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8214Y1 -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 Google Patents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8214Y1
KR200338214Y1 KR20-2003-0032708U KR20030032708U KR200338214Y1 KR 200338214 Y1 KR200338214 Y1 KR 200338214Y1 KR 20030032708 U KR20030032708 U KR 20030032708U KR 200338214 Y1 KR200338214 Y1 KR 2003382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ole
slim
load
p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7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옥
Original Assignee
이플러스 이엔씨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플러스 이엔씨 (주) filed Critical 이플러스 이엔씨 (주)
Priority to KR20-2003-00327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82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82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82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용 조립식 강관 전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강관과 하부강관을 연결시키는 조립 이음부를 소켓 방식의 슬림형소켓부재로 체결함으로써, 강관의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고, 높고 가늘며, 외관이 미려하게 고안된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주는 상·하부 강관의 수직하중 및 수평(풍압하중)하중으로부터 탄력지지 보강하기 위한 보강핀부재와 탄력지지부재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하되, 조립 설치시 강관 각각의 내주면에 소켓 방식으로 삽입 체결되는 슬림형소켓부재와, 상기 강관 전주(50,50')를 지지하는 강관지지대(52) 및 조명용 투광기를 거치할 수 있는 원형철판(53)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A SLIM TYPE ELECTRIC POLE FOR HEAVY LOAD}
본 고안은 조명용 강관 전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강관과 하부강관을 연결시키는 조립 이음부를 소켓 방식의 슬림형소켓부재로 체결함으로써, 강관의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무거운 하중에 견딜 수 있고 높고 가늘며, 외관이 미려하게 고안된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전선용 전주와 조명용 전주로 크게 분류되고 조명용 전주는 단일품의 시멘트전주와 조립식 강관전주로 구분된다.
조명용 전주는 중소 규모의 옥외 테니스장, 농구장, 배구장, 야구장, 축구장, 골프장 등 스포츠 조명 및 공원, 광장 조명용과 옥외 안테나, 피뢰침용 등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전주는 주로 콘크리트 전주, 굵고 투박하게 제작된 강판 전주, 철 조립주 등이 있으나, 이들 전주들은 모두 미관이 좋지 못하고 환경과 조화롭지 못하거나 하중에 따른 강도 및 이동 설치에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립식 강관 전주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들 강관전주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제1도의 경우, 한국 실용신안공보(Y1)의 공고번호 실1982-0001564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강관으로, 조립식 전주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강관 소재(10, 10', 10")의 상·하단에 지지편(12,12')에 의해 지지되고 접합 플랜지(11,11')가 상호 접합되어 다수의 체결 볼트(13,...)에 의해 체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강관 전주는 운반 보관시 각 소재를 분리시킬 수가 있어 그 길이가 짧고 무게도 가벼워 취급 운반이 편리하고 보관 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지지편(12,12')에 의해 지지된 접합 플랜지(11,11')를 다수개의 체결 볼트(13,...)에 의해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 설치에 따른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인건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전주가 높이 올라갈수록 돌출된 지지편과 접합 플랜지 및 체결용 볼트수가 증가하여 전주의 미관을 해치는 폐단이 야기되어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제2도의 경우, 한국 실용신안공보(Y1)의 공고번호 실1993-0002702호에 개시되어 있는 조립식 강관 전주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강관 전주(20,20')의 연결구를 형성함에 있어서, 강관 접속부(21,21')와 접합 플랜지부(23,23') 및 보강부(22,22')가 일체화 되도록 프레스 가공시킨 후, 이를 다시 상하 강관 전주(20,20')와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용접된 상하 플랜지부(23,23')를 다수의 볼트(24, ...)로 체결 조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강관 전주의 연결구 방식은 강관과 연결구를 별도 제작하므로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나, 현장에서 강관과 연결구를 용접한 후, 체결 볼트로 조립해야 하는 작업 공정의 복잡성과 시공설치 작업에 따른 인건비 상승은 물론, 관 접속부가 취약하여 전주가 높이 올라갈수록 부착되는 조명등의 과도한 하중에 적정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돌출된 접합 플랜지로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강관 전주 및 강관 전주의 연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림형소켓부재를 채용하여 무거운 하중에도 적정한 수직·수평하중에 대한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최소의 굵기로 전주를 높이 설치 가능하며, 외관이 미려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되므로 친환경적이고 운반 및 조립 설치가 용이하도록 중(重)하중 슬림형의 강관 전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는,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강관(50)과 하부강관(50')을 소켓 방식으로 삽입 체결하며, 강관(50,50')의 수직하중 및 수평(풍압하중)하중으로부터 탄력지지 보강하기 위한 보강핀부재(500)와 탄력지지부재(600)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된 슬림형소켓부재(700)와, 강관 전주를 지지하는 강관지지대(52)와, 조명용 투광기를 거치할 수 있는 원형철판(53) 및 조명투광기(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강관 전주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조립식 강관 전주의 연결구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의 보강핀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의 탄력지지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의 슬림형소켓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의 조립식이음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상기 도 4 내지 도 7에 대한 구성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상부강관 50' : 하부강관
51 : 조립식이음부(제1단) 51' : 조립식이음부(제2단)
100 : 상부보강핀부 100' : 하부보강핀부
200 : 횡방향보강부 300 : 뒤틀림방지돌기
400 : 수평링부 420 : 수평링종방향보강부
500 : 보강핀부재 600 : 탄력지지부재
700 : 슬림형소켓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강관 재료는 압력용 탄소 원형 강관으로 하며, 제4도의 부호 500은 강관(50,50') 및 탄력지지부재(600)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핀부재이다.
