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418Y1 - 조립식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418Y1
KR200469418Y1 KR2020080010452U KR20080010452U KR200469418Y1 KR 200469418 Y1 KR200469418 Y1 KR 200469418Y1 KR 2020080010452 U KR2020080010452 U KR 2020080010452U KR 20080010452 U KR20080010452 U KR 20080010452U KR 200469418 Y1 KR200469418 Y1 KR 200469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prefabricated
fastening hole
protrusion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624U (ko
Inventor
박준열
Original Assignee
(주)에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펠 filed Critical (주)에펠
Priority to KR202008001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418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를 형성하는 중간 또는 하부지주를 조립하여 전주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본 고안은,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소정의 부재들이 상호 결합 조립되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상을 형성하는 하부지주(20); 상부돌출부(33) 및 하부돌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돌출부(14)는 상기 하부지주(20)의 내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30); 및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상부돌출부(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은 가로등(50)이 구비된 상부지주(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은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해 가로등주의 하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 가로등주 하부지주만을 교체할 수 있고, 특히 하부지주 중에서 일부부재만을 교체하여도 되는 간편함이 있음과 동시에 전주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조립부품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볼트에 의한 조립 또는 억지끼워맞춤결합을 하지 않고 사출에 의해서 제작된 부재들을 슬라이드 끼워맞춤으로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부품의 과다 소요를 방지하여 경제적이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로등주, 베이스, 하부지주, 연결부, 상부지주, 직선형 부재, 곡선형 부재

Description

조립식 가로등주{A fabricated streetlight pole}
본 고안은 조립식 가로등주(a streetlight pol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를 형성하는 중간 또는 하부지주를 조립하여 전주를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용 조명의 경우 광원이나 등기구의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지만, 기둥은 답보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도시 환경의 미관과 어울리도록 가로등주를 아름답게 제작(美化)하려는 노력만이 있었을 뿐이다.
다만, 주변기술로 종래 등록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 실1990-0000846호, 고안의 명칭 : 조립식 등주)에 조립식 등주가 개시된 바가 있다. 이는 조립식등주를 한 번에 제작하는 것이 아닌,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각각을 체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가로등주의 중량에 따른 시공의 불편함을 완화하여, 각각의 부품을 조립하는 것을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차량충격 등에 의해 일부 파손된 가로등주에 있어서 종래에는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랐으나, 상기 고안의 경우에는 일부만을 교체하여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기여한 바 가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해 가로등주의 하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 가로등주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제10-0754533호(조립식 가로등주)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조립식 가로등주는 차량충격 등에 의해 일부 파손된 가로등주에 있어서 전부 교체하지 않고 일부를 교체함으로써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등주를 조립하기 위하여 다수의 볼트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억지끼워맞춤결합을 하여 등주를 조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볼트 소요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억지끼워맞춤결합을 하는 경우에는 금속재로 된 등주를 억지끼워맞추어야 하므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해 가로등주의 하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 가로등주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전주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조립부품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조립부품의 과다 소요를 방지하여 경제적이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조립식 가로등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본 고안의 조립식 가로등주는 지면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다수의 볼트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3)와, 상기 볼트결합공(12) 외측에 상기 고정부(13)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부가 중공된 돌출부(14)가 구비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돌출부(14)에 삽입되고, 소정의 조립식 부재(21)들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조립되며, 하부에 상기 볼트결합공(12)과 상응하는 하부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 하부지주(20); 외측에는 상기 상부 체결공(23)과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1)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20)의 내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내부가 중공된 하부돌출부(32)가 형성된 연결부(30); 및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상부돌출부(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은 가로등(50)이 구비된 상부지주(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교번되어 다단으로 결합되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의 크기가 작아지며, 하부지주(2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는 상부에 상기 하부돌출부(32)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돌출부(3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33) 외측에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지주(20)의 하부 체결공(22)와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20)가 원기둥형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플랜지(21a)와 웨브(21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웨브(21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일측 상기 플랜지(21a)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1c)와, 상기 플랜지(21a)의 외측에 인접한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의 플랜지(21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기부(21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1d)가 구비된 결합부(21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주(20) 조립식 부재(21)의 원형 돌기부(21c)와 인접한 조립식 부재(21)의 상기 원형 요홈부(21d) 결합시 상기 조립식 