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432B1 -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432B1
KR100661432B1 KR1020060090608A KR20060090608A KR100661432B1 KR 100661432 B1 KR100661432 B1 KR 100661432B1 KR 1020060090608 A KR1020060090608 A KR 1020060090608A KR 20060090608 A KR20060090608 A KR 20060090608A KR 100661432 B1 KR100661432 B1 KR 100661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low
extension column
welding
upp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조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진 filed Critical 조성진
Priority to KR102006009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다단으로 분리된 지지체(상부연결관,접합관,하부지지관)를 강성요구에 따라 취사선택된 동일 소재(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등)로 하여금 서로 용착하는 한편, 상기 용착된 상부연결관 상단 중공으로는 동종 또는 다른 이종 소재의 연장지주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취약점에 대한 강성을 용이하게 보강시킬 수 있는 한편, 사후 차량 등에 의한 부분 파손시 또는 노후상태로 인한 유지보수시 연장지주 또는 지지체만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작에 따른 상호 호환 및 운반성이 탁월하며 특히, 다단으로 구성된 연장지주과 상부연결관, 접합관 및 하부지지관을 포함한 지지체의 재질과 색상을 각각 달리하며 제작 설치케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설치 미관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 가로등주는 도로 주변 및 인도 등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 소통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파손사고, 기타 도로공사 또는 복개작업 등의 지장물로 변질될 경우, 상기 파손 또는 지장된 해당 부분품(연장지주 또는 지지체 중 어느 하나)만 별도로 교체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수의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즉, 가로등주 교체 작업시 통상 교체되는 부분품이 안정기 내장부의 윗 부분인 연장지주 측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연장지주 내에 인입된 전기배선의 여유에 따라 전선의 단락 없이 고정브라켓으로 하여금 간단히 분해 결합함으로써, 신속 하고 간단한 교체보수 작업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이 마련된 상부연결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과 맞닿아 용착되도록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턱(210)을 형성하는 한편, 개구된 하단부에는 결합단(220)이 형성되는 접합관(200)과; 상기 접합관의 결합단(220)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부지지관(3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원화된 다단식 가로등주로 하여금 간단한 체결 결합을 조장하며 신속한 작업성을 제공하는 한편, 각각의 부분품 재질과 색상을 임의 현장에 맞춰 설치시공이 유연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경제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가로등주, 분체도장, 연장지주, 상부연결관, 하부지지관, 접합관

Description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MULTISTAGE STREET LIGHTS BE POSSIBLE TO JOINT WITH ANOTHER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이 도로상에 실시된 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확대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확대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장지주 11 ... 등기구
100 ... 상부연결관 110 ... 중공
120 ... 절개홈 130 ... 고정브라켓
131 ... 결합공 140, 140a ... 용접단
200 ... 접합관 210 ... 결합턱
220 ... 결합단 300 ... 하부지지관
310 ... 중공 320 ... 용접턱
330 ... 지지구 400 ... 커버
본 발명은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다단으로 분리된 지지체(상부연결관,접합관,하부지지관)를 강성요구에 따라 취사선택된 동일 소재(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등)로 하여금 서로 용착하는 한편, 상기 용착된 상부연결관 상단 중공으로는 동종 또는 다른 이종 소재의 연장지주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취약점에 대한 강성을 용이하게 보강시킬 수 있는 한편, 사후 차량 등에 의한 부분 파손시 또는 노후상태로 인한 유지보수시 연장지주 또는 지지체만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작에 따른 상호 호환 및 운반성이 탁월하며 특히, 다단으로 구성된 연장지주과 상부연결관, 접합관 및 하부지지관을 포함한 지지체의 재질과 색상을 각각 달리하며 제작 설치케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설치 미관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주는 고가의 주철재로 이루어져 도로변이나 공원 등의 지면에 세워져 설치됨으로써, 야간 활동에 따른 조명을 비추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주철재 가로등주는 몸체 외주면에 액상 도료를 코팅하여 외관의 미감을 부각시키고 수명보호를 도모하게 되는 바, 이러한 도료 코팅 방식은 장기간 방치시 짧은 도장 수명에 의해 잦은 보수를 요하거나 쉽게 부식이 발생되어 가로등 용 지주로서 부적합한 문제를 낳고 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한 스테인레스 지주는 금속제 표면 그대로 설치됨으로써, 최초 설치시 그 외형 자체만으로 일반인들에게 