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94Y1 -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94Y1
KR200495994Y1 KR2020220000410U KR20220000410U KR200495994Y1 KR 200495994 Y1 KR200495994 Y1 KR 200495994Y1 KR 2020220000410 U KR2020220000410 U KR 2020220000410U KR 20220000410 U KR20220000410 U KR 20220000410U KR 200495994 Y1 KR200495994 Y1 KR 200495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ixing
frame
backboard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4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정
Original Assignee
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현정 filed Critical 변현정
Priority to KR20202200004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94Y1/ko
Priority to JP2023019227A priority patent/JP202311740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된 채,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팔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팔대를 구비하는 팔대부, 상기 제1 프레임에 내장된 채, 상기 제1 팔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팔대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1 중량추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내장된 채, 상기 제2 팔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팔대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중량추를 구비하는 중량부, 상기 연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등판지지부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풀업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 팔대는,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Multi-use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cables}
본 고안은 다목적 케이블 전신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 케이블을 당기고 올려지는 동작의 반복을 통해 전신의 근육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들이 헬스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운동자세와 관련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관련지식을 배우기가 매우 용이 해졌다.
그러나, 운동기구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헬스장에서 요금을 내고 기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특정 시간대나 공휴일에 사람이 많을 경우 내가 원하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기다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여러 사람이 많은 종류의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94117호
본 발명은,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조절도 가능하여 다양한 각도로 많은 운동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제공하여, 여러 포지션에서 운동수행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쪽 케이블 운동 뿐 아니라 양쪽 케이블에 이지바를 체결함으로써, 양팔운동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슴운동시에 등판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가슴운동이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턱걸이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풀업 운동이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악세서리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정리정돈이 용이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는, 바닥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이격된 채,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팔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팔대를 구비하는 팔대부, 상기 제1 프레임에 내장된 채, 상기 제1 팔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팔대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1 중량추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내장된 채, 상기 제2 팔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팔대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중량추를 구비하는 중량부, 상기 연결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등판지지부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풀업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대는, 상기 제1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 팔대는,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제1 팔대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1 좌우회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되는 제1 좌우회동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하회동부, 상기 제1 상하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그립부 및 일측은 상기 제1 그립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중량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립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중량추가 연동되도록 하는 제1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블은, 상기 제1 상하회동부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의 상기 제1 상하회동부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1 상하회동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팔대는,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2 좌우회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되는 제2 좌우회동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하회동부,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그립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그립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중량추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그립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중량추가 연동되도록 하는 제2 케이블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제2 상하회동부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립부의 상기 제2 상하회동부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제1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1-1 고정선택홀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고정부, 상기 제1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1-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좌우고정홀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본체부 및 상기 제1-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고정선택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좌우고정홀은,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1 고정선택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고정부, 상기 제2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2-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좌우고정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본체부 및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좌우고정홀은,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제1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1-1 고정선택홀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고정부, 상기 제1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1-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좌우고정홀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본체부 및 상기 제1-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좌우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좌우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1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좌우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1 