부재(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며, 상기 조립식 부재(21)가 일련되게 끼움결합되어 원기둥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주(20)가 사각형상으로 된 경우에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플랜지(22a)와 웨브(22b)로 된 'H'자형 단면으로 횡단면이 직선형으로 되고, 상기 웨브(22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2a)의 양쪽 내측에 각각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2c)가 구비된 직선형 부재(22d)와, 플랜지(23a)와 웨브(23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만곡된 곡선형으로 되고, 상기 웨브(23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양쪽에 인접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플랜지(22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상기 원형 돌기부(22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3c)가 구비된 결합부(23d)가 형성된 곡선형 부재(23e)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원형돌기부(22c)와 인접한 곡선형 부재(23e)의 원형 요홈부(23c) 결합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고 상기 직선형 부재(22d)와 곡선형 부재(23e)가 서로 교번되어 끼움결합되어 다각기둥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브(21b)(22b)(23b)의 중앙은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자형으로 되며, 하부와 상부에 각각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주(20)의 외부면에 다수의 돌기(24)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지주(20)는 알루미늄으로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한 본 고안은, 차량 등의 충격에 의해 가로등주의 하부가 국부적으로 파손된 경우 가로등주 하부지주만을 교체할 수 있고, 특히 하부지주 중에서 일부부재만을 교체하여도 되는 간편함이 있음과 동시에 전주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조립부품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볼트에 의한 조립 또는 억지끼워맞춤결합을 하지 않고 사출에 의해서 제작된 부재들을 슬라이드 끼워맞춤으로 조립하게 되므로 조립부품의 과다 소요를 방지하여 경제적이고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상술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것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로등주, 전주, 기타 신호등주등에서 하부지주의 경우에 일체로 성형되어 가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하부지주를 일체로 성형하지 아니하고, 조립을 위한 부재를 성형한 후, 시공 시에 조립하여 각종의 기둥(가로등주, 전주 등등)을 형성하는데 큰 차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가로등주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등록번호 제10-0754533호(조립식 가로등주)에 기재된 발명을 개량한 것으로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발명의 조립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가로등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가로등주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소정의 부재들이 상호 결합 조립되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상을 형성하는 하부지주(20); 상부돌출부(33) 및 하부돌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32)는 상기 하부지주(20)의 내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연결부(30); 및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상부돌출부(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은 가로등(50)이 구비된 상부지주(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외측에 구비된 앵커볼트 결합공(11)이 구비되며, 지면에 앵커볼트(미도시)로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다수의 볼트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3)가 구비되며, 상기 볼트결합공(12) 외측에 상기 고정부(13)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부가 중공된 돌출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0)의 돌출부(14) 내부에는 조립된 상기 하부지주(20)가 삽입되어 안착되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20)는 상기 베이스(10)의 돌출부(14)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20)는 소정의 조립식 부재(21)들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조립되어 전주를 형성되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2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고정부(13)에 형성된 상기 볼트결합공(12)과 상응하는 위치에 하부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체결공(22)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하부지주(20)와 베이스(10)를 서로 고정시키게 되며, 상부 체결공(23)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하부지주(20)와 연결부(30)를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20)의 외부면에 다수의 돌기(24)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돌기(24) 또는 홈이 형성되게 되면 거리의 미관을 해치는 불법광고물의 부착의 남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에 의해 원기둥 전주나 다각기둥 전주를 형성할 수 있는데, 다만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원기둥 전주와 사각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에 의해 원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경우(도 4,5 참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플랜지(21a)와 웨브(21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원호형상을 이룬다. 상기 웨브(21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식 부재(21)는 일측 상기 플랜지(21a)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1c)가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21a)의 외측에 인접한 상기 하부지주(20) 조립식 부재(21)의 플랜지(21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21e)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1e)에는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기부(21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1d)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지주(20) 조립식 부재(21)의 원형 돌기부(21c)와 인접한 조립식 부재(21)의 상기 원형 요홈부(21d) 결합시 상기 조립식 부재(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조립식 부재(21)가 일련되게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립식 부재(21)가 원기둥형상을 이루면서 조립되게 되며, 이러한 조립작업을 원주방향으로 차례로 반복함으로써 완전한 원기둥 형상의 하부지주(20)로 조립되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에 의해 사각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경우(도 7,8 참 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직선형 부재(22d)와, 곡선형 부재(23e)로 이루어져 이들을 교번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사각기둥 전주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직선형 부재(22d)는 플랜지(22a)와 웨브(22b)로 된 'H'자형 단면으로 횡단면이 직선형으로 된다. 상기 웨브(22b)에는 원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조립식 부재(21)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부재(22d)는 상기 플랜지(22a)의 양쪽 내측에 각각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2c)가 구비된다.
