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252B1 -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 Google Patents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252B1
KR101892252B1 KR1020160064017A KR20160064017A KR101892252B1 KR 101892252 B1 KR101892252 B1 KR 101892252B1 KR 1020160064017 A KR1020160064017 A KR 1020160064017A KR 20160064017 A KR20160064017 A KR 20160064017A KR 101892252 B1 KR101892252 B1 KR 101892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pair
support member
hin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59A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호 filed Critical 이현호
Priority to KR102016006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252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창고조립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조립하여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분(62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분(620)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분(630)과; 상기 연장부분(630)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는,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Support element and storehouse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조립하여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창고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시공사들은, 공동주택의 여분의 공간에 공동주택에 세대별로 여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세대별 창고는, 공동주택의 지하공간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설치작업의 대부분이 실내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세대별 창고의 경우, 실내에서 설치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설치하는 데 시간과 인력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조립하여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고조립체의 천정부에 좌수문용 힌지핀 관통공과 우수문용 힌지핀 관통공을 모두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설계변경 없이 창고조립체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우수문에서 좌수문으로 또는 좌수문에서 우수문으로 전환할 수 있는 창고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조립체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각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추가적으로 양측이 연장된 연장부분과 연장부분을 절곡한 절곡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도 함께 지지하여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창고조립체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조립체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추가적으로 양측이 연장된 연장부분을 형성하고 연장부분에 힌지핀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도 함께 지지하여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면서 동시에 도어부의 힌지핀이 결합되어 도어부의 힌지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창고조립체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분(62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분(620)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분(630)과; 상기 연장부분(630)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를 개시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분(630a)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장부분(630a)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분(630b)과; 상기 제1연장부분(630a)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제2연장부분(630b)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c, 640d)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를 개시한다.
상기 지지부분(610)은, 상기 파이프(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10)의 저면과 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610)는, 중심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분(620)는, 상기 지지부분(610)에서 상기 절곡부분(620)으로 가면서 너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전단, 펀칭 및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는 복수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조립하여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는 창고조립체의 천정부에 좌수문용 힌지핀 관통공과 우수문용 힌지핀 관통공을 모두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설계변경 없이 창고조립체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우수문에서 좌수문으로 또는 좌수문에서 우수문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는, 창고조립체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각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추가적으로 양측이 연장된 연장부분과 연장부분을 절곡한 절곡부분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도 함께 지지하여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는, 창고조립체의 직사각형 프레임을 구성하는 사각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추가적으로 양측이 연장된 연장부분을 형성하고 연장부분에 힌지핀결합공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가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도 함께 지지하여 이웃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설치를 용이하면서 동시에 도어부의 힌지핀이 결합되어 도어부의 힌지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창고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있는 창고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에 있는 창고조립체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 내지 도 1c에 있는 창고조립체의 배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도 1a 내지 도 1c에 있는 창고조립체의 도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 내지 도 1c에 있는 창고조립체를 구성하는 사각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와 천청부의 힌지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와 천청부의 힌지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7a의 도어부와 측면부의 힌지결합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a 내지 도 1c의 창고조립체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 내지 도 9c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지지부재의 창고조립체 측면부 지지 방식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지지부재의 창고조립체 측면부 지지 방식 중 하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 방향 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3의 지지부재의 창고조립체 측면부 지지 방식 중 다른 하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c의 - 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a는, 도 15의 지지부재의 창고조립체 측면부 지지 방식 중 하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5의 지지부재의 창고조립체 측면부 지지 방식 중 다른 하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C-C'방향 단면도이다.