고정선택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고정부, 상기 제2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2-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좌우고정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본체부 및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좌우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좌우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좌우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제1 상하회동부는,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상하회동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회동축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상하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상하고정홀이 형성된 제1 회동바 및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에 형성된 제1-2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상하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회동바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상하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하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1 회동바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하회동부는,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2 상하회동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하회동축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상하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2 상하고정홀이 형성된 제2 회동바 및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형성된 제2-2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상하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상하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하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2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등판지지부는,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등판상하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는 등판상하회동부, 상기 등판상하회동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판좌우회동부 및 상기 등판좌우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제공부를 구비하며, 상기 등판상하회동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상하회동축을 제공하고, 바닥면과 수평하게 관통된 제1 등판고정선택홀이 형성된 등판회동고정부 및 상기 등판상하회동축에 장착되어 상하 회동되고,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판회동바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회동바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변화되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1 길이조절봉과 제2 길이조절봉을 구비하는 길이변화부 및 상기 제1 길이조절봉과 상기 제2 길이조절봉 각각에 형성된 연통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길이조절봉의 상기 제2 길이조절봉 내로의 슬라이딩 여부를 결정하는 길이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등판상하회동부는,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회동바에 형성된 등판상하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회동바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등판상하회동결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등판상하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은, 상기 등판회동바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등판좌우회동부는, 상기 등판회동바의 끝단에 설치되며, 등판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관통된 등판좌우고정홀이 형성된 등판좌우고정부, 상기 등판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관통되어 상기 등판좌우고정홀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등판고정선택홀이 형성된 등판좌우본체부 및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좌우본체부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등판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좌우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은, 상기 등판좌우본체부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상기 연결프레임은,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높이 방향 중앙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측단을 커버한 채, 매개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풀업바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측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풀업편 및 상기 돌출부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풀업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풀업편 및 상기 제2 풀업편은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뿐만 아니라 좌우 조절도 가능하여 다양한 각도로 많은 운동수행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제공하여, 여러 포지션에서 운동수행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한쪽 케이블 운동 뿐 아니라 양쪽 케이블에 이지바를 체결함으로써, 양팔운동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가슴운동시에 등판패드를 제공함으로써, 안정적인 가슴운동이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턱걸이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풀업 운동이 가능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악세서리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정리정돈이 용이한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팔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등판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1)는, 본체프레임(10), 팔대부(20), 중량부(30), 등판지지부(40) 및 풀업바(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바닥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11), 상기 제1 프레임(11)과 이격된 채,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12) 및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5)에는 운동에 필요한 각종 액세서리들을 거치할 수 있는 액세서리 거치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대부(20)는, 상기 제1 프레임(11)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팔대(2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중량부(30)는, 상기 제1 프레임(11)에 내장된 채, 상기 제1 팔대(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팔대(21)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1 중량추(3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에 내장된 채, 상기 제2 팔대(22)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팔대(22)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중량추(32)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등판지지부(40)에 등(또는 배)을 기댄 채로 한쪽 손으로는 상기 제1 팔대(21)의 제1 케이블(217)을, 다른 쪽 손으로는 상기 제2 팔대(22)의 제2 케이블(227)을 그립하여, 제1 케이블(217)과 제2 케이블(227)을 당기는 동작을 구현하여 가슴 운동을 할 수 있다(도 2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케이블(217)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중량추(31)가 매달아져 있으며, 상기 제2 케이블(227)의 끝단에는 상기 제2 중량추(32)가 매달아져 있어, 사용자는 케이블에 매달린 중량추의 무게에 따라 운동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팔대(21) 또는 제2 팔대(22) 중 어느 하나의 팔대를 이용하여 한쪽 팔만을 운동하거나 하나의 팔대를 양손으로 붙잡아 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케이블(217)과 제2 케이블(227)을 이지바(미도시)로 연결하여, 이지바를 어깨에 걸치고 스쿼트 운동을 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케이블 푸쉬다운, 케이블 플라이, 풀오버, 시티드로우, 케이블 컬 등의 다양한 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등판지지부(40)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팔대(21)는, 상기 제1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 팔대(22)는, 상기 제2 