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480B1 - 시티드 로우 - Google Patents

시티드 로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480B1
KR102620480B1 KR1020220155538A KR20220155538A KR102620480B1 KR 102620480 B1 KR102620480 B1 KR 102620480B1 KR 1020220155538 A KR1020220155538 A KR 1020220155538A KR 20220155538 A KR20220155538 A KR 20220155538A KR 102620480 B1 KR102620480 B1 KR 102620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mission
lever
weigh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현정
Original Assignee
(주)뉴텍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텍웰니스 filed Critical (주)뉴텍웰니스
Priority to KR102022015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29Benches specifically adapted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는,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시티드 로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무게추로 구성된 중량추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상기 중량추와 연결되어,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중량추가 승강되도록 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티드 로우{Seated row}
본 발명은 시티드 로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시티드 로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이나 덤벨(dumbbell)과 같이 무게를 가진 물체를 이용해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동작들은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피트니스 클럽에는 이러한 동작들을 구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헬스 기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최근 대중들이 헬스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운동자세와 관련된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관련지식을 배우기가 매우 용이 해졌다.
그러나, 운동기구의 경우 가격이 저렴한 편이 아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헬스장에서 요금을 내고 기구를 사용하고 있지만, 특정 시간대나 공휴일에 사람이 많을 경우 내가 원하는 운동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기다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관련하여,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여러 사람이 많은 종류의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1569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는,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시티드 로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무게추로 구성된 중량추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상기 중량추와 연결되어,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중량추가 승강되도록 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달회동부, 상기 전달회동부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부 및 상기 전달회동부와 상기 중량추를 매개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전달회동부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한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전달회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전달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며, 회동 정도에 따라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전달회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회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달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전달축 및 일측은 상기 전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전달바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레버회동축, 상기 레버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레버연동바 및 상기 레버연동바와 상기 전달바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연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개축 및 상기 레버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그립축을 형성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그립축에 연결되는 축연결부 및 상기 축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전달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연동바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상기 전달바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대기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상기 전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회동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중량추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전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전달바의 회동 경로와, 상기 레버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레버연동바의 회동 경로 차이에 따른 거리 변화에 따라 회동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하부측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중량추가 장착된 채,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중량프레임, 상기 중량프레임의 상측 전방에 연결되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중량프레임의 하측 전방에 연결되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한 채, 기립되어 배치되는 기립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기립된 채, 상기 좌석부가 연결되는 착석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케이블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며,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달회동부와 상기 중량추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풀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달풀리부는, 상기 중량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풀리부, 상기 중량추에 연결되는 중량풀리부 및 상기 전달회동부에 형성되는 회동풀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상기 전달회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전달회동편 및 제2 전달회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편 및 제2 레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회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회동편 및 제2 레버회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풀리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지풀리편과 제2 지지풀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풀리부는, 상기 제1 전달회동편에 형성되는 제1 회동풀리편과, 상기 제2 전달회동편에 형성되는 제2 회동풀리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일측단은 상기 제1 지지풀리편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지지풀리편의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회동풀리편, 상기 제1 지지풀리편, 상기 중량풀리부, 상기 제2 지지풀리편, 상기 제2 회동풀리편을 경유하여 상기 타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 중에, 레버가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 중에 벌어지는 팔과 손의 형태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운동의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할 수 있는 가슴지지부를 형성하되,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편의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외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대기위치와 회동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링크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전달풀리부 및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좌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례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지지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1)는,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30)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30)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1)는, 지지프레임(10), 좌석부(20), 중량추(30) 및 외력전달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바닥에 지지된 채, 기립되며, 복수의 바(bar) 형상의 프로파일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중량프레임(11), 중간프레임(13) 및 착석프레임(1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량프레임(11)은, 상기 중량추(30)가 장착된 채, 승강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4개의 프로파일이 사각 형상으로 배치되며, 기립된 2개의 프로파일 사이에 중량추(30)가 구속된 채,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중간프레임(13)은, 상기 중량프레임(11)의 상측 전방에 연결되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31), 상기 중량프레임(11)의 하측 전방에 연결되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133) 및 상기 상부프레임(131)과 상기 하부프레임(133)을 연결한 채, 기립되어 배치되는 기립프레임(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석프레임(15)은, 상기 하부프레임(133)으로부터 기립된 채, 상기 좌석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석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중량추(30)는, 상기 중량프레임(11)에 연결되고, 복수의 무게추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무게추 중 일부분을 선택 승강 시킬 수 있는 선택핀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상기 중량추(30)와 연결되어, 상기 좌석부(20)에 착석한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중량추(30)가 승강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력전달부(40)는, 전달회동부(41), 레버부(43), 케이블(45) 및 레버회동부(4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달회동부(41)는, 상기 지지프레임(10) 중 상기 상부프레임(1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회동부(41)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전달회동편(41a) 및 제2 전달회동편(4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회동편(41a)과 상기 제2 전달회동편(41b)은 각각이 독립적으로 운동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43)는, 상기 전달회동부(41)의 하측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레버부(43)를 그립한 채, 상기 전달회동부(41)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전달회동부(41)에 연결된 중량추(30)가 승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5)은, 상기 전달회동부(41)와 상기 중량추(30)를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5)에 관하여는 이하 도 11 및 도 1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회동부(47)는, 상기 지지프레임(10) 중 상부프레임(13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전달회동부(41)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며, 회동 정도에 따라 상기 레버부(43)가 상기 전달회동부(41)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중량추(30)와 연결된 상기 레버부(43)를 당기는 동작 중에, 레버부(43)가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당기는 동작 중에 벌어지는 팔과 손의 형태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하여, 운동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추(30)를 마주보고 상기 좌석부(20)에 앉은 사용자는, 상기 레버부(43)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부(43)를 사용자의 몸쪽으로 당기면서 운동한다.