보다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하기는 하나, 오로지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스테인레스 지주는 최초 지면에 설치시 그 상태로 유지되어 어느 정도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매연 등의 공해로 인해 쉽게 오염되어 외관이 오히려 불쾌한 이미지를 낳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가로등 지주를 저가이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주철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는 바, 이는 주철이 쉽게 부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녹 발생 억제 도료를 단순히 지주의 외주면에 분사하여 이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주철재로 이루어진 지주는 2~3년 내에 도료가 금새 벗겨져 수명이 짧아 지주 몸체에 대해 전부 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이에 가로등용 지주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고정지주 즉, 콘크리트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만 원가절감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주철재로 이루어진 고정지주 외에 대부분의 가로등주는 오로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차량 또는 보행자로 인한 전부 또는 일부 파손시 가로등주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비생산성의 문제를 갖는 한편, 구조적인 취약점에 대해 강성을 보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외관에 대한 도장색상 역시 다양하게 변화시키기 어려운 문제 등 적지않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다단으로 분리된 지지체(상부연결관,접합관,하부지지관)를 강성요구에 따라 취사선택된 동일 소재(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등)로 하여금 서로 용착하는 한편, 상기 용착된 상부연결관 상단 중공으로는 동종 또는 다른 이종 소재의 연장지주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취약점에 대한 강성을 용이하게 보강시킬 수 있는 한편, 사후 차량 등에 의한 부분 파손시 또는 노후상태로 인한 유지보수시 연장지주 또는 지지체만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작에 따른 상호 호환 및 운반성이 탁월하며 특히, 다단으로 구성된 연장지주과 상부연결관, 접합관 및 하부지지관을 포함한 지지체의 재질과 색상을 각각 달리하며 제작 설치케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설치 미관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이 마련된 상부연결 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과 맞닿아 용착되도록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턱(210)을 형성하는 한편, 개구된 하단부에는 결합단(220)이 형성되는 접합관(200)과; 상기 접합관의 결합단(220)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부지지관(3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지주(10)는 재질이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일 경량 금속관을 취사선택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300)은 재질이 주강재관,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어느 일 소재를 동일 소재로 취사선택하여 상호 용착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300)은 각각의 몸체 외주면에 서로 다른 색상이 분체 도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지주(10)의 하단이 상부연결관의 상단 중공(110)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고정브라켓(130) 측에는 빗물, 먼지, 이물질, 강제훼손으로부터 결합상태를 보호하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40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로써,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 어서,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a)이 마련된 상부연결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a)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부지지관(3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구(B)는 "U" 자 형상의 체결볼트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와, 상기 연장지주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상부연결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 및 하부지지관의 용접턱(320)에 용착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접합관(200)과, 상기 접합관의 결합단(220)과 용착 고정하되, 연장지 주(10)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관(300)으로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은 오직 동일 소재로 주물 제작되어 제조, 유지관리가 곤란했던 종래의 일체형 가로등주를 개선하고자, 해당 가로등주의 몸체를 다단으로 분리하되, 설치장소 지역특성에 따라 분리된 다단을 동일소재 또는 이종소재로 변형 결합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제작에 따른 작업성, 운송에 따른 생산성, 제품의 내구성과 유지보수에 따른 탁월한 관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연결관(100)은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120)은 연장지주(10)가 삽입되어 결합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중공(110)의 내경이 상기 연장지주(10)의 외경보다 다소 넓은 직경을 갖도록 벌려지게끔 형성된다.