또한 제5도의 부호 600은 탄력지지부재로, 상기 보강핀부재(500)의 구성수단인 상·하부 보강핀부(100,100')의 외주면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교하게 설계 제작되어 용접 형성하되, 소켓 방식으로 체결 접속된 수직·수평(풍압하중)하중을 받는 강관 전주(50,50')에 대하여 충분히 탄력지지 될 수 있도록 적정한 강도를 갖고 강관 내주면을 따라 부드럽고 고르게 압착 또는 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제6도의 부호 700은 슬림형(slim type)소켓부재로, 상부강관(50)과 하부강관(50')을 용이하게 연결 접속시키며, 특히 종래의 접합 플랜지 방식과는 전혀 다른 상·하부 강관사이에 중간 끼움 방식이므로 조명 투광기 및 강관 전주의 과도한 수직하중은 물론, 수평(풍압하중)하중으로부터 적정한 강도를 갖는 조립식 중간 이음부(51,51')로 사용되는 부재이다.
또한 제7도는 상기 제4도 내지 제6도의 제작 공정을 통해 조립 완성된 슬림형 소켓부재(700)를 체결하여 상·하부 강관(50,50')을 연결 접속한 제3도의 조립식 중간 이음부(51,51')를 더욱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제8도는 상기 제7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용접부를 포함하는 그 단면도를 기술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도면들을 통해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보강핀부재(500)는, 상·하부 강관(50,50') 및 상기 탄력지지부재(6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부재로서 강관 전주의 설계에 따라 소정의 사양을 갖는 압력용 탄소원형강관으로 이루어진 상부 보강핀부(100)와 하부 보강핀부(100') 사이에 일정 두께의 원형강판인 횡방향보강부(200)와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된다.
탄력지지부재(600)는, 상기 강관(50,50')과 상기 보강핀부(100,100') 사이에 소켓방식으로 정교하게 삽입 설치되며, 상기 원형철판(54) 상에 탑재되는 조명용 투광기를 포함하는 강관 전주의 수직하중 및 수평(풍압하중)하중으로부터 강관이 휘어짐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직립할 수 있도록 탄력지지 보강되는 구성부재로서, 상기 보강핀부(100,100')의 외주면과 상기 강관(50,50')의 내주면을 따라 고르게 압착 또는 밀착 접촉되는 상·하부 수평링부(400,400',410,410')와 상기 수평링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각 8개소의 종방향보강부(420,420',...)로 구성되어진다.
슬림형소켓부재(700)는,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기 상·하부강관(50,50')을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한 중간 이음부(51,51')로 쓰이며, 일종의 소켓 부재로서, 상기 보강핀부재(500)에 상기 탄력지지부재(600)를 끼움 방식으로 조립한 후, 상기 보강핀부재(500)의 구성 요소인 횡방향보강부(200)와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하되, 상기 상부강관(50)의 조립 설치에 따른 강관의 이탈이나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횡방향보강부(200)의 어느 일측면 두 곳에돌기(300)가 형성되어진다.
제8도는 제7도와 관련하여 상기 슬림형소켓부재(700)가 삽입 체결된 조립식 중간 이음부(51,51')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압력용 탄소 원형강관 및 강판을 절단 가공하였으며, 강관(50,50')과 탄력지지부재(600)를 지지하는 보강핀부(100,100')와 사이에 횡방향보강부(200)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시킨 보강핀부재(500)와, 상·하부 강관(50,50')을 탄력지지 보강하기 위한 소정의 규격을 갖는 4개소의 수평링부(400,400',410,410') 및 상기 수평링부를 탄력지지 보강하는 16개소의 종방향보강부(420,420')를 방사선 방향으로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된 탄력지지부재(600)와, 상기 탄력지지부재의 수평링부들은 상기 상·하부 강관(50,50')의 내주면과, 종방향보강부들은 상기 상·하부 보강핀부(100,100')의 외주면과 대향적으로 압착 또는 밀착 형성되는 슬림형소켓부재(7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슬림형소켓부재(700)의 구성 요소인 횡방향보강부(200) 상에 직립되는 상기 상부강관(50)의 수직·수평(풍압)하중으로부터 강관이 뒤틀리거나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수단(300)이 취부 된다.