도 17a은, 도 1b의 창고조립체 복수개를 연결한 창고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c의 창고조립체 복수개를 연결한 창고조립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창고조립체는, 도 1a 내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로서, 상호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부(10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되는 배면부(200)와;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및 상기 배면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천정부(300)와; 상기 배면부(200)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양단에 한 쌍의 힌지부재(500)가 구비된 도어부(410)를 포함하는 전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창고조립체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00), 배면부(200), 천정부(300) 및 전면부(400)는, 각각 직육면체 공간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호 조립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창고조립체를 구성하는 측면부(100), 배면부(200), 천정부(300) 및 전면부(400)는,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파이프(10)와;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는, 상호 결합 가능하고, 창고조립체의 구조적 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한 재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는,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직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단면이 정사각형 형상(가로 및 세로길이 a)이며 각각 단면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는, 직육면체 조립체의 부피에 따라 다양한 길이(L)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는,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며 기 설정된 이격거리(D) 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연결파이프(20)는,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의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파이프(10)의 이격 거리(D)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때, 상기 한 쌍의 연결파이프(20)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 각각 이격거리(L-2a)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의 양 끝단 개구부는 외부에 노출되나, 상기 한 쌍의 연결파이프(20) 의 양 끝단 개구부는,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의 측면에 의해 각각 복개될 수 있다.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은, 내측에 창고조립체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기 위한 플레이트 또는 매쉬망(50)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매쉬망(50)은,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가장가리가 용접되거나 또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가장자리가 끼움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매쉬망(50)이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상기 직사각형 프레임은, 내측에 매쉬망(50)의 가장자리 돌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는 끼움부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부분(미도시)은,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 및 한 쌍의 연결프레임(20)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분(미도시)는, 상기 한 쌍의 파이프(10)와 연결파이프(20)이 금속재질로 형성된 경우, 직사각형 프레임의 내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 및 한 쌍의 연결프레임(20)의 일 측면을 펀칭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쉬망(50)은, 설치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직사각면의 면적(D*(L-2a))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는, 직육면체 조립체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호 대향하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는, 직사각형 프레임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직사각면이 상호 평행하게 대향 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00)는,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10)이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프레임(2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창고조립체는,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의 양 끝단 개구부가 전면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0)의 하부 개구부가 후술하는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100)는,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의 하부 개구부 각각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후술하는 지지부재(6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부(200)는, 직육면체 조립체의 배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부(200)는, 후술하는 천정부(300)가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길이가 한 쌍의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창고조립체는, 후술하는 천정부(3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면부(200)는, 한 쌍의 프레임(10)이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프레임(2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창고조립체는, 배면부(20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0)의 하부 개구부가 후술하는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배면부(200)는, 측면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면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면부(200)는,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배면부(200)는, 볼트결합을 통해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및 상기 배면부(200)는, 배면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배면부(2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에 볼트(41)가 관통되는 관통구(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및 상기 배면부(200)는, 관통구(30)에 삽입된 볼트(41)가 너트(42)로 조여짐으로써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정부(300)는, 직육면체 조립체의 천정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 및 배면부(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천정부(300)는, 배면부(200)의 수직방향 길이가 한 쌍의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게(바람직하게는 파이프(20) 단면의 가로 또는 세로길이만큼 짧게) 형성되는 경우, 배면부(200)의 상부를 구성하는 파이프(20)에 상기 천정부(30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일측 파이프(10, 20)가 지지된 상태로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정부(300)는, 측면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측면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0)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평방향 파이프(20)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 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천정부(300)는,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천정부(300)는, 볼트결합을 통해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및 상기 천정부(300)는, 천정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0)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평방향 연결파이프(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천정부(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0)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평방향 연결파이프(20)에 볼트(41)가 관통되는 관통구(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및 상기 천정(300)는, 관통구(30)에 삽입된 볼트(41)가 너트(42)로 조여짐으로써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0)는, 상기 배면부(200)와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일측 양단에 한 쌍의 힌지부재(500)가 구비된 도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400)는, 직육면체 조립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00)는, 천정부(300)가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직방향 길이가 한 쌍의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부(400)는, 수직방향 길이가 