즉, 상부연결관의 상단측 중공(110)은 절개홈으로 하여금 연장지주(10)의 삽입을 헐거운 끼움으로 받아들인 후, 후술되는 브라켓(130)과 체결구(B)로 하여금 중앙 원점을 향해 벌어진 절개홈(120)이 조임되어 억지 끼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30)은 절개홈의 갈라진 외측 단부로부터 수직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양측에 각각 용착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다시말해, 상부연결관(100)의 중공(110)과 외벽을 가르며 양측으로 절개된 절개홈(120)의 외측벽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직사각판형의 몸체가 한쪽에 2개씩 짝을 이루며 조임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면상에는 상호 조임을 조장하는 결합공(131)이 형성되고, 이러한 결합공(131)은 별도의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B)에 의해 견고한 고정결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B)는 단순 볼트 및 너트로 결합하는 것 외에 상기 볼트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 볼트로 형성하여 한쪽에서만 스패너로 너트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작업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접단(140)은 원통형의 몸체 외주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삭가공된 일종의 단턱으로써, 후술되는 접합관의 결합턱(210)과 암수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용접단(140)과 결합턱(210)은 동일소재로써, 요구강성에 따라 주강관,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일 소재를 취사선택하여 용착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용착에 따른 용접봉 역시 양 소재의 접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이프관 끼리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합관(200)은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과 맞닿아 용착되도록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턱(210)을 형성하는 한편, 개구된 하단부에는 결합단(2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턱(210)은 상기 용접단(140)과 대응되도록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가공된 것으로 용접단과의 암수 결합후 용착되도록 조장하는 한편, 몸체 하단에 형성된 결합단은 별도의 절삭가공없이 하부지지관의 용접턱(320)에 단순 끼움되도록 형성된다. 즉, 개구된 하단부 자체로 삽입되어 용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역시 파이프관끼리의 용이한 접합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결합단(220)과 용접턱(320)은 동일소재로써, 요구강성에 따라 주강관,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일 소재를 취사선택하여 용착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용착에 따른 용접봉 역시 양 소재의 접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관(300)은 접합관의 결합단(220)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접턱은 상기 결합단과 대응되도록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삭가공된 것으로, 상기 결합단과의 암수 결합후 용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구(330)는 내부가 관통된 깔대기 형상의 관으로써, 하부지지관의 중공으로 삽입시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결합한 후 용착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장지주가 삽입되어 그 외경이 지지구의 좁은 하단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바, 그 만곡된 내주면에 자연스럽게 걸림되어 연장지주의 하향 진행을 방지하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스토퍼 역활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주(10)는 재질이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일 경량 금속관을 취사선택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체로 명명한 상부연결관, 접합관, 하부지지관과 연장지주의 재질을 동일하게 대응시키거나 또는 달리함으로써, 사용처의 환경과 강성요구에 따라 취약한 강성보강은 최적으로 형성하되, 그 외 부분품인 연장지주에 대해서는 파손, 노후 등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도록 소재의 무게, 원가를 취사선택하며 시설상태에 따라 상호 호환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즉, 일체형으로 된 종래의 가로등주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한 반면, 제작 사후 관리가 경제적인 강점이 있다.
이에, 상기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300)은 재질이 주강재관,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어느 일 소재를 동일 소재로 취사선택하여 상호 용착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연장지주(100를 수용하며 고정하는 지지체로써, 이를 일체의 주물로 제작시 제품이 쉽게 파손되는 한편,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바, 이에 본원 지지체는 제작시 다단으로 부분품을 다원화함으로써, 다양한 재질에 대해 유연한 작업성을 갖는 한편, 취약한 강성요구에 따라 주문제작이 용이한 강점이 있다.
한편, 연장지주(10),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200)은 각각의 몸체 외주면에 서로 다른 색상이 분체 도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시 미관을 최대한 돋보이도록 하는데 있어서, 가로등주의 설치 장소에 따라 색상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부품의 교체시 용이한 색상변경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지주(10)의 하단이 상부연결관의 상단 중공(110)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고정브라켓(130) 측에는 빗물, 먼지, 이물질, 강제훼손으로부터 결합상태를 보호하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40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로써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연결관(100)은 상술한 별도의 접합관(200) 없이 일체로 제작되는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써, 파이프관 외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상부연결관(100)은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a)이 마련된다.
즉, 몸체가 주강 주물재로 형성되어 파이프관 외에 사용되는 설치장소에 대응하며 시설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관(100) 및 용접단(140a)은 주강 주물재로 제작됨으로써, 별도의 접합관을 제작하지 않고 일체형의 몸체를 이루게 되는 바, 이는 후술되는 하부지지관(300)과의 결합시 보다 단순한 부품수로써 견고한 용착을 이루게 된다.