상기 곡선형 부재(23e)는 플랜지(23a)와 웨브(23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만곡된 곡선형으로 된다. 상기 웨브(23b)에는 원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조립식 부재(21) 및 상기 직선형 부재(22d)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곡선형 부재(23e)는 상기 플랜지(23a)의 양쪽에 인접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플랜지(22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23d)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23d)에는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직선형 부재(22d)의 상기 원형 돌기부(22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3c)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원형돌기부(22c)와 인접한 곡선형 부재(23e)의 원형 요홈부(23c) 결합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직선형 부재(22d)와 곡선형 부재(23e)가 서로 교번되도록 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사각기둥 형상을 이루면서 조립되게 되며, 이러한 조립작업을 일련되게 반복함으로써 완전한 사각기둥 형상의 하부지주(20)로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서와 같이 조립식 부재들의 결합을 위한 별도로 다수의 볼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억지끼워맞춤 작업을 하지 않고, 원형 돌기부와 원형 요홈부를 슬라이드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지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원기둥 전주를 형성하는 조립식 부재(21), 상기 직선형 부재(22d) 및 곡선형 부재(23e)의 웨브에는 하부와 상부에 각각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웨브(21b)(22b)(23b)의 중앙이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자형으로 되어 하부와 상부에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웨브(21b)(22b)(23b)의 중앙이 C자형으로 되게 되면 조립식 부재(21), 상기 직선형 부재(22d) 및 곡선형 부재(23e)를 사출에 의해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하부지주(20)는 원기둥 전주나 다각기둥 전주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식 부재(21)의 제작은 알루미늄으로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는 외측에 상기 상부 체결공(23)과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내부가 중공된 하부돌출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돌출부(32)는 상기 하부지주(20)의 돌출부(14) 내부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부돌출부(32)의 모양이 원형인 경우(도 6 참조)에는 원기둥 가로등주에 사용하고 사각형인 경우(도 9 참조)에는 사각기둥 가로등주에 사용한다.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교번되어 다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6과 도 9에 도시된 연결부(30)는 모두 하부지주(20)가 다단으로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상부로 갈수록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주(2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돌출부(32)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돌출부(3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33) 외측에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지주(20)의 하부 체결공(22)와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4)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지주(40)는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부(30)에 고정되며 타단은 가로등(5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주(40)는 상기 하부지주(20)가 도 1에서와 같이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3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지주(40)는 상기 하부지주(20)가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3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돌출부(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 고정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가로등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하부지주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사각기둥 형태의 조립식 가로등주의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베이스(10)
하부지주(20)
조립식 부재(21)
하부 체결공(22)
상부 체결공(23)
직선형 부재(22d)
곡선형 부재(23e)
돌기(24)
연결부(30)
상부지주(40)
가로등(50)

Claims (7)

  1. 지면에 고정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 다수의 볼트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3)와, 상기 볼트결합공(12) 외측에 상기 고정부(13)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며 내부가 중공된 돌출부(14)가 구비된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돌출부(14)에 삽입되고, 소정의 조립식 부재(21)들이 상호 끼움결합되어 내부가 빈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조립되며, 하부에 상기 볼트결합공(12)과 상응하는 하부 체결공(2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 하부지주(20);
    외측에는 상기 상부 체결공(23)과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1)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하부지주(20)의 내부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내부가 중공된 하부돌출부(32)가 형성된 연결부(30); 및
    소정의 방향으로 만곡되고, 일단은 상기 연결부(30)의 상부돌출부(33)의 내부 또는 외부에 삽입 고정되며, 타단은 가로등(50)이 구비된 상부지주(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서로 교번되어 다단으로 결합되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하부지주(20)와 상기 연결부(30)의 크기가 작아지며,
