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698Y1 -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698Y1
KR200478698Y1 KR2020140005395U KR20140005395U KR200478698Y1 KR 200478698 Y1 KR200478698 Y1 KR 200478698Y1 KR 2020140005395 U KR2020140005395 U KR 2020140005395U KR 20140005395 U KR20140005395 U KR 20140005395U KR 200478698 Y1 KR200478698 Y1 KR 200478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oth
slit
hooking
fram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선
Original Assignee
이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선 filed Critical 이강선
Priority to KR2020140005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2Exhibition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쪽에 설치된 걸이구를 상기 지주봉과 받침부재의 걸이구 수용부 속으로 삽입하여 걸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부스 조립이 가능한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Frame set of booth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쪽에 설치된 걸이구를 상기 지주봉과 받침부재의 걸이구 수용부 속으로 삽입하여 걸어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부스 프레임의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작업공정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부스 조립이 가능한 프레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Booth)는 기업이나 단체 등이 자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시 또는 홍보하기 위하여 일정 공간을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임시 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부스는 대체로 골격을 구성하는 프레임(frame)에다 공간을 구획하는 패널(panel)을 조립하여 설치되는데, 일정 기간 사용한 이후에는 철거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과 패널은 조립과 이동, 그리고 보관이 용이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의 조립형 부스가 소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136720호(2012.04.06.)에는 첨부 도 1와 같은 기초프레임(10)과, 도 2와 같은 연결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시용 가설 구조물이 소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프레임(10)은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리브(11)가 설치되고, 이들 리브(11) 사이에 끼움홈부(12)가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는 중심 부위에 상하 한쌍의 연결홀(13)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좌우 양단에는 상기 끼움홈부(12)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고정대(21)와, 상기 연결고정대(21)를 이동시켜 주는 회동캠(22), 그리고 상기 연결고정대(21)를 수용하는 하우징(23)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을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기초프레임(10)을 적당한 간격으로 세워놓고, 상기 연결고정대(21)의 전방으로 돌출된 걸림고리(21a,21b)를 양쪽 기초프레임(10)의 끼움홈부(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캠(22)을 조여준다. 이렇게 하면, 상기 연결고정대(2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고리(21a,21b)가 양쪽으로 벌어져서 상기 끼움홈부(12)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기초프레임(10)의 일측 단부에는 이들 기초프레임(1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이음부재로서, 상기 연결홀(13)에는 이음핀(50)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상기 리브(11) 사이에는 회전방지편(60)이 착설되어 있다. 첨부 도 1 및 도 2에서, 기타 미설명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등록특허 제10-1136720호(2012.04.06.) 등록실용신안 제20-458697호(2012.02.09.) 공개실용신안 제20-2000-10150호(2000.06.15.)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시용 가설 구조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먼저 기초프레임(10)을 적당한 간격으로 세워놓고, 이들 기초프레임(10) 사이에 연결프레임(20)을 설치해야 하는데, 한명의 작업자가 상기 회동캠(22)을 조이는 작업을 할 때는 적어도 한명의 다른 작업자가 상기 기초프레임(10)이 쓰러지지 않도록 붙잡고 서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복수의 작업자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20)의 양단에 설치된 연결고정대(21)와 회동캠(22) 및 하우징(23)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정밀해서 제조 원가가 높고, 잦은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설치가 가능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편해서 제조원가가 낮을 뿐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한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는, 세로 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주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높이 조절기능을 갖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봉은,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서,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주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리브와, 상기 리브 사이의 외주면에 칸막이용 패널(P)의 세로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걸이구 수용부와, 상기 중앙홀의 하단에서 돌출된 연결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로지지대는, 소정의 폭(W)과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서, 양쪽 장변에는 상기 패널(P)의 가로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단변에는 상기 걸이구 수용부에 걸림 결합되는 걸이구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지주봉과 동일한 형상의 중앙홀과 리브, 슬릿 및 걸이구 수용부를 갖되 길이(L)가 상기 가로지지대의 폭(W)에 대응하고, 상기 중앙홀 상단에는 상기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중앙홀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용 고무받침볼트가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세트는, 먼저 미리 설계된 부스 평면도에 따라 바닥면에 가로지지대와 받침부재를 배치하고, 각 받침부재 위에 지주봉을 설치한 다음, 각 지주봉의 슬릿과 각 가로지지대의 슬릿 사이에 칸막이용 패널(P)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P)의 상변에 또 다른 가로지지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부스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프레임 세트는, 상기 지주봉과 가로지지대 및 받침부재를 설치할 때, 상기 가로지지대의 양쪽에 구비된 걸이구를 상기 지주봉과 받침부재의 걸이구 수용부 속으로 삽입하여 걸어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간결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특히 작업공정이 용이하여 한명의 작업자 만으로도 부스 조립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립형 부스에 사용되는 기초프레임(10)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립형 부스에 사용되는 연결프레임(20)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세트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프레임 세트의 조립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임 세트를 사용한 조립형 부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공지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하는 도 3 및 도 6에서는 종래 기술을 예시한 도 1 및 도 2과 상관없이,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새로운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는, 도 3과 같이 지주봉(10)과 가로지지대(20) 및 받침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주봉(10)과 가로지지대(20) 및 받침부재(30)에는 통상적인 칸막이용 패널(P)이 설치된다.