이에 하부지지관(300)은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a)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지지관(300)은 상부연결관(100)과 동일 소재로써, 주강 주물재로 제작되는 바, 이는 파이프관 외에 사용되는 설치장소에 대응하며 시설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체결구(B)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U" 자 형상의 체결볼트로 사용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일측에서만 체결결합이 가능한 효율적인 작업성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은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또는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발명 가로등주는 등기구(11)를 부설한 연장지주(10), 지지체 역할을 하는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그리고 지면과 고정되는 하부지지관(300)이 용착에 의해 견고한 강성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연장지주(10)와 지지체(100,200,300)가 각기 다른 재질 각기 다른 색상으로 취사선택하며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지면에 대해 철근골조와 고정결합되는 하부지지관(300)은 설치장소 및 그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며 강성이 높은 주강재관, 알루미늄관, 스테인레스관, 아연도금 강관 등 일 소재로 형성한다.
이에 상기 상부연결관(100)과 접합관(200) 역시 설치장소 및 그에 따른 특성을 고려하며 강성이 높은 주강재관, 알루미늄관, 스테인레스관 등 일 소재로 형성한다.
이러한 하부지지관(300)과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은 동일소재의 파이프관으로 구성되되, 색상은 각기 다른 분체도장을 이루며 별도로 제작된 후 오로지 용착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견고한 상중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즉, 종래의 가로등주와는 달리 분체도장을 각 부품마다 별도로 도포함으로써, 시인성 및 외관의 미적 아름다움을 설치장소에 대응하여 형성할 수 있는 한편, 재질 역시 공원, 해안가, 산간, 아파트 등에 맞춰 강성을 고려하며 제작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상부연결관(100)의 상단 중공(110) 내부로 연장지주(10)가 삽입되고, 상기 연장지주(10)는 V홈으로 갈라진 상부연결관의 절개홈(120)과 브라켓(130)으로 하여금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조임되어 견고한 고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주(10)는 상부연결관의 중공(110)과 결합됨에 있어서, 하방향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지지구에 받침됨으로써, 하향 진행을 단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지주(10)의 하단이 상부연결관의 상단 중공(110)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고정브라켓(130) 측에는 빗물, 먼지, 이물질, 강제훼손으로부터 결합상태를 보호하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400)가 더 부설되어 감싸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 가로등주는 도로 주변 및 인도 등에 설치됨에 따라, 차량 소통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파손사고, 기타 도로공사 또는 복개작업 등의 지장물로 변질될 경우, 상기 파손 또는 지장된 해당 부분품만 별도로 교체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수의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즉, 가로등주 교체 작업시 통상 교체되는 부분품이 안정기 내장부의 윗 부분인 연장지주 측에 해당하므로, 이러한 연장지주 내에 인입된 전기배선의 여유에 따라 전선의 단락 없이 고정브라켓으로 하여금 간단히 분해 결합함으로써, 신속하고 간단한 교체보수 작업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연결관(100)은 별도의 접합관(200)이 부설되지 않도록 일체형의 스테인레스 주물재 또는 주강 주물재로써, 이는 하부지지관(200)과의 동일 소 재로 형성되는 한편, 사용처의 실태에 대응하며 파이프관 외의 변형실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분리된 지지체(상부연결관,접합관,하부지지관)를 강성요구에 따라 취사선택된 동일 소재(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등)로 하여금 서로 용착하는 한편, 상기 용착된 상부연결관 상단 중공으로는 동종 또는 다른 이종 소재의 연장지주가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조적 취약점에 대한 강성을 용이하게 보강시킬 수 있는 한편, 사후 차량 등에 의한 부분 파손시 또는 노후상태로 인한 유지보수시 연장지주 또는 지지체만 선별적으로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작에 따른 상호 호환 및 운반성이 탁월하며 특히, 다단으로 구성된 연장지주과 상부연결관, 접합관 및 하부지지관을 포함한 지지체의 재질과 색상을 각각 달리하며 제작 설치케 함으로써, 비용절감 및 설치 미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이 마련된 상부연결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과 맞닿아 용착되도록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턱(210)을 형성하는 한편, 개구된 하단부에는 결합단(220)이 형성되는 접합관(200)과;
    상기 접합관의 결합단(220)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부지지관(3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주(10)는
    재질이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일 경량 금속관을 취사선택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300)은
    재질이 주강재관, 스테인레스관, 알루미늄관, 아연도금 강관 중 어느 일 소재를 동일 소재로 취사선택하여 상호 용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부연결관(100), 접합관(200), 하부지지관(300)은
