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75Y1 -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 Google Patents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75Y1
KR200495775Y1 KR2020220000169U KR20220000169U KR200495775Y1 KR 200495775 Y1 KR200495775 Y1 KR 200495775Y1 KR 2020220000169 U KR2020220000169 U KR 2020220000169U KR 20220000169 U KR20220000169 U KR 20220000169U KR 200495775 Y1 KR200495775 Y1 KR 200495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urniture module
attic
furnitu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는 복층형 오피스텔에서 다락으로 접근하는 동선으로써, 바닥,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락, 바닥 상에 배치되고 바닥과 다락을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하는 가구 모듈을 포함하고, 가구 모듈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다락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계단은 상기 가구 모듈의 상면에 형성된다.
이 고안의 특징은, 일반적인 계단참보다 가구모듈 상부의 계단참 구조가 넓게 조성되어 다락의 공간과 연계되어, 안전하고(낙상방지), 보행이동, 학습과 같은 일상활동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EXTENDED LANDING STRUCTURE ABOVE FURNITURE MOUDLE LANDING SPACE STRUCTURE IN DOUBLE-DECKER OFFICETEL}
본 개시는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과 오피스텔 다락 복층을 연결하는 가구 모듈을 포함하는 복층형 오피스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층고는 건물의 층과 층 사이의 높이를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한 층의 바닥 윗면으로부터 그 위층의 바닥 윗면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건축법 상 복층형 건축물의 종류는 층고를 기준으로 나뉠 수 있다. 복층형 건축물에서 상층의 층고가 1.5m(최상층 또는 경사진 지붕의 경우 1.8m)보다 작거나 같으면 (다락형 복층 건축물의) 그 상층은 '다락'에 해당하고, 이보다 크면 (일반 복층 건축물의) 그 상층은 2층 또는 '다락방'에 해당한다.
일반 복층 건축물의 2층 다락방은 바닥면적이 건축물대장이나 등기부등본에 기재되고, 건축허가 대상으로서 준공 승인을 받아야 하며, 바닥면적에 포함돼 하나의 층으로 간주된다. 이에 반해, 다락은 건축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고 바닥면적에도 포함되지 않는다. 그만큼 다락형 복층 건축물은 분양가나 세금 등이 적게 매겨지는 셈이다.
복층형 건축물의 경우, 실제 건축물 각 층의 높이는 위층의 바닥구조물을 제외하면 원래의 수치보다 20 ~ 30 cm 낮아진다. 다락의 경우, 바닥 마감재 두께 등을 생각하면 실제 층고는 1.35m 정도로 줄어든다. 이는 성인이 허리를 굽혀야 이동할 수 있는 높이로서, 용어 상 복층형 건축물로 분류됨에도 실제로는 사람이 서있기 힘들어 실제 거주공간으로의 활용이 어려워 버려진 공간으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고안된 공간이 오히려 잘 사용되지 못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고안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오피스텔 건축, 설계시 건축법 준수하면서 다락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닥과 다락을 연결하는 가구 모듈을 포함하는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는, 바닥,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락, 바닥 상에 배치되고 바닥과 다락을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하는 가구 모듈을 포함하고, 가구 모듈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다락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계단은 가구 모듈의 상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 모듈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다락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걸쳐 배치된 책상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층형 건축물 구조 상에 배치된 가구 모듈의 계단참 부분 상면은 일반적인 계단의 계단참보다 넓게 조성되어, 안전하고(낙상방지), 보행이동, 학습과 같은 일상활동을 다락과 연계되어 이용 가능하다, 특히 기존 건물 다락에는 사람이 일어설 필요가 없는 책상의 상면, 침대 등을 배치하여, 건축법을 준수하면서 동시에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구 모듈의 상면에 사람이 서있을 경우 다락과 달리 천장에 머리가 닿지 않아 사용자의 공간 이용 편의가 증가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계단참보다 가구모듈 상부의 계단참 구조가 넓게 조성되어 다락의 공간과 연계되어, 안전하고(낙상방지), 보행이동, 학습과 같은 일상활동에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에서 바라본 복층형 오피스텔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가구 모듈의 상면에 책상 모듈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의 사시도이다.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는 하층부 및 상층부와, 그 사이를 잇는 계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는 복층 구조를 일 예시를 나타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는 하층부, 상층부, 계단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10), 다락(120), 가구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110)은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의 하층부를 의미할 수 있다. 바닥(110)은 평평한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닥(110)을 안전하게 걸어 다니면서 1층을 점유 및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10)에는 하나 이상의 가구, 설비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110)에는 소파, 러그, 협탁, 수납장, 싱크대, 수전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다락(120)은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의 상층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락(120)의 층고가 1.5m 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복층형 건축물 구조(100)가 건물의 최상층이거나 지붕일 경우, 다락(120)의 층고는 1.8m 이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락(120)의 하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락(120)에는 침대, 책장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가구 모듈(130)은 바닥(110) 상에 배치되는 임의의 가구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은 바닥(110)과 다락(120)을 연결하는 계단(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134)은 가구 모듈(1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 모듈(130)의 상면은 층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가구 