프레임(12)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5)은,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높이 방향 중앙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151) 및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측단을 커버한 채, 매개하는 제2 연결부(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풀업바(50)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풀업바(50)는, 상기 제2 연결부(152)의 상측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51), 상기 돌출부(51)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풀업편(53) 및 상기 돌출부(51)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풀업편(5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풀업편(53) 및 상기 제2 풀업편(55)은 상기 돌출부(51)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풀업편(53)과 상기 제2 풀업편(55)에 매달린 채, 풀업(턱걸이) 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팔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팔대(21)는 제1 좌우회동부(211), 제1 상하회동부(213), 제1 그립부(215) 및 제1 케이블(2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부(211)는, 상기 제1 프레임(11)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1 좌우회동축(2111)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부(211)는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 및 제1 좌우회동결정부(21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는, 상기 제1 프레임(1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축(2111)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1-1 고정선택홀(2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는, 상기 제1 좌우회동축(2111)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좌우고정홀(21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결정부(211c)는,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좌우고정홀(2113)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고정홀(2113)은,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좌우회동결정부(211c)는 중첩되어 배치된, 제1 고정선택편과 제1-1 고정선택홀(2112)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의 회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부(211)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는, 제1 상하회동축(213a), 제1 회동바(213b) 및 제1 상하회동결정부(213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회동축(213a)은,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바(213b)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회동축(213a)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상하회동축(213a)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상하고정홀(2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회동결정부(213c)는,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형성된 제1-2 고정선택홀(2114)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상하고정홀(2131)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회동바(213b)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고정홀(2131)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고정선택홀(2114)은, 상기 제1 회동바(213b)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하회동결정부(213c)는 중첩되어 배치된, 제1 상하고정편과 제1-2 고정선택홀(2114)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바(213b)의 회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그립부(215)는,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217)은, 일측은 상기 제1 그립부(2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중량추(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립부(215)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중량추(31)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217)은,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215)의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팔대(22)는, 제2 좌우회동부, 제2 상하회동부, 제2 그립부 및 제2 케이블(22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팔대(22)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제1 팔대(21)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이하 별도의 도면부호 없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2 좌우회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좌우회동부는, 제2 좌우회동고정부, 제2 좌우회동본체부 및 제2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는, 상기 제2 프레임(12)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1 고정선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는, 상기 제2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2-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좌우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좌우회동결정부는,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좌우고정홀은,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회동부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회동부는, 제2 상하회동축, 제2 회동바 및 제2 상하회동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회동축은,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동바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하회동축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상하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2 상하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회동결정부는,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형성된 제2-2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상하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하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2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블(227)은, 일측은 상기 제2 그립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중량추(3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그립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중량추(32)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블(227)은, 상기 제2 상하회동부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립부의 상기 제2 상하회동부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의 등판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등판지지부(40)는, 등판상하회동부(41), 등판좌우회동부(43) 및 쿠션제공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연결되는 등판상하회동축(411a)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회동부(43)는,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쿠션제공부(45)는, 상기 등판좌우회동부(43)의 끝단에 연결되며,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상하회동축(411a)을 제공하고, 바닥면과 수평하게 관통된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이 형성된 등판회동고정부(411) 및 상기 등판상하회동축(411a)에 장착되어 상하 회동되고,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판회동바(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판회동바(413)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변화되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1 길이조절봉(4131)과 제2 길이조절봉(4132)을 구비하는 길이변화부(413a) 및 상기 제1 길이조절봉(4131)과 상기 제2 길이조절봉(4132) 각각에 형성된 연통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길이조절봉(4131)의 상기 제2 길이조절봉(4132) 내로의 슬라이딩 여부를 결정하는 길이결정부(413b)를 구비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는,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회동바(413)에 형성된 