먼저 상기 지주봉(10)은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서,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중앙홀(11)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중앙홀(11)의 주변에서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리브(12)가 확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봉(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리브(12)들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슬릿(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13)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걸이구 수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13)에는 칸막이용 패널(P)의 세로변이 삽입되고, 상기 걸이구 수용부(14)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가로지지대(20)의 걸이구(22)가 걸림 결합된다. 상기 중앙홀(11)의 하단에는 연결핀(15)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연결핀(15)은 하반부가 중앙홀(11)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첨부 도 3에서는 상기 리브(12)와 슬릿(13)이 각각 8개인 8각형 지주봉(10)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리브(12)와 슬릿(13)이 각각 4개인 4각형 지주봉(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8각형 지주봉(10)은 해당 지주봉(10)을 중심으로 하여 8방향으로 칸막이용 패널(P)을 설치할 수 있고, 4각형 지주봉의 경우에는 4방향으로 패널(P)을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로지지대(20)은 소정의 폭(W)과 두께를 갖는 길쭉한 판재 형상으로서, 양쪽 장변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슬릿(21)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단변에는 상기 걸이구 수용부(14)에 걸림 결합되는 걸이구(22)가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슬릿(21)에는 칸막이용 패널(P)의 세로변이 삽입되고, 상기 걸이구(22)는 상기 지주봉(10)의 걸이구 수용부(14)에 걸림 결합된다.
첨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이구(22)는 하향 절곡되어 있고, 그 반대쪽 단부는 가로지지대(20)의 몸통 속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통과 일체로 용접되거나 리벳에 의해서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구 수용부(14)는 상기 걸이구(22)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슬릿(13)을 양쪽으로 확장 절개한 것으로, 하단변에는 상기 걸이구(22)가 걸터앉는 걸림턱(14a)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걸이구(22)를 걸이구 수용부(14) 속으로 밀어 넣고 가로지지대(20)를 밑으로 약간 내려주면, 상기 걸이구(22)가 상기 걸이구 수용부(14)의 걸림턱(14a)에 걸려서 지주봉(10)과 가로지지대(20)가 하나로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받침부재(30)는 단면의 형상이 상기 지주봉(10)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지주봉(10)의 대응 구성요소와 동일한 중앙홀(31)과 리브(32), 슬릿(33) 및 걸이구 수용부(34)를 갖는다. 다만, 상기 받침부재(30)의 길이(L)는 상기 가로지지대(20)의 폭(W)에 대응하며, 상기 길이(L)가 상기 폭(W) 보다 약간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지주봉(10)을 상기 가로지지대(20)의 폭(W)에 대응하도록 적절한 길이(L)로 절단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30)의 중앙홀(31) 상단에는 상기 지주봉(10)의 연결핀(15)이 삽입되고, 상기 중앙홀(31)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용 고무받침볼트(35)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무받침볼트(35)의 형상과 구조는 통상적인 높이조절용 고무받침볼트와 동일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앙홀(31) 밖으로 확장되고,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중앙홀(31) 속으로 수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세트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미리 설계된 부스의 평면도에 따라 가로지지대(20)와 받침부재(30)를 배치한다. 상기 가로지지대(20)와 받침부재(30)의 설치방법은 각 받침부재(30)의 걸이구 수용부(34)에다 각 가로지지대(20)의 양쪽 걸이구(22)를 걸어주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고무받침볼트(35)를 회전시켜서 수평을 조절한다.
이어 도 5과 같이 각 받침부재(30) 위에 지주봉(10)을 설치한다. 상기 지주봉(10)의 설치방법은 각 받침부재(30)의 중앙홀(31) 상단에 각 지주봉(10) 하단의 연결핀(15)을 삽입하여 지주봉(10)을 세워준다. 이때, 부스의 높이를 상기 지주봉(10)의 단위 길이보다 높게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핀(15)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지주봉(10)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6과 같이, 각 지주봉(10)의 슬릿(13)과 각 가로지지대(20)의 슬릿(21) 사이에 간막이용 패널(P;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패널(P)의 상변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각 지주봉(10)의 걸이구 수용부(14)에다 또 다른 가로지지대(20)를 설치한다. 상기 지주봉(10)과 가로지지대(20)의 설치방법은 상기 가로지지대(20)와 받침부재(30)의 설치방법과 동일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패널(P)의 좌우 양변은 양쪽 지주봉(10)의 슬릿(13) 속으로 삽입되고, 상기 패널(P)의 상변과 하변은 가로지지대(20)의 슬릿(21) 속으로 삽입되어 결과적으로 지주봉(10)과 가로지지대(20), 받침부재(30) 및 패널(P)이 일체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로지지대(20)에다 적소에 회사명이나 제품명, 기타 홍보용 문구 등을 편리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지지대(20)가 2개나 3개 또는 6개가 일렬로 배치되고, 이들 가로지지대(20) 사이에는 각각 상기 받침부재(30)가 배치되어 상기 가로지지대(20)와 받침부재(30)가 일체로 용접되어 있는 일체형 가로지지대(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세트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한명의 작업자가 다양한 구조의 부스를 조립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프레임 세트를 사용한 조립형 부스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양면이 개방되어 있고, 그 상단에는 각각 간판이 설치되어 있다.
