재(30)와 제4 결합부재(40)의 극성은 같을 수도 있으나, 반대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부재(10)가 영구자석이고 제2 결합부재(20)가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인 경우, 제3 결합부재(30)는 영구자석이고 제4 결합부재(40)는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일 수 있다.
벽부(100)의 제1 결합부재(10) 및 제2 결합부재(20)는 복수 개가 같은 높이에 장착되고, 연결심(200)의 제3 결합부재(30) 및 제4 결합부재(40)는 상기 제1 결합부재(10) 및 제2 결합부재(20)와 대응하는 개수가 대응하는 높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결합부재(30) 및 제4 결합부재(40)는 4개의 프레임 중 2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결합부재는 연결심(200)의 측면(210, 220, 230, 240)에 매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의 픽처 레일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상기 픽처 레일(170)은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에 매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처 레일(170)에는 내부 공간(173)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173)은 치형 상부(171) 및 치형 하부(172)를 포함하는 픽처 레일 프레임으로 둘러싸인다. 내부 공간(173) 안쪽면에는 가이드 홈(174)이 형성되어, 전시물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조립형 부스는 무게 절감을 위해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 예방을 위해 방염 시트(flame retardancy, 180),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시트가 전면부(110) 및 후면부(12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시트는 0.1mm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래치 방지용 도장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BS 수지는 기존 우드월에 비해 무게가 약 3분의 1 수준으로서, 상기 수지 소재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조립식 부스는 시공성 및 운송, 보관에 탁월한 효과 및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조립형 부스는 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나무 및 금속 등 타 소재로 제조되는 부스 역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가 조립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제1 내지 제4 결합부재의 종류가 2가지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2가지 결합부재는 무늬를 다르게 하여 구분하였다. 이 도면은 하나의 결합부재는 N극 영구자석이고 다른 하나의 결합부재는 S극 영구자석인 경우 및 하나의 결합부재는 영구자석(극성 무관)이고 다른 하나의 결합부재는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부재의 종류는 2가지에 국한되지 않고, 부품 간의 결합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N극 영구자석, S극 영구자석, 자석에 끌리는 물질 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부(100)의 일 측부에 S극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타 측부에 N극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타 측부에 접촉하는 연결심(200)의 일 측면에는 S극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일 측면에 인접한 측면에는 N극 영구자석이 형성되며, 상기 일 측면과 반대쪽 측면에는 S극 영구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벽부(100)의 일 측부에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타 측부에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이 형성되고, 상기 타 측부에 접촉하는 연결심(200)의 일 측면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되고, 상기 일 측면에 인접한 측면에는 철과 같이 자석에 끌리는 물질이 형성되며, 상기 일 측면과 반대쪽 측면에는 영구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은 모든 종류의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자성이 강한 네오디움 영구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나 서로 마주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형상이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벽부(100) 또는 연결심(20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에서 나타낸 조립식 부스의 조립 결과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고, 벽부(100)와 연결심(200)의 조합으로 다양한 형태의 부스를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스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픽처 레일(170)에는 전시물을 거치하거나 슬라이딩 되게 할 수 있다. 팁(155) 사이에 형성된 상부 개구(151)로는 전기선이 배선될 수 있어 부스 상부에 조명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도면에 보이는 4개의 벽부(100) 가운데 지점에는 연결심(200)이 배치되어 4개의 벽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팁(155)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은 배선용 공간으로서, 전시용 부스 설치 완료 상태에서 배선을 시야에서 차단하므로 종래보다 깔끔한 외관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석을 이용하여 벽부(100)를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조립 도구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고 시공 및 철거가 쉬워지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가벼운 수지 소재로 구성되므로 설치, 해체 및 이송 등 취급이 편리하다.
10, 20, 30, 40: 결합부재
100: 벽부
110: 전면부
111: 하단면
120: 후면부
130: 제1 측부
140: 제2 측부
150: 상단부
151: 상부 개구
155: 팁
160: 하단부
161: 하부 개구
165: 풋
170: 픽처 레일
171: 치형 상부
172: 치형 하부
173: 내부 공간
174: 가이드 홈
180: 방염 시트
200: 연결심
210, 220, 230, 240: 측면
250: 제1 단부
255: 둘레 팁
260: 제2 단부
265: 둘레 풋
300: 마감판

Claims (2)

  1.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후면부, 상단부 및 하단부의 모서리로 둘러싸이는 제1 측부 및 제2 측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벽부;
    복수의 측면을 가지는 복수의 연결심;
    상기 제1 측부 및 제2 측부를 덮는 복수의 마감판; 및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연결심 및 하나 이상의 벽부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벽부는 제1 측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재 및 제2 측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결합부재 사이에 자기력이 작용하며, 상기 연결심은 자기력에 의해 상기 벽부와 결합 가능하고,
    상기 전면부의 하부면에는 하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에는 상부 개구가 형성되어 전기선이 상기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를 통해 상기 벽부의 내부로 배선될 수 있고, 상기 후면부의 하부면에도 하부 개구가 형성되어 전면부 및 후면부 양 방향으로 전기 배선이 관통 가능하고,
    상기 벽부의 상단부는 상방으로 연장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전면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1 팁과 후면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제2 팁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개구가 상기 제1 팁 및 제2 팁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측면은 4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심에 이웃하여 조립되는 벽부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방염 시트(flame retardancy)가 부착되어 화재를 예방하고, 상기 방염 시트는 알루미늄 시트이고, 스크래치 방지용 도장 처리되고,
    상기 벽부가 바닥에 똑바로 서있을 수 있도록 상기 벽부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풋이 형성되고, 상기 풋은 전면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제1 풋과 후면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제2 풋으로 구성되는,
    전시용 조립식 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에 픽처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픽처 레일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치형 상부 및 치형 하부를 포함하는 픽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간 안쪽면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전시물의 이동이 용이한,
    전시용 조립식 부스.
KR2020200001962U 2020-06-07 2020-06-07 자석 결합식 부스 KR20200001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62U KR20200001806U (ko) 2020-06-07 2020-06-07 자석 결합식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962U KR20200001806U (ko) 2020-06-07 2020-06-07 자석 결합식 부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799 Division 2019-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06U true KR20200001806U (ko) 2020-08-11

Family

ID=7203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962U KR20200001806U (ko) 2020-06-07 2020-06-07 자석 결합식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06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20B1 (ko) 2009-11-27 2012-04-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720B1 (ko) 2009-11-27 2012-04-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US6311441B1 (en) Panel-based modular wall system
JP5735270B2 (ja) 間仕切りパネル及びパネルの連結構造
JP3151022U (ja) ブース構造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01806U (ko) 자석 결합식 부스
KR101220882B1 (ko) 비해체 방음벽에서의 외관 개선용 방음패널 설치 구조물
KR102570317B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WO2020158992A1 (ko) 자석 결합식 부스
KR101697945B1 (ko) 전시 부스용 조립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08190153A (ja) 壁面構造
CN212535227U (zh) 磁吸组接结构
KR20170139923A (ko) 조립식 파티션
WO2016146087A2 (en) Variable magnetic modular system and its components
KR102657854B1 (ko) 전시 부스용 목재 조립식 패널
JP4217559B2 (ja) フレーム構造物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JP3183701U (ja) 店舗用建物
JP5043140B2 (ja) 間仕切りユニット
JP2020156425A (ja) 仕切りフェンス
JP2022019457A (ja) 間仕切り付組立式デスク
JP3221164U (ja) 間仕切り構造
US20220061522A1 (en) Niche System
JP6945512B2 (ja) 間仕切り構造、ブース、軒形成部材、布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