    각각의 몸체 외주면에 서로 다른 색상이 분체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주(10)의 하단이 상부연결관의 상단 중공(110)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고정브라켓(130) 측에는 빗물, 먼지, 이물질, 강제훼손으로부터 결합상태를 보호하도록 하는 별도의 커버(400)가 더 부설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6. 상단 일측에 등기구(11)가 부설된 연장지주(10)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 워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가로등주에 있어서,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에 중공(110)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V홈으로 절취되는 절개홈(120)과, 상기 절개홈(120)의 갈라진 단부에 대해 외측 수직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면상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별도의 체결구(B)와 결합너트로 하여금 연장지주(10)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고정브라켓(130)과, 상기 고정브라켓(130)의 반대편인 몸체의 하단부에 용접단(140a)이 마련된 상부연결관(100)과;
    상기 상부연결관의 용접단(140a)과 대응되어 용착되도록 재질이 스테인레스 주물재, 주강 주물재 중 일 소재로 형성된 몸체의 내부가 중공(310)인 몸체의 상단부에는 용접턱(3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중공(310) 내측에는 하방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의 지지구(330)가 용착되어 연장지주(10)를 받치도록 형성된 원통형의 하부지지관(30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7. 제 1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B)는
    "U" 자 형상의 체결볼트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KR1020060090608A 2006-09-19 2006-09-19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KR100661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08A KR100661432B1 (ko) 2006-09-19 2006-09-19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608A KR100661432B1 (ko) 2006-09-19 2006-09-19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432B1 true KR100661432B1 (ko) 2006-12-27

Family

ID=3781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608A KR100661432B1 (ko) 2006-09-19 2006-09-19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4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24B1 (ko) * 2007-01-31 2007-09-03 이성형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KR100891318B1 (ko) * 2008-12-19 2009-03-31 (주)청산가로등주 이종 및 이경 파이프 연결용 조립링을 갖는 가로등주
KR100926945B1 (ko) * 2007-07-31 2009-11-17 부광기업(주) 안정기 걸이부재, 지주연결부재 및 기구연결부재를 구비한가로등
KR100927482B1 (ko) * 2007-09-06 2009-11-19 박수우 장식용 조명장치
KR102439876B1 (ko) * 2021-10-27 2022-09-05 주식회사 대현시스템 건축물 하중지지용 서포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24B1 (ko) * 2007-01-31 2007-09-03 이성형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KR100926945B1 (ko) * 2007-07-31 2009-11-17 부광기업(주) 안정기 걸이부재, 지주연결부재 및 기구연결부재를 구비한가로등
KR100927482B1 (ko) * 2007-09-06 2009-11-19 박수우 장식용 조명장치
KR100891318B1 (ko) * 2008-12-19 2009-03-31 (주)청산가로등주 이종 및 이경 파이프 연결용 조립링을 갖는 가로등주
KR102439876B1 (ko) * 2021-10-27 2022-09-05 주식회사 대현시스템 건축물 하중지지용 서포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432B1 (ko) 이종 소재의 체결이 가능한 다단식 가로등주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0661431B1 (ko) 나사체결을 이용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1137602B1 (ko) 가로등지주의 결합구조
KR100797613B1 (ko) 교통신호 구조물 설치용 철주 조립장치
KR100762446B1 (ko) 가로등 지주
KR100973029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200293158Y1 (ko) 도로표지판 결합구조
KR100927376B1 (ko) 알루미늄 합금 가로등 등주
KR200453088Y1 (ko) 개량형 도로표지구
KR100955803B1 (ko) 조인트 체결관이 부설된 다단 조립식 가로등주
KR100759836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장치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0234845Y1 (ko) 조립식의 원형 지붕구조물
KR100587801B1 (ko) 중(重)하중 슬림형 전주
KR200182192Y1 (ko) 조립식 가로등지주
KR19980024942U (ko) 가로등지주 연결구조
KR200375003Y1 (ko) 깃발꽂이
KR2019011578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펜스
KR20100117699A (ko) 가로등주 연결장치
KR200432962Y1 (ko) 조명기구용 지주
KR20110004041A (ko) 목재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KR200470917Y1 (ko) 파형 구조를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 구조
KR100969410B1 (ko) 가로등 시설물
KR100779234B1 (ko) 조립식 열주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