배면부(200)의 수직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부(200)는, 전면부(4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의 양 끝단 개구부가 전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 쌍의 프레임(10)이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연결프레임(20)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창고조립체는, 전면부(40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프레임(10)의 하부 개구부가 후술하는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전면부(400)는, 이웃하는 측면부(10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면부(4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 중 적어도 하나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의 측면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전면부(4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0) 중 상부의 연결파이프(20)가 천정부(300)의 수평방향 파이프(10)의 저면과 접하도록 배치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부(410)는, 창고조립체의 전면에서 개폐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일측 양단에 한 쌍의 힌지부재(500)가 구비되어 힌지회전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도어부(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410)를 구성하는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10) 중 하나의 양 끝단 개구부에 한 쌍의 힌지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상기 도어부(410)가 수직방향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부(410)를 구성하는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창고조립체 외부에서 사용자가 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부(410) 개폐시 회전반경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부(410)를 구성하는 수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파이프(10) 중 하나의 양 끝단 개구부의 중앙에서 편향된 전면방향 끝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중 하나 및 상기 천정부(300)와 각각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상기 사각파이프(10)의 양 끝단에 고정되는 본체부(512, 522)와; 상기 본체부(512, 522)와 결합되며 상기 사각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각파이프(10) 밖으로 돌출된 힌지핀(514, 52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각각 상기 도어부(4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하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1 및 제2힌지핀(514, 524)를 포함하는 제1힌지부재(500a) 및 제2힌지부재(50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512, 524)는, 상기 사각파이프(10)의 내측벽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512, 522)는, 도어부(400)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상기 힌지핀(514, 524)이 상기 사각파이프(10)의 수평단면의 중심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사각파이프(10)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편향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힌지핀(514, 524)은, 상기 본체부(512, 524)의 중심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는, 각각 상기 도어부(4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하로 연장되어 돌출된 제1 및 제2힌지핀(514, 524)를 포함하는 제1힌지부재(500a) 및 제2힌지부재(50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핀(514) 및 제2힌지핀(524)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지 않은 채 외력에 의해 이동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힌지부재(500a)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410)의 파이프(10) 내부에 고정되게 구비된 본체(512), 본체(512)와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10)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힌지핀(514) 및 상기 힌지핀(514)과 결합되어 상기 힌지핀(514)에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힌지핀(514)을 왕복이동시키는 탄성부재(5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16)는, 도어부(410)의 창고조립체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부(410)가 힌지결합되거나 창고조립체에서 분리될 때 상기 힌지핀(514)이 상하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탄성부재(516)는, 본체부(512)내부에 구비되고 힌지핀(514)와 결합된 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정부(300)는, 상기 도어부(410)의 상부와 대응되는 일측의 양단에 상하로 관통된 2개의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관통공(310) 중 하나는, 상기 한 쌍의 힌지부재(500)의 힌지핀(514, 524) 중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먼저, 도 7a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410)가 우수문으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천정부(300)는, 한 쌍의 힌지핀(514, 524) 중 제1 힌지핀(51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1힌지핀(514)과 결합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천청부(300)에 형성되는 관통공(310)은, 상기 천정부(300)의 전면에 배치된 파이프(10)의 우측에서 제1힌지핀(5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힌지핀(52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와 결합되어 수직방향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에 형성된 힌지핀결합공(6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제2힌지핀(524)가 삽입되면서 동시에 도어부(410)의 제2힌지핀(524)이 구비된 수직방향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핀(52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기 위하여 중심에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410)가 좌수문으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천정부(300)는, 한 쌍의 힌지핀(514, 524) 중 제2 힌지핀(524)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힌지핀(524)과 결합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청부(300)에 형성되는 관통공(310)은, 상기 천정부(300)의 전면에 배치된 파이프(10)의 좌측에서 제2힌지핀(5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힌지핀(514)은, 이웃하는 측면부(100)의 수직방향 파이프(10)와 결합되어 수직방향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에 형성된 힌지핀결합공(6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도 9b에 도시된 위치가 아닌, 도 9c에 도시된 위치에 형성되어야 제1힌지핀(514)이 삽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천청부(300)에 형성되는 관통공(310)을 제1힌지핀(514) 및 제2힌지핀(524)와 각각 대응 될 수 있도록 전면에 배치된 파이프(10)의 양 측에 형성함으로써, 도어부(410)의 힌지부재(500)에 대한 추가적인 설계변경 없이 우수문을 좌수문으로 또는 좌수문을 우수문으로 전환하여 창고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400)는,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중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와 상기 도어부(410) 사이에 설치되는 전면커버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4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의 이격거리(D)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도어부(41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전면부분을 커버하기 위하여 한 쌍의 측면부(100) 중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와 상기 도어부(410)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전면커버부(420)는,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와 상기 도어부(4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커버부(420)는, 볼트결합 또는 전면커버부(420)와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800) 또는 제2연결부재(900)을 통해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800, 900)는, 강성을 가지며, 각각 전면커버부(420)와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2연결부재(900)는, 전면커버부(420) 및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의 내측에 결합된 매쉬망(50)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전면커버부(420)와 상기 도어부(410)와 힌지결합되지 않은 하나의 측면부(10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창고조립체에 수용되는 물품(예를들어, 우산)을 거는 방식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창고조립체는, 복수개의 창고조립체가 일 방향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물품 보관 공간을 제공하는 창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창고시스템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의 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하나의 측면부(100)를 이웃하는 2개의 창고조립체가 공유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고조립체는, 창고조립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600)와 지지부재(600)와 결합되어 창고조립체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도 1a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4개의 수직방향 파이프(10)의 하부 개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0)는, 판금재질을 가지며, 판금에 대한 전단, 펀칭 및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9a 및 도 10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를 설명한다. 