모듈(130)을 밟고 바닥(110)에서 다락(12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구 모듈(130)의 높이는 바닥(110)으로부터 다락(120)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은 이동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구 모듈(130)은 바닥(110)과 다락(120)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바닥(110)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구 모듈(130)은 외력에 의해 바닥(110) 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계단(134)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가구 모듈(130)은 특정 위치로 이동한 뒤 바닥(110) 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수납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구 모듈(130)의 측면부에는 임의의 물건이 수납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수납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구 모듈(130)의 내측에는 물건이 수납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의 최상면으로부터 다락(120)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는 70cm 내외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가구 모듈(130)의 최상면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는 약 220cm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구 모듈(130)의 상면에 사용자가 직립할 경우, 천장에 머리가 닿지 않아 사용자의 공간 이용 편의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가 생활 가능하도록 일정 면적 이상의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구 모듈(130)의 상면에서 사용자는 직립 생활을 하거나, 다른 가구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구 모듈 상면과, 기존 건물 다락의 가구와 연계 되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층형 건축물 구조(100)는 가구 모듈(130)의 상면에 배치된 책상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책상 모듈(140)은 가구 모듈(130)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다락(120)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 모듈(140) 중 일부는 가구 모듈(130)의 최상면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일부는 다락(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책상 모듈(140)은 가구 모듈(130)의 상면 및/또는 다락(120)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가구 모듈(130) 상에 배치되는 가구를 책상 모듈(140)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구 모듈(130) 상에 배치되는 가구는 책상 모듈(140) 뿐 아니라 수납 모듈, 침대 모듈, 의자 모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110)에서 바라본 복층형 건축물 구조(100)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100)는 바닥(110)과 다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110) 상에 배치된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은 하나 이상의 다락(120)을 연결하는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적으로 분리 배치된 하나 이상의 다락(120) 사이에는 가구 모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을 밟고 일측 다락(120)에서 타측 다락(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 모듈의 상면(132)과 천장(210) 사이의 높이는 220cm 이상에 해당하므로, 가구 모듈(130)의 상면에서 서있거나 이동하는 사용자가 천장에 머리를 부딪히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에는 복수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110)과 가까운 쪽에 배치된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에는 계단(134) 역할을 수행하도록 층계 형태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바닥(110)과 먼 쪽에 배치된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에는 책상 모듈(140)을 용이하게 지지하도록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계단 및 계단참은 가구 모듈(130)의 상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구 모듈(13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136)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36)에는 옷, 물건, 티비 등이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36)에 티비가 삽입됨으로써, 가구 모듈(130)은 티비 거치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30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형 건축물 구조(300)는 바닥(310), 하나 이상의 다락(320), 가구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닥(310), 다락(320), 가구 모듈(330)은 도 1에 도시된 바닥(110), 다락(120), 가구 모듈(130)과 대응될 수 있다. 가구 모듈(330)은 바닥(3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 모듈(330)은 이동 불가능하도록 바닥(310) 상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모듈(330)은 편평부(332), 계단부(334), 싱크대(336), 도어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편평부(332)는 가구 모듈(33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닥(310)에 수직한 방향에서, 편평부(332)는 바닥(310)과 다락(320)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편평부(332)는 사용자가 걸어다니거나 가구를 배치하기 용이하도록 넓고 평평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층형 건축물 구조(300)에서 바닥(310)이 1층이고 다락(320)이 2층이면, 편평부(332)는 1.5층에 해당할 수 있다. 편평부(332)는 계단부(334)를 통해 바닥(310)과 연결될 수 있다.
계단부(334)는 가구 모듈(330)의 일측에 층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334)는 벽면과 인접한 가구 모듈(33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계단부(334)는 편평부(332)와 바닥(310)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단부(334)를 통해 바닥(310)에서 편평부(332) 및 다락(3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싱크대(336)는 가구 모듈(330)의 일측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싱크대(336)는 가구 모듈(330)의 측면부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 형성되어 음식 조리 시 사용될 수 있다. 가구 모듈(330)의 측면부로부터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의 크기 및 모양은 싱크대(336)를 형성하기 적합한 임의의 크기 및 모양에 해당할 수 있다.
