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85Y1 -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85Y1
KR200495885Y1 KR2020200004488U KR20200004488U KR200495885Y1 KR 200495885 Y1 KR200495885 Y1 KR 200495885Y1 KR 2020200004488 U KR2020200004488 U KR 2020200004488U KR 20200004488 U KR20200004488 U KR 20200004488U KR 200495885 Y1 KR200495885 Y1 KR 200495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vacuum circuit
guide
hand lif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384U (ko
Inventor
김승회
방순식
손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00004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85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진공차단기 예방점검 및 정비를 위하여 설치 및 분해 시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진공차단기 판넬에서 설치 및 분해 시 진공차단기 Draw-in/out Aid Tool을 판넬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핸드 리프트 작업 시 핸드 리프트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Hand lift for moving of Vacu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를 지면으로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핸드 리프트를 판넬에 고정하였으며, 진공차단기가 지면으로 이동 중 바퀴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한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 내 스위치기어 판넬에 설치된 진공차단기를 설치 및 분해 시 핸드 리프트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설치 시 리프트에 거치된 진공차단기(VCB)를 지면으로 내리기 위해서는 인력으로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자 부상과 진공차단기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리 시에는 협소한 공간의 판넬에서 작업자가 진공차단기를 이동하여 설치시 감전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093446호(등록일: 2011.12.07.)에는 공차단기의 조작기부에 있어서 트립후크의 되튀김 방지를 위한 트립후크 완충장치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립후크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트립후크의 충격에 따른 되튀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차단기 조작기부의 트립후크 완충장치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상술한 문제점(작업자의 부상 및 진공차단기의 손상)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를 지면으로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핸드 리프트를 판넬에 고정하고, 진공차단기가 지면으로 이동 중 바퀴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는 가이드(100)와; 상기 가이드(100)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구(2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0)는 양 외측이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121)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 연결구(200)는 가이드부(120) 일측에서 힌지 운동이 가능한 고정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0) 외주면에는 고정 단턱부(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 예방점검 및 정비를 위하여 설치 및 분해 시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진공차단기 판넬에서 설치 및 분해 시 진공차단기 Draw-in/out Aid Tool을 판넬에 걸쳐 사용할 수 있고 핸드 리프트 작업 시 핸드 리프트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의 사용상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의 단턱부에 연질부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00) 및 힌지 연결구(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00)는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10) 및 가이드부(1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결합은 용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20)는 양 외측이 상향 절곡되는 절곡부(1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전소 지면으로부터 스위치 기어 판넬 바닥까지의 높이가 15cm이므로 인력으로 진공차단기(VCB)를 들어올릴 경우 작업자의 부상 및 감전의 위험성이 있다.
상술한 위험성을 예방하고자, 상기 진공차단기(VCB) Draw-in/out Aid Tool을 설치하여 진공차단기를 분리하여 천천히 지면으로 내린다.
또한, 상기 핸드 리프트를 사용하여 판넬 상부 진공차단기(VCB) 분리 시에는 먼저 진공차단기를 리프트에 안착시키고, 리프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 후 진공차단기를 내리게 되는데, 그때 리프트를 하부로 내린 후 진공차단기 Draw-in/out Aid Tool을 리프트 중앙에 설치하여 진공차단기를 지면으로 내리면 된다.
상기 진공차단기(VCB) 설치시 먼저 진공차단기를 리프트를 사용하여 판넬 상부
이에, 상기 힌지 연결구(200)는 가이드(100)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힌지 연결구(200)는 가이드부(120) 일측에서 힌지 운동이 가능한 고정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0) 외주면에는 고정 단턱부(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210)에 구비되는 단턱부(2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차단기(VCB)가 내입되어 있는 스위치기어 입구 단턱에 한 쌍의 단턱부(22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단턱부(220)가 마주하는 면상에는 연질부(221)가 형성되어 스위치기어 입구 단턱에 끼워질 시 억지끼움방식을 조장하여 진공차단기(VBC) 이동시 핸드 리프트가 흔들림이 없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를 지면으로 이동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핸드 리프트를 판넬에 고정하고, 진공차단기가 지면으로 이동 중 바퀴가 이탈하지 않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된다.
100 ... 가이드 110 ... 지지바
120 ... 가이드부 121 ... 절곡부
200 ... 힌지 연결구 210 ... 고정부
220 ... 단턱부 VCB ... 진공차단기

Claims (3)

  1. 지지바(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되는 가이드(100)와;
    상기 가이드(100)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 연결구(200)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연결구(200)는 가이드부(120) 일측에서 힌지 운동이 가능한 고정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210) 외주면에는 고정 단턱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220)가 마주하는 면상에는 연질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2. 삭제
  3. 삭제
KR2020200004488U 2020-12-07 2020-12-07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KR200495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88U KR200495885Y1 (ko) 2020-12-07 2020-12-07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88U KR200495885Y1 (ko) 2020-12-07 2020-12-07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84U KR20220001384U (ko) 2022-06-14
KR200495885Y1 true KR200495885Y1 (ko) 2022-09-08

Family

ID=8198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88U KR200495885Y1 (ko) 2020-12-07 2020-12-07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8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8363A (ja) 2012-03-22 2013-09-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盤
KR101814931B1 (ko) * 2016-08-31 2018-0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용 받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213B2 (ja) * 2012-08-30 2014-08-27 株式会社安川電機 搬出入装置
KR102015310B1 (ko) * 2017-08-11 2019-08-28 세신전기(주) 자동인출 고전압 차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98363A (ja) 2012-03-22 2013-09-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気盤
KR101814931B1 (ko) * 2016-08-31 2018-01-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용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384U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9419A (ko) 커팅 테이블 상의 유리판 적재 및 커팅 방법
KR101124877B1 (ko) 변압기용 철심 코어의 코일 절단 분리기
US7338248B2 (en) Battery changing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KR200495885Y1 (ko) 진공차단기 이송용 핸드 리프트
KR101779670B1 (ko)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KR200474265Y1 (ko)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KR101262957B1 (ko) 경계석 집게
KR200426101Y1 (ko) 유리박스 이송을 위한 기구
KR200485946Y1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KR200491000Y1 (ko) 전원공급기 운반용 리프트장치
KR101976546B1 (ko) 벽돌 운반용 손수레
CN209930744U (zh) 一种用于机柜服务器安装的升降推送装置
KR100640295B1 (ko) 선박의 곡블럭 서포트용 핀지그
KR200270145Y1 (ko) 마그네트 크레인상에서의 강판 탈착장치
KR101035735B1 (ko)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CN216034574U (zh) 一种电气柜安装防护结构
CN215851292U (zh) 一种电气设备用移动装置
CN219950431U (zh) 一种窨井盖开启装置
JPH09159730A (ja) 半導体試験装置
KR100613897B1 (ko) 파레트용 휠 베어링 취외,취부 장치
KR930007427Y1 (ko) 로울러(Roller)가 장착된 천정크레인용 코일걸이팔
CN218320489U (zh) 一种液压支架千斤顶快速更换装置
KR102502007B1 (ko)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JP2010264981A (ja) 梱包箱用吊り具及びそれを用いて梱包箱を移送する方法
CN211306358U (zh) 一种机械臂与焊钳连接专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