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708A -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708A
KR20150047708A KR1020130127454A KR20130127454A KR20150047708A KR 20150047708 A KR20150047708 A KR 20150047708A KR 1020130127454 A KR1020130127454 A KR 1020130127454A KR 20130127454 A KR20130127454 A KR 20130127454A KR 20150047708 A KR20150047708 A KR 20150047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socket
flexible circuit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경
Original Assignee
정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경 filed Critical 정윤경
Priority to KR102013012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7708A/ko
Publication of KR20150047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유닛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되어 이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복수의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메인회로부상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소켓을 포함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이 용이하며, 외력에 의해 함께 휘어지게 되어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커넥터 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FLEXIBLE CONNECTOR UNIT}
본 발명은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으로, 연성회로기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형성되어 이와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유닛은, 일 단자에 연결된 커넥터와, 이와 대응되는 단자에 구비되는 소켓이 결합하여 두 배선, 두 회로기판 또는 배선과 회로기판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특히, 두 회로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보드투보드 커넥터(board to board)방식이 이용되는 데, 이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와 같이 경박단소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 또는 메인회로부과 보조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와 메인회로부(20)가 보드투보드 방식으로 연결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측으로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전압 및 각종 신호가 송수신되는 신호배선이 형성되는 연성회로기판(12)이 구비된다. 연성회로기판(12)은 외력이 인가함에 따라 휘어짐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커넥터(1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메인회로부(20)는 휴대용 단말기의 각종 회로소자가 구비되는 기판으로서,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으로 배치되어 전면에 상기 커넥터(15)가 결합되는 소켓(2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플레이부(10) 및 메인회로부(20)는 커넥터가 소켓에 삽입 결합되고, 메인회로부(20)의 전면이 디스플레이부(10)의 배면에 이격없이 밀착하여 조립되게 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15)가 소켓(25)에 끼워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0)의 연성회로기판(12)은 배면방향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부 프레임(미도시)에 실장된다.
여기서, A부분을 확대한 도 1b를 참조하면, 커넥터(15)는 연성회로기판(12)의 일면에 본딩되며, 크게 플라스틱 재질로 외관을 이루는 몸체(13)와, 몸체(13)의 내부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14)으로 구성되어 수 단자를 이룬다.
또한, 소켓(25)은 메인회로부(20)의 일면으로 상기 커넥터(15)와 대응되는 위치에 본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4)와, 그 내부로 메인회로부(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24)으로 구성되어 암 단자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상기 커넥터(15)가 상기 소켓(25)과 기구적으로 결합하여 핀(14)과 전극(24)이 접촉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 및 메인회로부(20)가 최소한의 이격거리로 결합되게 되며, 그 상태에서 외부 프레임에 실장되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미도시)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종래 구조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0)와 메인회로부(20)가 밀착되어 박형의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할 수는 있으나, 커넥터(15) 및 소켓(25)은 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강성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쉽게 분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외력에 의해 소정각도로 휘어지는 플렉서블 타입(flexible type)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며, 디스플레이부(10) 및 메인회로부(20)가 휘어짐에 따라 커넥터(15)와 소켓(25)이 쉽게 분리되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력 또는 단말기의 휘어짐에 따라 커넥터와 소켓이 함께 휘어짐으로서 분리되는 문제를 개선한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와 소켓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휘어진 상태에서도 그 결합형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용이한 구조의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복수의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메인회로부상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 및 고정되는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은, 연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맞닿는 상기 메인 회로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은, 단면이 'ㄷ'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은, 상기 커넥터가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배면을 덮는 상부 및 내부로 삽입된 커넥터를 테두리하는 하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조물; 상기 하부의 바닥면으로 상기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접촉되는 연결하는 내부전극; 및 상기 하부의 배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기판부상의 단차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차부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C'자형 걸쇠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단차부의 바닥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쇠가 측면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장축이 상기 지지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은, 커넥터의 전극을 연성회로기판상에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하는 실리콘 화합물로 구현하고, 이에 대응하는 소켓의 측면으로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결합이 용이하며, 외력에 의해 함께 휘어지게 되어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이 휴대용 단말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의 커넥터와 소켓의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 중, 커넥터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커넥터 유닛의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고정구조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커넥터 유닛의 고정구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이 휴대용 단말에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그 디스플레이부(100)를 제어하는 메인회로부(2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장치 및 기판(100,200)은 각각에 형성된 커넥터(150) 및 소켓(2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복수의 신호배선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형성되어 그 교차지점에 전계를 형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화소가 정의되고, 그 화소를 제어하는 하나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어레이 기판(111)과, 어레이 기판(111)과 대향하며 R,B,G 삼원색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 및 이들을 구분짓는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되는 컬러필터 기판(112)과, 두 기판(110) 사이에 개재되는 액정층(미도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 예로서 전술한 구조의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의 기판(110)이 외부 시스템 즉, 메인회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연성회로기판(120)을 이용하는 평판표시장치(100)이면,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 어떠한 종류의 평판표시장치라도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부(100)는 강성을 유지하고, 백라이트 유닛(미도시)등을 실장하기 위해 가이드 패널과 같은 기구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어레이 기판(111)의 일측에는 휘어짐이 용이한 연성회로기판(120)이 본딩되어 있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120)은 디스플레이부(100)와 후술하는 메인회로부(200)간에 신호전달을 위한 복수의 배선과, 능동 및 수동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120)은 외력에 의해 상하로 휘어짐이 용이하며, 디스플레이부(100)와 메인 회로기판(200)의 연결시에 배면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0)와 메인회로부(200)가 서로간의 이격공간이 최소화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성회로기판(120)의 끝단에는 메인회로부(200)와 실제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결합하는 커넥터(15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150)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면서도 휘어짐이 용이한 특성을 플렉서블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터(150)는 전극이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포함된 실리콘화합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회로부(200)상의 소켓(250)의 