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233Y1 -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233Y1
KR200495233Y1 KR2020200001184U KR20200001184U KR200495233Y1 KR 200495233 Y1 KR200495233 Y1 KR 200495233Y1 KR 2020200001184 U KR2020200001184 U KR 2020200001184U KR 20200001184 U KR20200001184 U KR 20200001184U KR 200495233 Y1 KR200495233 Y1 KR 200495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ductor
light emitting
cover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330U (ko
Inventor
시엔-창 린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1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2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 유닛에 적용되는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광원 연결 모듈은 커버, 연성 평면 케이블, 및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연성 평면 케이블은 도체를 포함한다. 도체는 발광 유닛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체에 선택적으로 접촉 전극이 형성되어 도체는 접촉 전극을 통해 발광 유닛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닛은 기판, 전극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기판에는 연성 평면 케이블이 마련된다. 기판의 양측에 체결 부재가 설치되고 전극이 기판에 설치된다. 전극의 일단이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전극의 타단이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도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는 제1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접촉 전극의 일부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는다.

Description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LIGHT SOURCE CONNECTION MODULE AND CONNECTOR THEREOF}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원용의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에서 액정층 외에도 발광층(또는 백라이트 패널)은 주요한 구성요소이다. 액정층은 발광층을 통해서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백라이트층은 복수 세트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액정층 아래에 분포되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생성된 면광원이 액정층에 작용한다. 복수 세트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 사이는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다. 액정 표시 패널은 크기가 상이하여,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크기에 따라 사용자 맞춤 설계가 필요하므로, 회로 배치 설계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세트 전부를 교체해야 하는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광원 연결 모듈을 제시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708호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발광 유닛에 적용되며 연성 평면 케이블의 임의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광원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제한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통해 규격이 상이한 발광 유닛에 적용 가능한 광원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커버를 착탈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광원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연결 유닛이 연성 평면 케이블의 말단부, 접속부, 및 외접부에 마련되어, 외부의 제어 유닛, 전력 유닛 또는 기타 연결 유닛에 연결되는 광원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일측 또는 양측의 발광 유닛에 연결되거나 외부의 제어 유닛, 전력 유닛 또는 기타 연결 유닛에 연결 가능한 광원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발광 유닛 및 연성 평면 케이블에 적용되는 광원 연결 모듈을 제공한다. 광원 연결 모듈은 커버 및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연결 유닛은 기판, 전극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기판에는 연성 평면 케이블이 마련될 수 있다. 기판의 양측에 체결 부재가 마련되고 전극이 기판에 마련된다. 전극의 일단이 발광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전극의 타단이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도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가 제1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접촉 전극의 일부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는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의 광원 연결 모듈이 상이한 연결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길이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크기 변화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커넥터는 연성 평면 케이블과 발광 유닛(발광 다이오드 모듈 등)의 모듈화 가교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배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연결 모듈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제1 광원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제1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성 평면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발광 유닛이 전극 및 체결 부재와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제2 광원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제1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성 평면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발광 유닛이 전극 및 체결 부재와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제3 광원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기판이 연성 평면 케이블과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제2 연결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제1 커넥터가 발광 유닛 및 연성 평면 케이블과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제1 커넥터가 발광 유닛 및 연성 평면 케이블과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에 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은 후술한다.