10; 지주봉 11,31; 중앙홀
12,32; 리브(rib) 13,21,33; 슬릿(slit)
14,34; 걸이구 수용부 14a,34a; 수용부의 걸림턱
15; 연결핀 20; 가로지지대
22; 걸이구 30; 받침부재
35; 고무받침볼트 P; 칸막이용 패널(panel)
W; 가로지지대(20)의 폭 L; 받침부재(30)의 길이

Claims (4)

  1. 원형 또는 다각형 막대 형상으로서, 중심축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앙홀(11)과, 상기 중앙홀(11)의 주변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리브(12)와, 상기 리브(12) 사이의 외주면에 칸막이용 패널(P)의 세로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3)과, 상기 슬릿(13)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걸이구 수용부(14)와, 상기 중앙홀(11)의 하단에서 돌출된 연결핀(15)을 갖는 지주봉(10)과;
    소정의 폭(W)과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서, 양쪽 장변에는 상기 패널(P)의 가로변을 삽입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릿(21)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단변에는 상기 걸이구 수용부(14)에 걸림 결합되는 걸이구(22)가 돌출되어 있는 가로지지대(20)와;
    상기 지주봉(10)과 동일한 형상의 중앙홀(31)과 리브(32), 슬릿(33) 및 걸이구 수용부(34)를 갖되 길이(L)가 상기 가로지지대(20)의 폭(W)에 대응하고, 상기 중앙홀(31) 상단에는 상기 연결핀(15)이 삽입되며, 상기 중앙홀(31)의 하단에는 높이조절용 고무받침볼트(35)가 나사 결합되어 있는 받침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2)는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기 걸이구 수용부(14)에는 상기 걸이구(22)가 걸터앉는 걸림턱(14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10)과 받침부재(30)의 리브(12,32)와 슬릿(13,33)은 각각 4개 또는 8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30)는 상기 지주봉(10)을 상기 가로지지대(20)의 폭(W)에 대응하는 길이(L)로 절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KR2020140005395U 2014-07-18 2014-07-18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KR200478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95U KR200478698Y1 (ko) 2014-07-18 2014-07-18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95U KR200478698Y1 (ko) 2014-07-18 2014-07-18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8698Y1 true KR200478698Y1 (ko) 2015-11-05

Family

ID=5470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95U KR200478698Y1 (ko) 2014-07-18 2014-07-18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6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059A (ko) * 2016-05-25 2017-12-05 이현호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745A (ja) 1997-01-24 2003-05-27 Itoki Co Ltd オフィス構成用設備
JP2005139805A (ja)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KR101136720B1 (ko) 2009-11-27 2012-04-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3745A (ja) 1997-01-24 2003-05-27 Itoki Co Ltd オフィス構成用設備
JP2005139805A (ja) 2003-11-07 2005-06-02 Okamura Corp 共有空間構造体におけるパネル体取付構造
KR101136720B1 (ko) 2009-11-27 2012-04-20 김인태 전시용 가설구조물 메인프레임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059A (ko) * 2016-05-25 2017-12-05 이현호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KR101892252B1 (ko) * 2016-05-25 2018-08-27 이현호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635B1 (ko) 조립 선반
JP2618447B2 (ja) 三角形支持柱を有する棚支持装置
JP3717527B2 (ja) 早替え棚特性を備えたモジュラ棚システム
KR101391455B1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RU2022102615A (ru) Система модульной мебели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EP0538046A1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101580274B1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20170000760U (ko) 무볼트 조립식 진열대
US20160108617A1 (en) Purlin construction and mounting system for flat roof structures
KR20180131781A (ko) 앵글선반프레임
KR200473409Y1 (ko) 조립식 진열대
KR200478698Y1 (ko)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KR200473792Y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
JP3737507B1 (ja) 組立て構造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KR101624544B1 (ko) 화환 지지대 제조장치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101491090B1 (ko) 지주 고정용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체결구조
KR102015877B1 (ko) 조립 선반
JP2015232264A (ja) フェンス
JP2017056071A (ja) ハンガーラック
JP3240796U (ja) 棚部材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KR102336575B1 (ko) 조립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