일측면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15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메인회로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구동을 위한 각종 신호 및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역할과, 휴대용 단말의 주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강성 인쇄회로기판(210) 및 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 능동 및 수동소자(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인회로부(200)의 전면에는 상기 커넥터(150)와 연결되는 소켓(2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일측면에 커넥터(150)가 삽입되어 커넥터(150)와 전기적 및 기구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소켓(250)은 일측면을 제외한 모든 면들이폐쇄되어 있어, 상기 일측면 즉, 개구부를 통해 삽입된 커넥터(150)가 모든 방향으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커넥터(150)가 삽입된 이후, 인쇄회로기판(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 커넥터(150)가 개구부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소켓(250)은 휘어짐이 용이한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150, 250)은 결합 후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00) 및 메인회로부(200)에 휘어짐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커넥터(150) 및 소켓(250)이 함께 휘어지게 되어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메인회로부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도 3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유닛은, 합착된 기판(110)의 일측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120)에 플렉서블 커넥터(1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메인회로부(미도시)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210)상에 소켓(25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합착된 기판(110)은 다른 형태의 인쇄회로기판으로 대체 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와 메인회로부가 연결되는 것 만이 아닌, 보조회로부와 메인회로부가 연결되는 구성에도 본 발명의 커넥터 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210)이 합착된 기판(110)의 배면으로 배치됨에 따라, 연성회로기판(120)은 배면방향으로 휘어져 소켓(250)과 결합하게 되며, 플렉서블 커넥터(150)는 연성회로기판(120)이 휘어지기 전 전면의 끝단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소켓(250)은 직육각면체 구조로 일측면이 개구되어 있어, 단면이 'ㄷ'자형으로 이루어진다. 플렉서블 커넥터(150)는 소켓(25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게 된다. 소켓(25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인쇄회로기판(2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커넥터(150)의 지지기판(125)상에 형성된 실리콘 화합물(미도시)의 끝단이 상기 전극(155)과 접촉함에 따라 결합이 완료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의 내부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의 커넥터와 소켓의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은,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연성회로기판(120)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복수의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화합물(1251)을 포함하는 커넥터와, 메인회로부상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 및 고정되는 고정구조물(251)를 포함하는 소켓을 포함한다.
커넥터는 연성회로기판(120)이 배면으로 휘어져 고정구조물(251)에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1251)이 형성된 지지기판(125)이 배면을 향하도록 하여 소켓의 외관을 이루는 고정구조물(251)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또한, 소켓의 고정구조물(251)은 내부공간이 연성회로기판(120)의 폭에 대응되며, 상부(2511) 및 하부(2512)를 분리하여 보았을 때, 하부(2512)의 바닥면(255)상에 실리콘 화합물(1251)과 대응되는 복수의 내부전극(25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전극들(2551)은 하부(2512)의 배면으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된 패드에 본딩되는 외부전극(259)와 일대일 대응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2512)의 양측면으로는 연성회로기판(120)과 고정구조물(251)이 결합된 후, 고정구조물(251)을 인쇄회로기판의 내측으로 밀어넣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넥터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주기 위한 고정홈(251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홈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고정구조물(251)을 이루는 상부(2511) 및 하부(2512)는 분리가능한 구조이거나 또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 중, 커넥터의 구조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커넥터 유닛의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연성회로기판(120) 일면에 내부 배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기판(125)과, 상기 지지기판(125)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실리콘 화합물(1251)을 포함한다.
지지기판(125)은 연성회로기판(120)상에 실리콘 화합물(1251)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외력에 의해 실리콘 화합물(1251)이 연성회로기판(120)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며 두 구조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기판(125)의 일면으로는 연성회로기판상에 형성된 전극과 접촉되고, 타면으로는 실리콘 화합물(1251)의 내부에 형성된 고분자 복합체(1251)와 접촉되게 된다.
상기 실리콘 화합물(1251)은 일자형 바(bar)형상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기판(125)상에서 가로 및 세로 갯수가 동일 또는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화합물(1251)은 내부의 고분자 복합체(1251)를 절연하여 각각 대응하는 소켓의 전극(미도시)이 아닌 다른 전극 및 구조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러한 실리콘 화합물(1251)은 통상의 절연물질을 포함하며 실리콘 고무, 녹주석, 실란 및 탄화실리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1251)의 내부로는 복수의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가 구비된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는 연성회로기판(120)상의 전극 및 소켓의 전극을 실제로 전기적 연결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구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연한 특성이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일자형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전볼 형상인 경우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은 복수개가 조밀하게 접촉되어 있어서, 연성회로기판(120) 및 소켓의 전극(미도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는 통상의 도전물질을 포함하며, 폴리 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파라페닐렌 및 폴리아닐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소켓 내부에 삽입 및 고정된 커넥터는 실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가 형성되는 실리콘 화합물(1251)이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휘어지되, 소켓의 고정구조에 따라 전극 및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1258)의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에 따라, 외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 휨이 발생하여도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그 기능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에 대한 휨의 복원시에도 그 고정상태가 지속되게 된다.
한편, 커넥터가 소켓내부로 삽입된 상태만으로는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커넥터가 소켓을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소켓의 고정구조를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고정구조를 정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커넥터 유닛의 고정구조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인쇄회로기판(210)이 내부로 소정높이 함몰되어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이 그 단차부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커넥터가 형성된 연성회로기판(120)이 소켓의 고정구조물(251) 내부로 삽입, 고정되면, 그 상태에서 실리콘 화합물(미도시)을 포함하는 지지기판(125)과 내부전극(225)이 밀착되어 고정되게 되며, 커넥터의 외측폭과 소켓의 내측폭의 최소마진에 따라 연성회로기판(120)에 외력이 인가된다 하더라도 고정구조물(251)에 의해 고정되어 적어도 지지지기판(125)과 내부전극(225)의 접촉상태가 변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연성회로기판(120)이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커넥터가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성회로기판(120)이 고정구조물(25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구조물(251)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단차부 내부로 밀어 넣음에 따라, 단차부에 의해 연성회로기판(120)이 휘어져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구조물(251)의 측면에는 고정홈(2517)이 형성되어 있고, 인쇄회로기판(210)의 단차부 끝단에는 'C'자형의 걸쇠(2017)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조물(251)이 하강함에 따라, 걸쇠(2017)의 돌출부분이 고정홈(2517)으로 삽입되어 양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커넥터 유닛은 외력이 어느방향에서 인가된다 하더라도 커넥터 및 소켓의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의 전극부분이 유연한 실리콘 화합물로 되어 있으므로,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휨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커넥터는 전극이 접속된 상태에서 함께 휘어지게 됨으로서, 본 발명의 커넥터 유닛은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구현하는 데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합착된 기판
111 : 어레이 기판 112 : 컬러필터 기판
120 : 연성회로기판 150 : 커넥터
200 : 메인회로부 210 : 인쇄회로기판
220 : 능동,수동소자 250 : 소켓