이 때, 상기 레버부(43)를 당기는 동작 중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어깨가 벌어지며 팔꿈치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레버부(43)의 하측단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회동이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의 당기는 동작 중의 관절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5 내지 10을 통해 상세히 다루기로 하겠다.
상기 레버회동부(47)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회동편(47a) 및 제2 레버회동편(47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회동편(47a)은, 상기 제1 전달회동편(41a)과 한 쌍을 이루어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레버회동편(47b)은, 상기 제2 전달회동편(41b)과 한 쌍을 이루어 연동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43)는, 상기 전달회동부(41)의 상기 지지프레임(10)에 대한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전달회동부(41)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43)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편(43a) 및 제2 레버편(43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레버편(43a)은 상기 제1 전달회동편(41a)의 하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레버편(43b)은 상기 제2 전달회동편(41b)의 하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외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대기위치와 회동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링크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여기서, 도 4의 (a), 도 5, 도 7의 (a), 도 8의 (a), 도 9의 (a), 도 10의 (a)는 대기위치의 시티드 로우를 나타내며, 도 4의 (b), 도 6, 도 7의 (b), 도 8의 (b), 도 9의 (b), 도 10의 (b)는 회동위치의 시티드 로우를 나타낸다.
또한, 회동위치를 나타낸 도면에서는 거울상으로 배치된 2개의 전달회동부(41) 중 한 쪽의 전달회동부(41a)의 회동을 나타내어, 회동 위치를 가늠하기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2개의 전달회동부(41a, 41b) 모두가 회동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1)의 전달회동부(41)는 전달축(411) 및 전달바(4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11)은, 상기 상부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달축(411)은, 상기 제1 전달회동편(41a)과 연결되는 제1 전달축(411a) 및 상기 제2 전달회동편(41b)과 연결되는 제2 전달축(4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바(413)는, 일측은 상기 전달축(41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바(413)는, 상기 제1 전달축(411a)에 연결되는 제1 전달바(413a) 및 상기 제2 전달축(411b)에 연결되는 제2 전달바(41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회동부(47)는 레버회동축(471), 레버연동바(473) 및 링크부(4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레버회동축(471)은, 상기 상부프레임(13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축(411)과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회동축(471)은 상기 링크부(475)를 기준으로 상기 전달축(411)보다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달바(413)의 회동경로와 상기 레버연동바(473)의 회동경로의 경로차를 야기시킴으로써, 상기 링크부(475)가 회동되는 이유가 된다.
상기 레버회동축(471)은, 상기 제1 전달축(411a)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 레버회동축(471a) 및 상기 제2 전달축(411b)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 레버회동축(47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연동바(473)는, 상기 레버회동축(47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버연동바(473)는, 상기 제1 레버회동축(471a)과 연결되는 제1 레버연동바(473a) 및 상기 제2 레버회동축(471b)과 연결되는 제2 레버회동바(473b)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75)는, 상기 레버연동바(473)와 상기 전달바(41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75)는, 상기 레버연동바(47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개축(475a) 및 상기 레버부(43)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그립축(475b)을 형성할 수 있다(도 10 참조).