도 9a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평면도이고, 도 10a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600)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610)은,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지지부분(610)은, 상기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파이프(10)(창고조립체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10))의 하부 개구부 각각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판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분(610)은, 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창고조립체의 전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사각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분(610)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과 용접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분(610)은, 파이프(10)의 저면과 접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분(610)의 중심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650)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구로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암나사부(65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구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조절발(700)은, 상기 암나사부(650)와 나사결합되는 숫나사부(710)와; 숫나사부(710)를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발(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숫나사부(710)은, 원기둥형상으로 원기둘의 측면에 상기 암나사부(650)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숫나사부(710)는, 숫나사부(710)를 수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발(7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숫나사부(710)는, 지면에 닿는 최하부가 형성하는 지면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발(720)은, 숫나사부(710)의 측면 둘레에 고정되어 숫나사부(710)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지지부분(610)을 통해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10)만을 지지할 수 있어,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될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인력으로 임시고정한 상태에서 볼트결합 또는 힌지결합할 수 밖에 없고, 그에따라 설치시간과 설치인력이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측면부(100) 및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도어부(410)을 힌지결합 하는 경우, 도어부(410)에 구비된 힌지핀(514, 524)가 결합될 수 있는 힌지핀결합공(640)이 형성되지 않아, 측면부(100) 및 그와 이웃하는 도어부(410)을 힌지결합할 때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9b 내지 도 9c 및 도10b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를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b 내지 도 9c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평면도이고, 도 10b 내지 도 10c는,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600)은,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분(630)과; 상기 연장부분(630)에 형성된 힌지핀결합공(640)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분(630)은,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상기 연장부분(630)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410)에 구비된 힌지핀(500)이 삽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 힌지핀(50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상기 도어부(410)의 힌지핀(5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위하여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힌지핀결합공(640)은, 도 9b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부(410)가 우수문 또는 좌수문으로 기능하기 위하여 연장부분(630)의 중심에서 벗어난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지지부분(610) 이외에 추가로 연장된 연장부분(630)을 통해 측면부(100)를 구성하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파이프(10)뿐만 아니라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400)를 구성하는 파이프(10) 지지함으로써,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될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연장부분(630)의 상면에 지지시킨 상태로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400)를 측면부(100)와 볼트결합시키거나 힌지결합 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설치시간과 필요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상기 연장부분(630)에 도어부(410)에 구비된 힌지핀(514, 424)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핀결합공(640)이 형성됨으로써, 측면부(100) 및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도어부(410)를 힌지결합 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도 9b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분(630)이 지지부분(610)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측면부(100)에 이웃하는 2개의 배면부(200) 또는 2개의 전면부(400)를 동시에 지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도 9b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분(630)에 하나의 힌지핀결합공(640)만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410)가 우수문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도 9b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활용해야 하고 상기 도어부(410)가 좌수문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도 9c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활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2개의 배면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된 측면부(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600)는,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이웃하는 파이프(10)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620a)를 포함하는 절곡부분(620);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분(620)은, 연장부분(630)을 상방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분(620)은, 이웃하는 파이프(10)의 하부 개구부를 지지 하는 경우 이웃하는 파이프(10)의 하부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됨으로 써,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한 쌍의 측면부(100) 사이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될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300)를 절곡부분(620)에 삽입시킨 상태로 측면부(100)와 이웃하는 배면부(200) 또는 전면부(400)를 측면부(100)와 볼트결합시키거나 힌지결합 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설치시간과 필요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절곡부분(620)는, 상기 제1절곡부(620a)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제2절곡부(6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분(620)은, 측면부(100)의 이웃하는 배면부(200) 및 전면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번에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분(61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곡부분(620)은, 상기 지지부분(610)에서 상기 절곡부분(620)으로 가면서 너비가 감소될 수 있다.