본 고안에서, 본문의 유닛, 구성품, 및 부품에 대해 "하나" 또는 "한 개" 등의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은 단지 설명의 편의에 따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에 있어 일반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명백히 다른 의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단수는 동시에 복수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포함", "포괄", "구비", "함유"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용어는 배타적이지 않은 등가물들을 아우르는 것을 의도한다. 예컨대, 복수의 요건을 포함하는 구성요소, 구조체,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이들 요건들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았지만 상기 구성요소, 구조체, 제품 또는 장치가 통상적으로 갖는 고유의 기타 요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명백히 상반되는 설명이 없는 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선언으로서의 "또는"이 아닌 포괄적 선언으로서의 "또는"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 연결 모듈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광원 연결 모듈은 연성 평면 케이블(2), 제1 광원 커넥터(10), 제2 광원 커넥터(12), 및 제3 광원 커넥터(14)로 이루어진다. 연성 평면 케이블(2)의 길이 및 광원 커넥터(10, 12, 14) 각각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수 및 길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다. 한편, 각각의 광원 커넥터(10, 12, 14) 사이의 연성 평면 케이블(2)은 연속적이거나 분리될 수 있다. 연성 평면 케이블(2)은 도체(22)를 포함한다. 도체(22)는 발광 유닛(42, 44)으로 신호(전력신호, 제어신호 등)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체(22)에는 별도로 접촉 전극이 형성되어, 도체(22)가 접촉 전극을 통해 발광 유닛(42, 44)으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발광 유닛(42, 44)이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유닛(42, 44)이 양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에서, 광원 커넥터(10)는 양측 단부에 출구가 마련된 형태이며, 연성 평면 케이블(2)이 일측으로 진입하여 타측으로 나오게 된다. 광원 커넥터(12)는 싱글엔드 타입(또는 말단 타입)이며, 연성 평면 케이블(2)의 말단에 설치된다. 또한, 광원 커넥터(14)는 외부 연결 타입이며, 외부의 회로 기판(8), 전력 유닛(전원 공급 장치 등) 또는 제어 유닛(백라이트 모듈 구동 전기회로 등)을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 커넥터(14)는 추가적으로 하우징(6)에 잠금 고정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광원 커넥터의 제1 실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원 커넥터(10)은 제1 연결 유닛(102) 및 커버(104)를 포함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제1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제1 연결 유닛(102)은 기판(1022), 전극(1024) 및 체결 부재(1026)를 포함한다.
기판(1022)의 양측에 체결 부재(1026)가 마련되고 전극(1024)이 기판(1022)에 마련된다. 체결 부재(1026) 및 전극(1024)의 개수가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수는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1024)의 일단은 발광 유닛(42, 44)에 연결될 수 있고, 전극(1024)의 타단은 후술하는 접촉 전극(24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04)에 돌기(1042)가 형성되고 체결 부재(1026)에 슬롯(1028)이 형성된다. 돌기(1042)가 슬롯(1028)과 결합하여 커버(104)가 제1 연결 유닛(102)에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에 슬롯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에 돌기가 형성되어 슬롯과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커버(104)가 제1 연결 유닛(102)에 고정될 수도 있다.
기판(1022)에 연성 평면 케이블(2)이 설치된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성 평면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3a에서, 편의상, 연성 평면 케이블(2)을 제1 도체 구간(24)이라고 하며, 제1 도체 구간(24)은 제1 연결 유닛(102)에 적용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제1 도체 구간(24)은 연성 평면 케이블(2)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며, 연성 평면 케이블(2)은 접촉 전극(242) 및 정위치홀(244)을 더 포함한다. 접촉 전극(242)은 도체(22)와 단락되거나 연결되어, 도체(22)의 양측 말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242)은 집게식 구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촉 전극(242)은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접촉 전극(242)은 전극(1024)을 클램프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성 평면 케이블(2)이 기판(1022)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정위치홀(244)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발광 유닛이 전극 및 체결 부재와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에서, 체결 부재(1026)는 발광 유닛(42, 4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026)는 고정용 이외에도 접지용일 수 있다. 전극(1024)의 일단이 발광 유닛(42, 44)에 연결되어, 전극(1024)의 타단으로부터의 신호(전력 신호 또는 구동 신호 등)를 수신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04)가 제1 연결 유닛(102)과 결합한 후, 커버(104) 및 제1 연결 유닛(102)은 접촉 전극(242)의 일부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게 되어, 보호 및 유지보수 등에 편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제2 광원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광원 커넥터(12)는 제1 연결 유닛(122) 및 커버(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연성 평면 케이블(2)의 말단 위치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는 차이가 있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제1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에서, 제1 연결 유닛(122)은 기판(1222), 전극(1224) 및 체결 부재(1226)를 포함한다.
기판(1222)의 양측에 체결 부재(1226)가 마련되고 전극(1224)이 기판(1222)에 마련된다. 체결 부재(1226) 및 전극(1224)의 개수가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수는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1224)의 일단은 발광 유닛(42', 44')에 연결될 수 있고, 전극(1224)의 타단은 후술하는 접촉 전극(262)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24)에 돌기(1242)가 형성되고 체결 부재(1226)에 슬롯(1228)이 형성된다. 돌기(1242)가 슬롯(1228)과 결합하여 커버(124)가 제1 연결 유닛(12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24)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1226)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슬롯이 돌기와 결합함으로써 커버(124)가 제1 연결 유닛(122)에 고정될 수 있다.