등판상하고정홀(4133)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411)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등판상하회동결정부(4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판상하고정홀(4133)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은,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411)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등판상하회동결정부(415)는, 중첩되어 배치된 등판상하고정편과 등판상하고정홀(4133)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등판회동부(413)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등판좌우회동부(43)는, 등판좌우본체부(431), 등판좌우고정부(433) 및 등판좌우회동결정부(43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고정부(433)는,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끝단에 설치되며, 등판좌우회동축(431a)을 제공하고, 등판좌우고정홀(4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는, 상기 등판좌우회동축(431a)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관통되어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등판고정선택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회동결정부(435)는,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433)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은,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433)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등판좌우회동결정부(435)는, 상기 등판좌우고정편과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10: 본체프레임
11: 제1 프레임
12: 제2 프레임
15: 연결프레임
20: 팔대부
21: 제1 팔대
22: 제2 팔대
30: 중량부
31: 제1 중량추
32: 제2 중량추
40: 등판지지부
41: 등판상하회동부
43: 등판좌우회동부
45: 쿠션제공부
50: 풀업바
51: 돌출부
53: 제1 풀업편
55: 제2 풀업편

Claims (7)

  1. 바닥에 안착되는 제1 프레임(11), 상기 제1 프레임(11)과 이격된 채,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2 프레임(12) 및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5)을 구비하는 본체프레임(10);
    상기 제1 프레임(11)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1 팔대(2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 팔대(22)를 구비하는 팔대부(20);
    상기 제1 프레임(11)에 내장된 채, 상기 제1 팔대(21)와 연결되어 상기 제1 팔대(21)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1 중량추(31) 및 상기 제2 프레임(12)에 내장된 채, 상기 제2 팔대(22)와 연결되어 상기 제2 팔대(22)에 인가된 외력에 의해 승강하는 제2 중량추(32)를 구비하는 중량부(30);
    상기 연결프레임(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등판지지부(40); 및
    상기 연결프레임(15)에 마련되되,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풀업바(5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팔대(21)는, 상기 제1 프레임(11)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2 팔대(22)는, 상기 제2 프레임(12)을 기준으로 상하회동 또는 좌우회동 가능하며,
    상기 제1 팔대(21)는,
    상기 제1 프레임(11)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1 좌우회동축(2111)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되는 제1 좌우회동부(211),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부(211)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상하회동부(213),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 그립부(215) 및
    일측은 상기 제1 그립부(215)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중량추(31)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그립부(215)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중량추(31)가 연동되도록 하는 제1 케이블(217)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블(217)은,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그립부(215)의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2 팔대(22)는,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측단에 연결되는 제2 좌우회동축을 기준으로 좌우 회동되는 제2 좌우회동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부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상하회동부,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 그립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그립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 중량추(32)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그립부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중량추(32)가 연동되도록 하는 제2 케이블(227)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블(227)은,
    상기 제2 상하회동부 내에 은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그립부의 상기 제2 상하회동부로부터의 이격에 따라, 상기 제2 상하회동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등판지지부(40)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연결되는 등판상하회동축(411a)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는 등판상하회동부(41),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등판좌우회동부(43) 및
    상기 등판좌우회동부(43)의 끝단에 연결되며, 쿠션감을 제공하는 쿠션제공부(45)를 구비하며,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는,
    상기 연결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등판상하회동축(411a)을 제공하고, 바닥면과 수평하게 관통된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이 형성된 등판회동고정부(411) 및
    상기 등판상하회동축(411a)에 장착되어 상하 회동되고,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판회동바(413)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회동바(413)는,
    서로 겹쳐져 길이가 변화되도록 동심 상에 다단으로 단면의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1 길이조절봉(4131)과 제2 길이조절봉(4132)을 구비하는 길이변화부(413a) 및
    상기 제1 길이조절봉(4131)과 상기 제2 길이조절봉(4132) 각각에 형성된 연통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길이조절봉(4131)의 상기 제2 길이조절봉(4132) 내로의 슬라이딩 여부를 결정하는 길이결정부(413b)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상하회동부(41)는,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회동바(413)에 형성된 등판상하고정홀(4133)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411)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등판상하회동결정부(415)를 더 구비하며,
    상기 등판상하고정홀(4133)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등판고정선택홀(411b)은,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상기 등판회동고정부(411)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등판좌우회동부(43)는,
    상기 등판회동바(413)의 끝단에 설치되며, 등판좌우회동축(431a)을 제공하고, 관통된 등판좌우고정홀(4331)이 형성된 등판좌우고정부(433),
    상기 등판좌우회동축(431a)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관통되어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등판고정선택홀이 형성된 등판좌우본체부(431) 및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433)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등판좌우회동결정부(435)를 구비하고,
    상기 등판좌우고정홀(4331)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등판고정선택홀은,
    상기 등판좌우본체부(431)의 상기 등판좌우고정부(433)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등판좌우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우회동부(211)는,
    상기 제1 프레임(11)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좌우회동축(2111)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1-1 고정선택홀(2112)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
    상기 제1 좌우회동축(2111)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1 좌우고정홀(2113)이 형성된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 및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좌우고정홀(2113)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좌우회동결정부(211c)를 구비하며,