이하, 도 13 및 도 14a 내지 1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어부(410)와 전면커버부(420) 사이에 설치되며,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된 측면부(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600)는,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분(62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분(620)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분(630)과; 상기 연장부분(630)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연장부분(630)이 지지부분(610)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측면부(100)에 이웃하는 2개의 배면부(200) 또는 2개의 전면부(400)를 동시에 지지하지 못하는 제2실시예와 달리, 일측에는 절곡부분(620)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장부분(630)이 형성됨으로써, 측면부(100)의 이웃하는 배면부(200) 및 전면부(4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연장부분(630)에 하나의 힌지핀결합공(640)만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410)가 우수문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도 9b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활용해야 하고 상기 도어부(410)가 좌수문으로 설치되는 경우는 도 9c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활용해야 하는 제2실시예와 달리, 연장부분(630)에 힌지핀결합공(640a, 640b)이 너비방향으로 2개 형성되어 우수문으로 사용하는 경우나 좌수문으로 사용하는 경우 모두 한가지의 형상의 지지부재(600)를 활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a 내지 1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을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은,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사시도이고, 도 16a 내지 도16b는, 도어부(410)와 전면커버부(420) 사이에 설치되며, 제5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에 의해 지지된 측면부(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600)는,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분(630a)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장부분(630a)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분(630b)과; 상기 제1연장부분(630a)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제2연장부분(630b)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c, 640d)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는, 지지부재(600)의 양 측에 한 쌍의 연장부분(630a, 630b)이 형성되고, 한 쌍의 연장부분(630) 각각 너비방향으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 640c, 640d)이 형성됨으로써,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와 달리,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600)의 형태 하나 만으로 다른 형태의 지지부재(600) 없이 상기 창고조립체의 측면부(100), 배면부(200) 및 전면부(400)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측면부 200: 배면부
300: 천정부 400: 전면부
600: 지지부재

Claims (6)

  1.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며, 중심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개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상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분(62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절곡부분(620)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분(630)과;
    상기 연장부분(630)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는,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며,
    상기 절곡부분(620)은,
    상기 파이프(10)의 끝단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2. 복수의 파이프(10)들로 구성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조립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창고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부재(600)로서,
    단면이 사각형이며 수직으로 설치되는 파이프(10)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분(610)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분(610)의 일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1연장부분(630a)과;
    상기 파이프(10)와 평행하게 배치된 다른 하나의 이웃하는 파이프(1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연장부분(630a)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분(610)의 타측이 연장되어 형성된 제2연장부분(630b)과;
    상기 제1연장부분(630a)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a, 640b)과;
    상기 제2연장부분(630b)에 너비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힌지핀결합공(640c, 640d)과;
    상기 지지부분(610)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650)을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부(650)은, 상기 파이프(10)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수평조절발(700)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분(610)은,
    상기 파이프(1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며,
    상기 파이프(10)의 저면과 용접을 통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분(610)는,
    중심부가 상기 파이프(10)의 저면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분(620)는,
    상기 지지부분(610)에서 상기 절곡부분(620)으로 가면서 너비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00)는,
    전단, 펀칭 및 굽힘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재(600).
KR1020160064017A 2016-05-25 2016-05-25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KR101892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17A KR101892252B1 (ko) 2016-05-25 2016-05-25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17A KR101892252B1 (ko) 2016-05-25 2016-05-25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9A KR20170133059A (ko) 2017-12-05
KR101892252B1 true KR101892252B1 (ko) 2018-08-27

Family

ID=6092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17A KR101892252B1 (ko) 2016-05-25 2016-05-25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2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9Y1 (ko) * 2010-05-19 2013-01-16 윤장노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설치프레임
KR200478698Y1 (ko) * 2014-07-18 2015-11-05 이강선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566Y2 (ja) * 1992-04-23 1998-04-02 松下電工株式会社 壁パネルの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69Y1 (ko) * 2010-05-19 2013-01-16 윤장노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설치프레임
KR200478698Y1 (ko) * 2014-07-18 2015-11-05 이강선 조립형 부스의 프레임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9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032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US20100242397A1 (en) Assembly for securing two juxtaposed panels to a structure
US5305571A (en) Structural frame assembly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EA010224B1 (ru) Стеновой или дверной элемент
KR101923033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KR200451966Y1 (ko) 클린룸 패널의 조립구조
EP0872930A2 (en) Frame with supporting and connection device for profiled elements and panels of cabinets
KR101892252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JP2023155491A (ja) コーナ部材
KR102285294B1 (ko) 조립식 휀스
US20060225378A1 (en) Connection block with bar-adapting trenches for adapting and holding framing bars at fixed orientations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KR20170133054A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KR101722127B1 (ko) 힌지모듈, 그가 설치된 도어, 및 그가 설치된 구조물
EP0399595B1 (en) Sectional container for electrical boards assembled with joints
CA3023120A1 (en) Box head connector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20070021088A (ko) 판유리 양면 적재용 조립식 박스
JPH03158539A (ja) 外壁パネル
KR101232183B1 (ko) 지지가대용 찬넬조립구조
KR102663918B1 (ko) 프로파일용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KR101632927B1 (ko) 판넬 조립식 구조물 구축용 연결부재
CN215290941U (zh) 天花板接头结构及其天花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