기판(1222)에 연성 평면 케이블(2)이 설치된다.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연성 평면 케이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a에서, 편의상, 연성 평면 케이블(2)을 제2 도체 구간(26)이라고 하며, 제2 도체 구간(26)은 제1 연결 유닛(122)에 적용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제2 도체 구간(26)은 연성 평면 케이블(2)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며, 연성 평면 케이블(2)은 접촉 전극(262) 및 정위치홀(264)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접촉 전극(262)은 집게식 구조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촉 전극(262)은 다른 형식일 수 있다. 접촉 전극(262)은 전극(1224)을 클램프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정위치홀(264)은 연성 평면 케이블(2)이 기판(1222)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4의 발광 유닛이 전극 및 체결 부재와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c에서, 체결 부재(1226)는 발광 유닛(42', 44')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체결 부재(1226)는 고정용 이외에도 접지용일 수 있다. 전극(1224)의 일단이 발광 유닛(42', 44')에 연결되어, 전극(1224)의 타단으로부터의 신호(전력 신호 또는 구동 신호 등)를 수신한다.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커버(124)가 제1 연결 유닛(122)과 결합한 후, 커버(124) 및 제1 연결 유닛(122)은 접촉 전극(262)의 일부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게 되어, 보호 및 유지보수 등에 편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제3 광원 커넥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광원 커넥터(14)는 제1 연결 유닛(142) 및 커버(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연성 평면 케이블(2)이 회로 기판(8)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위치에 적용된다는 점에서 본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는 차이가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도 5의 기판이 연성 평면 케이블과 결합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의 기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연결 유닛(142)은 기판(1422), 전극(1424) 및 체결 부재(1426)를 포함한다.
기판(1422)의 양측에 체결 부재(1426)가 마련되고 전극(1424)이 기판(1422)에 마련된다. 체결 부재(1426) 및 전극(1424)의 개수가 4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수는 제한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전극(1424)의 일단은 도체(2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44)에는 슬롯(1442)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1426)에는 탄성편이 형성된다. 슬롯(1442)이 체결 부재(1426)와 결합하여 커버(144)가 제1 연결 유닛(14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144)에는 탄성편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1426)에는 슬롯이 형성되어 슬롯이 탄성편과 결합함으로써 커버(144)가 제1 연결 유닛(1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422)에 연성 평면 케이블(2)이 설치된다. 연성 평면 케이블(2)을 제3 도체 구간(28)이라고 하며, 제3 도체 구간(28)은 제1 연결 유닛(142)에 적용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제3 도체 구간(28)은 연성 평면 케이블(2)의 일부 영역에 위치하며, 연성 평면 케이블(2)의 도체(22)가 전극(1424)에 노출되어 도체(22)가 전기적으로 전극(1424)에 연결된다.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제2 연결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에서, 제2 연결 유닛(16)은 기판(1422)의 접합 포트(1428)를 통과함으로써, 제2 연결 유닛(16)의 일단(162)이 회로 기판(8)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164)이 도체(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커버(144)가 제1 연결 유닛(142)과 결합한 후, 커버(104) 및 제1 연결 유닛(102)은 접촉 전극(242)의 일부를 갖는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게 되어, 보호 및 유지보수 등에 편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커버에는 조작부가 더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인취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부는 커버의 양측에 형성되어 기계가 용이하게 파지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해당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상기 실시예들이 본 고안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와 등가적인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가 정의하는 바에 따른다.
2: 연성 평면 케이블 22: 도체
42, 44: 발광 유닛 6: 하우징
8: 회로 기판 10: 제1 광원 커넥터
102, 122, 142: 제1 연결 유닛 1022, 1222, 1422: 기판
1024, 1224, 1424: 전극 1026, 1226, 1426: 체결 부재
1428: 접합 포트 104, 124, 144: 커버
1042, 1242: 돌기 1028, 1228, 1442: 슬롯
12: 제2 광원 커넥터 14: 제3 광원 커넥터
24: 제1 도체 구간 26: 제2 도체 구간
28: 제3 도체 구간 242, 262: 접촉 전극
244, 264: 정위치홀

Claims (10)

  1. 발광 유닛용 광원 연결 모듈로서,
    커버;
    도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도체에 선택적으로 접촉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가 상기 접촉 전극을 통해 상기 발광 유닛으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연성 평면 케이블; 및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이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전극, 및 상기 기판의 양측에 마련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의 일단이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이 상기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도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전극의 일부를 갖는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일단이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타단이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의 상기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도체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로부터 상기 접촉 전극 내지 상기 도체를 통해서 상기 발광 유닛으로 전달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체결 부재의 일부가 상기 발광 유닛에 고정되는, 광원 연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슬롯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고정되거나, 상기 커버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이 상기 돌기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고정되는, 광원 연결 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이 상기 탄성편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고정되거나, 상기 커버에 탄성편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에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이 상기 슬롯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고정되는, 광원 연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 상기 기판의 대응되는 측변에 설치되어, 상기 도체에 연결되거나 상기 도체 및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는, 광원 연결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 상기 기판의 동일한 측변에 설치되어, 상기 도체에 연결되거나 상기 도체 및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는, 광원 연결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일단이 상기 도체를 덮음으로써 상기 도체와 상기 발광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광원 연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조작부가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인취되는, 광원 연결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접합 포트를 통과하는 제2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유닛의 일단이 상기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광원 연결 모듈.