도어부(338)는 가구 모듈(330)의 타측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338)는 싱크대(336)와 인접한 곳에 여닫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부(338)를 통해 가구 모듈(330) 내부와 외부를 출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구 모듈(330)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에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30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중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복층형 건축물 구조(300)는 장롱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장롱부(410)는 다락(320)의 하면으로부터 편평부(33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장롱부(410)는 편평부(332)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장롱부(410)의 일부는 편평부(33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롱부(410)는 다락(320)과 편평부(332)에 걸쳐 배치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편평부(332)와 다락(320)의 공간 활용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가구 모듈(330)의 상면(332)에 책상 모듈(510)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구성 중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책상 모듈(510)은 도 1에 도시된 책상 모듈(140)와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부(332)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가구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평부(332)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책상 모듈(51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책상 모듈(510)은 편평부(322)와 다락(320)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하도록 맞춤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가구 모듈(330)은 편평부(332)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가구, 책상 모듈(510) 등을 견딜 수 있는 소재,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편평부(332)의 상측에는 책상 모듈(510)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편평부(332)로부터 천장까지의 층고는 직립한 사용자가 지나갈 수 있는 높이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이동 및 생활하는데 필요한 임의의 가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평부(332)의 상측에는 소파, 침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복층형 건축물 구조
110: 바닥
120: 다락
130: 가구 모듈
132: 가구 모듈의 상면
134: 계단
136: 수납부
140: 책상 모듈

Claims (2)

  1.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로서,
    바닥;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다락;
    상기 바닥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과 상기 다락을 연결하는 계단을 포함하
    는 가구 모듈; 및
    상기 가구 모듈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다락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를 걸쳐 배치된 책상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구 모듈의 높이는, 상기 바닥으로부터 상기 다락의 바닥면까지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계단은 상기 가구 모듈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층형 오피스텔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2. 삭제
KR2020220000169U 2021-08-17 2022-01-20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KR20049577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5 2021-08-17
KR20210002555 2021-08-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75Y1 true KR200495775Y1 (ko) 2022-08-16

Family

ID=8306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169U KR200495775Y1 (ko) 2021-08-17 2022-01-20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75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01A (ja) * 1994-12-28 1996-07-16 Kunichika Kawamoto 高さの差がある部屋空間の利用方法およびテーブル
KR20100133832A (ko) * 2009-06-12 2010-12-22 최천기 2층 책상
KR101651606B1 (ko) * 2015-12-21 2016-09-12 주식회사 이집소 주택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조립식 핵심 설비
KR102122497B1 (ko) * 2020-02-24 2020-06-12 김동현 가구 접목형 계단
KR20200134488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이화개발 이동식 계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4201A (ja) * 1994-12-28 1996-07-16 Kunichika Kawamoto 高さの差がある部屋空間の利用方法およびテーブル
KR20100133832A (ko) * 2009-06-12 2010-12-22 최천기 2층 책상
KR101651606B1 (ko) * 2015-12-21 2016-09-12 주식회사 이집소 주택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조립식 핵심 설비
KR20200134488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이화개발 이동식 계단
KR102122497B1 (ko) * 2020-02-24 2020-06-12 김동현 가구 접목형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9719B2 (en) Modular space dividing system and method
KR200495775Y1 (ko) 복층형 오피스텔의 가구모듈 상부 계단참 구조
JP6897644B2 (ja) 住宅の屋内構造
JP4236211B2 (ja) 収納室を持つ建物
JP7342527B2 (ja) 建築物
JP2014031636A (ja) 住宅
JP5283438B2 (ja) キッチン一体型階段部構造
KR101301882B1 (ko) 복층 고시텔 원룸
JPH08209954A (ja) 収納室を持つ建物
JP2015083753A (ja) 建物
US20230257997A1 (en) Staircase part structure equipped with study corner
GB2460851A (en) Portable triangular temporary housing module
JP6816951B2 (ja) シェアハウス
JP4279742B2 (ja) 建物
US20230142882A1 (en) Step without visible legs for use at home and office
JP7298396B2 (ja) 建築物
KR102538684B1 (ko) 더블 복층구조의 주거공간을 갖는 건축물
CN215859274U (zh) 一种空中别墅
EP4179922A1 (en) Retractable step for use at home and office
US20230141156A1 (en) Retractable step for use at home and office
JP7500186B2 (ja) 共同住宅
JP2008266932A (ja) 二世帯住宅構造
CN113463948A (zh) 多层别墅
JP2023103521A (ja) 階段下ワークスペース
JPH09195495A (ja) 小屋裏収納庫付き住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