상기 레버부(43)는, 상기 그립축(475b)에 연결되는 축연결부(431) 및 상기 축연결부(431)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그립부(4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연결부(431)는 상기 그립축(475b)과 연동되어 상기 링크부(475)가 상기 그립축(475b)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그립부(433)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475)는, 상기 전달바(413)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연동바(473)가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바(413)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대기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상기 전달축(411)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회동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중량추(30)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링크부(475)는, 상기 전달축(411)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전달바(413)의 회동 경로와, 상기 레버회동축(471)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레버연동바(473)의 회동 경로 차이에 따른 거리 변화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433)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하부측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연동바(473)의 일단이 상기 축연결부(431) 보다 더 앞으로 나오기 시작할 때, 상기 그립부(433)가 외회전(운동기구 바깥쪽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레버연동바(473)의 일단이 상기 축연결부(431) 보다 더 뒤로 가기 시작할 때, 상기 그립부(433)가 내회전(사용자 몸 방향으로 회전)을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대기위치에서의 상기 전달바(413)를 지지하는 전달회동지지부(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달회동지지부(19)의 상기 전달바(413)와 대향하는 대향면에는 완충부재가 커버되어 상기 전달바(413)의 상기 회동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의 급격한 위치 이동에도 상기 전달바(413)의 손상 및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좌석부(20)에 앉은 사용자가 발을 지지할 수 있는 발판부(1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전달풀리부 및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1)의 외력전달부(40)는, 상기 외력전달부(40)는 전달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달풀리부는, 상기 케이블(45)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며, 상기 케이블(45)에 의해 상기 전달회동부(41)와 상기 중량추(30)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풀리부는, 지지풀리부(491), 중량풀리부(493) 및 회동풀리부(49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풀리부(491)는, 상기 중량프레임(1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풀리부(491)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지풀리편(491a)과 제2 지지풀리편(49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풀리부(493)는, 상기 중량추(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동풀리부(495)는, 상기 전달회동부(4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풀리부(495)는, 상기 제1 전달회동편(41a)에 형성되는 제1 회동풀리편(495a)과, 상기 제2 전달회동편(41b)에 형성되는 제2 회동풀리편(49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5)은, 일측단은 상기 제1 지지풀리편(491a)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지지풀리편(491b)의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45)은,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회동풀리편(495a), 상기 제1 지지풀리편(491a), 상기 중량풀리부(493), 상기 제2 지지풀리편(491b), 상기 제2 회동풀리편(495b)을 경유하여 상기 타측단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의 좌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티드 로우(1)의 상기 좌석부(20)는, 착석부(21), 착석높이조절부(23) 및 가슴지지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21)는, 상기 착석프레임(15)에 연결된 채,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착석높이조절부(23)는, 상기 착석프레임(15)과 상기 착석부(21)를 매개하며, 상기 착석프레임(15)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착석부(21)의 바닥면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슴지지부(25)는, 상기 착석프레임(15)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착석부(21)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착석부(21)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착석프레임(15)은, 상기 하부프레임(133)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기 착석프레임(15)과 상기 기립프레임(135)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프레임(17)은, 다단으로 형성된 연결봉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착석프레임(1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기립프레임(135)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착석프레임(15)과 상기 기립프레임(135)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착석프레임(15)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시티드 로우
10: 지지프레임
11: 중량프레임
15: 착석프레임
17: 연결프레임
20: 좌석부
21: 착석부
23: 착석높이조절부
25: 가슴지지부
30: 중량추
40: 외력전달부
41: 전달회동부
43: 레버부
45: 케이블
47: 레버회동부
491: 지지풀리부
493: 중량풀리부
495: 회동풀리부

Claims (5)

  1. 사용자가 착석한 채, 중량추와 연결된 레버를 당기는 동작으로 상기 중량추를 들어올려 운동할 수 있는 시티드 로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된 채, 기립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좌석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복수의 무게추로 구성된 중량추;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채, 상기 중량추와 연결되어,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가 인가한 외력에 의해 상기 중량추가 승강되도록 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달회동부, 상기 전달회동부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레버부 및 상기 전달회동부와 상기 중량추를 매개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전달회동부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한 회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전달회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전달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연동되며, 회동 정도에 따라 상기 레버부가 상기 전달회동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레버회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달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전달축 및
    일측은 상기 전달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전달바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회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레버회동축,
    상기 레버회동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레버연동바 및
    상기 레버연동바와 상기 전달바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연동바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매개축 및 상기 레버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그립축을 형성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그립축에 연결되는 축연결부 및 상기 축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사용자가 그립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전달바의 회동에 따라, 상기 레버연동바가 연동되어 회동되며,