    상기 제1-1 고정선택홀(2112)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좌우고정홀(2113)은,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의 상기 제1 좌우회동고정부(211a)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부는,
    상기 제2 프레임(12)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좌우회동축을 제공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제2-1 고정선택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고정부,
    상기 제2 좌우회동축에 장착되어 좌우 회동되고, 높이 방향으로 관통된 채, 상기 제2-1 고정선택홀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2 좌우고정홀이 형성된 제2 좌우회동본체부 및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좌우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좌우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1 고정선택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좌우고정홀은,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의 상기 제2 좌우회동고정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고정선택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하회동부(213)는,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1 상하회동축(213a),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하회동축(213a)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상하회동축(213a)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1 상하고정홀(2131)이 형성된 제1 회동바(213b) 및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형성된 제1-2 고정선택홀(2114)에 삽입된 채, 상기 제1 상하고정홀(2131)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회동바(213b)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상하회동결정부(213c)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상하고정홀(2131)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고정선택홀(2114)은,
    상기 제1 회동바(213b)의 상기 제1 좌우회동본체부(211b)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1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하회동부는,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체결되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된 제2 상하회동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상하회동축에 연결된 채, 상기 제2 상하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하 회동되고,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와의 대향면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된 제2 상하고정홀이 형성된 제2 회동바 및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형성된 제2-2 고정선택홀에 삽입된 채, 상기 제2 상하고정홀로의 삽입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상하회동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하고정홀은,
    부채꼴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2 고정선택홀은,
    상기 제2 회동바의 상기 제2 좌우회동본체부에 대한 회동 각도에 따라 복수의 제2 상하고정편 중 어느 하나와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5)은,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높이 방향 중앙을 매개하는 제1 연결부(151) 및
    상기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측단을 커버한 채, 매개하는 제2 연결부(152)를 구비하며,
    상기 풀업바(50)는,
    상기 제2 연결부(152)의 상측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51),
    상기 돌출부(51)의 일측단에 연결되는 제1 풀업편(53) 및
    상기 돌출부(51)의 타측단에 연결되는 제2 풀업편(5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풀업편(53) 및 상기 제2 풀업편(55)은 상기 돌출부(51)를 기준으로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KR2020220000410U 2022-02-10 2022-02-10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KR200495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10U KR200495994Y1 (ko) 2022-02-10 2022-02-10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JP2023019227A JP2023117406A (ja) 2022-02-10 2023-02-10 多目的ケーブル運動器具(Multi-use body exercise equipment with c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410U KR200495994Y1 (ko) 2022-02-10 2022-02-10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94Y1 true KR200495994Y1 (ko) 2022-10-06

Family

ID=8359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410U KR200495994Y1 (ko) 2022-02-10 2022-02-10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3117406A (ko)
KR (1) KR2004959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70B1 (ko) * 2023-02-09 2023-11-06 임상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430B1 (en) * 2000-02-10 2002-09-10 Nautilus, Inc. Exercise machine
US20030017918A1 (en) * 2001-06-20 2003-01-23 Webb Gregory M. Multi-functional weight training machin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f rotation
US20090170669A1 (en) * 2007-12-21 2009-07-02 Cybex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assembly for exercise apparatus
US20100016129A1 (en) * 2008-07-16 2010-01-21 Body Solid, Inc.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Device
KR101394117B1 (ko)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430B1 (en) * 2000-02-10 2002-09-10 Nautilus, Inc. Exercise machine
US20030017918A1 (en) * 2001-06-20 2003-01-23 Webb Gregory M. Multi-functional weight training machine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of rotation
US20090170669A1 (en) * 2007-12-21 2009-07-02 Cybex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assembly for exercise apparatus
US20100016129A1 (en) * 2008-07-16 2010-01-21 Body Solid, Inc. Multifunctional Physical Training Device
KR101394117B1 (ko) 2012-10-09 2014-05-1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케이블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570B1 (ko) * 2023-02-09 2023-11-06 임상진 다기능 듀얼 풀리 웨이트 트레이닝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17406A (ja)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702B1 (en) Exercise machine
CA1075277A (en) Multi-purpose stationary exercice bicycle
US20070037674A1 (en) Multi-exercise apparatus
US8465403B2 (en) Core training bench
US5429569A (en) Training apparatus
US7614988B1 (en) Decorative, multi-functional exercise and storage bench
US9126073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US9168416B2 (en) Abdomen exercise machine
JP2004520897A (ja) 空間効率の高い多用途運動装置
KR200495994Y1 (ko) 다목적 케이블 운동기구
US20050003937A1 (en) Exercise bench and dumbell combination
US6860840B2 (en) Exercise machine for exercising upper body portions
US11135463B2 (en) Motor-driven variable weight exercise device with modular chassis body
CA3205890A1 (en) Exercise apparatus with integrated bench assembly
WO2017198012A1 (zh) 一种折叠式多功能健身器材
KR101424386B1 (ko) 허리 회전 운동기구
KR200349183Y1 (ko) 상체와 어깨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
KR200464221Y1 (ko) 복근 운동기
JP4993945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JP2008529716A (ja) 軌道抵抗調整可能な球鍛練装置
KR102620462B1 (ko) 가변저항모듈이 구비된 운동기구
KR102620480B1 (ko) 시티드 로우
JP7489737B1 (ja) ドロップスクワットマシン(Drop squat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