  10. 발광 유닛 및 연성 평면 케이블용 광원 커넥터로서,
    커버; 및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이 마련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설치되는 전극, 및 상기 기판의 양측에 마련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극의 일단이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전극의 타단이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도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 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발광 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되, 상기 도체에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 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가 상기 접촉 전극을 통해 상기 발광 유닛으로 상기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제1 연결 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접촉 전극의 일부를 갖는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을 덮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일단이 상기 발광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타단이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의 상기 접촉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거나 상기 도체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 유닛의 상기 전극의 일단은 상기 연성 평면 케이블로부터 상기 접촉 전극 내지 상기 도체를 통해서 상기 발광 유닛으로 전달되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체결 부재의 일부가 상기 발광 유닛에 고정되는, 광원 커넥터.
KR2020200001184U 2019-12-04 2020-04-06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 KR2004952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16267U TWM601950U (zh) 2019-12-04 2019-12-04 光源連接模組及其連接器
TW108216267 2019-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30U KR20210001330U (ko) 2021-06-15
KR200495233Y1 true KR200495233Y1 (ko) 2022-04-04

Family

ID=7399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184U KR200495233Y1 (ko) 2019-12-04 2020-04-06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0082U (ko)
KR (1) KR200495233Y1 (ko)
CN (1) CN212485603U (ko)
TW (1) TWM60195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4290B (zh) * 2019-12-04 2021-07-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光源連接模組及其連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548A (ja) * 2008-05-15 2009-11-26 Jst Mfg Co Ltd 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子部品付きハウジング
JP2016076479A (ja) * 2014-10-06 2016-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ユニット、および、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0452B (zh) 2015-02-16 2016-08-2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直下式背光模组及布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548A (ja) * 2008-05-15 2009-11-26 Jst Mfg Co Ltd ワイヤハーネス及び電子部品付きハウジング
JP2016076479A (ja) * 2014-10-06 2016-05-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ユニット、および、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485603U (zh) 2021-02-05
JP3230082U (ja) 2021-01-07
TWM601950U (zh) 2020-09-21
KR20210001330U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107B1 (ko) 도전성 연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931047B2 (en)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9308953B (zh) 光电复合线缆
WO2008096716A1 (ja) 半導体サブモジュール、コネクタと半導体サブモジュールとの接続方法、および、光モジュール
US20070038024A1 (en) Endoscope electric connection device
US9500793B2 (en) Electronic module
JP5499071B2 (ja) 中継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光源モジュール
US9525233B2 (en) Connecting module, power supply module and connecting set for light strips
KR200495233Y1 (ko) 광원 연결 모듈 및 그 커넥터
JP2012142287A (ja) 回路モジュール
CN203288576U (zh) 具有功率半导体模块和驱动装置的系统
US10111332B1 (en) Composite cable to be connected to flat panel-shaped electrical equipment
JP2012013722A (ja) 液晶モジュール
TW201219794A (en) Probe sheet for testing LCD panel, probe unit having the prob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robe sheet
US10123435B2 (en) Display control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98012B1 (ko) 데이터 링크 모듈
KR200495243Y1 (ko) 광원연결모듈 및 그 커넥터
US11013122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wiring boards and display device
TWI734290B (zh) 光源連接模組及其連接器
KR201200631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150047708A (ko)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US20230280552A1 (en) Optoelectronic module, optoelectronic plug connector and optoelectronic sub-distribution unit
KR20030012358A (ko) 연성 필름 케이블
JP2006205979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ハーネスモジュール構造
JP2015118953A (ja) 半導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