    하부지주(20)와 하부지주(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는 상부에 상기 하부돌출부(32)보다 크기가 작은 상부돌출부(33)가 더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33) 외측에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지주(20)의 하부 체결공(22)와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결합구(3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플랜지(21a)와 웨브(21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웨브(21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일측 상기 플랜지(21a)의 내측에 각각 형성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1c)와,
    상기 플랜지(21a)의 외측에 인접한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의 플랜지(21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기부(21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1d)가 구비된 결합부(21e)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주(20) 조립식 부재(21)의 원형 돌기부(21c)와 인접한 조립식 부재(21)의 상기 원형 요홈부(21d) 결합시 상기 조립식 부재(2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며, 상기 조립식 부재(21)가 일련되게 끼움결합되어 원기둥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의 조립식 부재(21)는,
    플랜지(22a)와 웨브(22b)로 된 'H'자형 단면으로 횡단면이 직선형으로 되고, 상기 웨브(22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22a)의 양쪽 내측에 각각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형 돌기부(22c)가 구비된 직선형 부재(22d)와,
    플랜지(23a)와 웨브(23b)로 된 'H'자형 횡단면이 만곡된 곡선형으로 되고, 상기 웨브(23b)에는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양쪽에 인접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플랜지(22a)에 끼움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되고,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상기 원형 돌기부(22c)와 결합되는 원형 요홈부(23c)가 구비된 결합부(23d)가 형성된 곡선형 부재(23e)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원형돌기부(22c)와 인접한 곡선형 부재(23e)의 원형 요홈부(23c) 결합시 상기 직선형 부재(22d)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슬라이드 끼움결합되고 상기 직선형 부재(22d)와 곡선형 부재(23e)가 서로 교번되어 끼움결합되어 다각기둥 형상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21b)(22b)(23b)의 중앙은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자형으로 되며, 하부와 상부에 각각 상기 하부 체결공(22)과 상기 상부 체결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의 외부면에 다수의 돌기(24)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주(20)는 알루미늄으로 기둥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로등주.
KR2020080010452U 2008-08-05 2008-08-05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69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452U KR200469418Y1 (ko) 2008-08-05 2008-08-05 조립식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452U KR200469418Y1 (ko) 2008-08-05 2008-08-05 조립식 가로등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624U KR20100001624U (ko) 2010-02-16
KR200469418Y1 true KR200469418Y1 (ko) 2013-10-17

Family

ID=4419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452U KR200469418Y1 (ko) 2008-08-05 2008-08-05 조립식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4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418Y1 (ko) * 2008-08-05 2013-10-17 (주)에펠 조립식 가로등주
KR101020897B1 (ko) * 2010-09-15 2011-03-11 이명환 가로등 지주
US9121194B2 (en) * 2012-04-10 2015-09-01 Day Brite Industrial Manufacturing Sdn, Bhd. Utility pole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24U (ko) * 2008-08-05 2010-02-16 (주)에펠 조립식 가로등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624U (ko) * 2008-08-05 2010-02-16 (주)에펠 조립식 가로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624U (ko) 2010-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4255B1 (ko) 가로등의 베이스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0469418Y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775816B1 (ko) 기초 구조물과 분리 결합이 용이한 가로등주
KR20120128950A (ko) 가로등 지주
US20220223993A1 (en) Cellular base station assemblies
KR101034857B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200420241Y1 (ko) 가로등 받침 베이스
KR100754533B1 (ko) 조립식 가로등주
KR100902876B1 (ko) 가로등주의 연결부 결합장치
KR200345006Y1 (ko) 가로등주용 가로등 결속 밴드
KR100933745B1 (ko) 엘이디조명 매직 박스
KR200386274Y1 (ko) 펜스
KR200407046Y1 (ko) 안전펜스 결합구조
KR200422797Y1 (ko) 등 조립용 연결부재
KR100587801B1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200463273Y1 (ko) 조립형 펜스 지주
KR20030077050A (ko) 하우스 골조
KR200455516Y1 (ko) 조립식 가로등
KR101474720B1 (ko) 데크용 가드레일포스트
KR20030242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
KR200250503Y1 (ko) 전시용 조립시스템
KR200216697Y1 (ko) 가로등 설치용 구조물
KR101107727B1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용 부재
KR200285084Y1 (ko) 가로등 아암
KR100407636B1 (ko) 전시용 조립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