또한 하부강관(50')은 전주 제작 사양에 따라 운반 및 조립 설치를 감안하여 작업 현장에서 상기 횡방향보강부(200)의 하부 일측면으로 용접 형성되거나 사전에 공장에서 용접되어 운반되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는, 1000∼2000[W]급 조명등 4∼10개의 중량에 해당하는 수직하중 100[kg] 및 수평(풍압하중)하중 100∼400[kg]에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적정 강도를 가지며, 전주 설치 높이가 12∼18[m]로 전주 최하단 직경 200∼250[mm], 전주 최상단 직경 100∼150[mm] 사양을 갖는 압력용 탄소 원형 강관을 소재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전주의 미관을 고려하여 외부 마감을 용융아연도금 또는 주위 환경과 잘 조화되도록 도색 조립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는, 종래의 조립식 강관전주나 강관 연결구가 안고 있는 문제점, 즉 조립식 중간 이음부가 볼트 체결에 의한 접합 플랜지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가 과도하게 돌출되어 전주 미관을 크게 해칠 뿐만 아니라, 전주 높이에 따라 접합 플랜지 및 체결 할 볼트수가 증대되어 작업시간 및 인건비가 상승되는 것을 본 발명의 슬림형소켓부재(700)로 대체함으로써 이들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강관과 하부강관을 연결 접속하기 위한 조립식 중간 이음부를 종래의 접합 플랜지 방식이 아닌 특수 제작된 소정의 슬림형소켓부재를 삽입 체결함으로써, 과도한 하중에도 적정한 강도를 가지며, 전주의 미관이 수려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과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강관과 하부강관을 접속 연결하기 위하여 조립식 중간 이음부를 구비하는 조명용 강관 전주에 있어서,
    상기 강관 전주는, 상·하부 강관(50,50')의 수직하중 및 수평(풍압하중)하중으로부터 탄력 보호 지지하기 위한 보강핀부재(500)와 탄력지지부재(600)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하되, 강관 전주 조립 설치시에 상기 강관 전주(50,50') 각각의 내주면에 일종의 소켓 방식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슬림형소켓부재(700)와, 및;
    상기 강관 전주(50,50')를 지지하는 강관지지대(52)와 조명용 투광기를 거치할 수 있는 원형철판(53) 및 조명 투광기(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핀부재(500)는, 상기 탄력지지부재(600)를 조립 체결하기 위한 소정의 상·하부 보강핀부(100,100') 사이에 횡방향보강부(200)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지지부재(600)는, 상기 강관(50,50')과 상기 보강핀부(100,100')사이에 일종의 소켓 방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 강관(50,50')을 탄력적으로 보호 지지하기 위한 소정의 상·하부 수평링부와 상기 수평링을 지지하는 소정의 종방향보강부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림형소켓부재(700)는, 상기 탄력지지부재(600)을 지지보강 하기 위한 보강핀부재(500)와 상기 강관(50,50')의 내주면과 상기 보강핀부재(500)의 외주면 사이에 소켓 방식으로 삽입되는 탄력지지부재(600)와 강관 조립 설치 후, 중(重)하중으로부터 상부강관(50)의 이탈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300)를 일체화시켜 용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주는, 압력용 탄소 원형강관이며, 용융아연도금 또는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색으로 강관이 도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20-2003-0032708U 2003-10-18 2003-10-18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2003382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8U KR200338214Y1 (ko) 2003-10-18 2003-10-18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708U KR200338214Y1 (ko) 2003-10-18 2003-10-18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737A Division KR100587801B1 (ko) 2003-10-17 2003-10-17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8214Y1 true KR200338214Y1 (ko) 2004-01-13

Family

ID=4942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708U KR200338214Y1 (ko) 2003-10-18 2003-10-18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82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97B1 (ko) 2008-04-30 2009-01-15 서강수 연결식 가로등 장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997B1 (ko) 2008-04-30 2009-01-15 서강수 연결식 가로등 장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44204B (zh) 可延长跨度距离及降低顶棚高度的支撑梁结构体及其安装方法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2098026B1 (ko) 지붕설치형 태양광발전시스템
KR20160108937A (ko) 건물 외장판넬구조체 및 상기 외장판넬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088870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거치대
KR20050037270A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200338214Y1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101250505B1 (ko) 조립식 구조물 구조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61432B1 (ko)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KR200464661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18408Y1 (ko) 울타리의 결합 구조
KR200420241Y1 (ko) 가로등 받침 베이스
KR200462075Y1 (ko) 목재와 금속재를 병용한 조립식 기둥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CN104818867A (zh) 一种移动组装式公厕
KR20100039125A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JP3459577B2 (ja) 中空部材接合構造及び屋外化粧材構造
KR200469418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754533B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0102500A (ko) 복합 소재 건축재
KR20140023062A (ko) 조립식 가로등주
CN101787817A (zh) 篷房
KR200232726Y1 (ko) 조립식 울타리
KR101049291B1 (ko)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JP4509082B2 (ja) 組立式発泡スチロール家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