    상기 전달바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대기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당겨져 상기 전달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회동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중량추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전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전달바의 회동 경로와, 상기 레버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레버연동바의 회동 경로 차이에 따른 거리 변화에 따라 회동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기립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회동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하부측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기울어지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중량추가 장착된 채,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중량프레임,
    상기 중량프레임의 상측 전방에 연결되며,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중량프레임의 하측 전방에 연결되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연결한 채, 기립되어 배치되는 기립프레임을 구비하는 중간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기립된 채, 상기 좌석부가 연결되는 착석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케이블의 이동 경로를 규정하며, 상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달회동부와 상기 중량추가 연동되도록 하는 전달풀리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달풀리부는,
    상기 중량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풀리부,
    상기 중량추에 연결되는 중량풀리부 및
    상기 전달회동부에 형성되는 회동풀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달회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전달회동편 및 제2 전달회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편 및 제2 레버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회동부는,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레버회동편 및 제2 레버회동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풀리부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지풀리편과 제2 지지풀리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풀리부는, 상기 제1 전달회동편에 형성되는 제1 회동풀리편과, 상기 제2 전달회동편에 형성되는 제2 회동풀리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일측단은 상기 제1 지지풀리편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2 지지풀리편의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회동풀리편, 상기 제1 지지풀리편, 상기 중량풀리부, 상기 제2 지지풀리편, 상기 제2 회동풀리편을 경유하여 상기 타측단에 고정되고,
    상기 좌석부는,
    상기 착석프레임에 연결된 채,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착석부;
    상기 착석프레임과 상기 착석부를 매개하며, 상기 착석프레임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착석부의 바닥면과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착석높이조절부; 및
    상기 착석프레임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기 착석부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착석부에 앉은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는 가슴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착석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착석프레임과 상기 기립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다단으로 형성된 연결봉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착석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기립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착석프레임과 상기 기립프레임의 이격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착석프레임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티드 로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155538A 2022-11-18 2022-11-18 시티드 로우 KR10262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38A KR102620480B1 (ko) 2022-11-18 2022-11-18 시티드 로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5538A KR102620480B1 (ko) 2022-11-18 2022-11-18 시티드 로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480B1 true KR102620480B1 (ko) 2024-01-03

Family

ID=8953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5538A KR102620480B1 (ko) 2022-11-18 2022-11-18 시티드 로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4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213B1 (en) * 2000-02-29 2003-06-17 Hoist Fitness Systems Exercise arm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US20040005966A1 (en) * 2002-07-02 2004-01-08 James Chen Press device of exercise machine
KR102115695B1 (ko) 2019-01-30 2020-05-28 변현정 복합헬스기구
KR102404422B1 (ko) * 2022-01-24 2022-06-02 주식회사 대한스포츠 시티드 체스트 프레스 및 시티드 로우 운동이 가능한 복합 헬스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213B1 (en) * 2000-02-29 2003-06-17 Hoist Fitness Systems Exercise arm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
KR20030091615A (ko) * 2002-05-27 2003-12-03 최윤석 3차원 무산소 운동기구
US20040005966A1 (en) * 2002-07-02 2004-01-08 James Chen Press device of exercise machine
KR102115695B1 (ko) 2019-01-30 2020-05-28 변현정 복합헬스기구
KR102404422B1 (ko) * 2022-01-24 2022-06-02 주식회사 대한스포츠 시티드 체스트 프레스 및 시티드 로우 운동이 가능한 복합 헬스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0020A (en) Constant tension exercise device
US7549949B2 (en) Chest press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user support
US5681247A (en) Constant tension exercise device
US7993251B1 (en) Pectoral fly exercise machine
JP3117451B2 (ja) 運動機械
US6394937B1 (en) Handle and exercise arm assembly for use with an exercise machine
US8118720B2 (en) Abdominal exercise and training apparatus
US4757992A (en) Posterior shoulder exercise machine
US20080058176A1 (en) Chest press exercise machine with self-aligning pivoting user support
US5928116A (en) Body exerciser
US20100216610A1 (en) Free weight training simulation apparatus
US20110028284A1 (en) Single Apparatus Converging/Diverging Exercise Machine
US7806812B2 (en) Foldable exercise device
US20110092343A1 (en) Single Apparatus Converging/Diverging Exercise Machine
US689664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060040810A1 (en) Foldable gravity resistance gym
US7922629B1 (en) Multi-station exercise gym
US9682270B2 (en) Apparatus for exercise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102620480B1 (ko) 시티드 로우
CN219023120U (zh) 锻炼器材系统
KR102115695B1 (ko) 복합헬스기구
JP2023117405A (ja) 背中運動器具(exercise equipment for back)
JP2024074219A (ja) シーテッドロウ(Seated row)
KR20240073546A (ko) 회전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