Claims (9)

  1.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에 구비되며, 내부에 복수의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커넥터; 및
    메인회로부상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커넥터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가 삽입 및 고정되는 소켓
    을 포함하는 커넥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연성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과 맞닿는 상기 메인 회로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단면이 'ㄷ'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커넥터가 구비되는 연성회로기판의 배면을 덮는 상부 및 내부로 삽입된 커넥터를 테두리하는 하부를 포함하는 고정구조물;
    상기 하부의 바닥면으로 상기 도전성 고분자 복합체가 접촉되는 연결하는 내부전극; 및
    상기 하부의 배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내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는,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메인기판부상의 단차부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C'자형 걸쇠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은,
    상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상기 단차부의 바닥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쇠가 측면의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성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지지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장축이 상기 지지기판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지지기판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유닛.





KR1020130127454A 2013-10-25 2013-10-25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KR20150047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54A KR20150047708A (ko) 2013-10-25 2013-10-25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454A KR20150047708A (ko) 2013-10-25 2013-10-25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708A true KR20150047708A (ko) 2015-05-06

Family

ID=5338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454A KR20150047708A (ko) 2013-10-25 2013-10-25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77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223A (ko) 2017-08-17 2019-02-28 이노벡토리 주식회사 실리콘 커넥터
CN110444117A (zh) * 2019-07-24 2019-11-12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封装基板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223A (ko) 2017-08-17 2019-02-28 이노벡토리 주식회사 실리콘 커넥터
CN110444117A (zh) * 2019-07-24 2019-11-12 昆山维信诺科技有限公司 封装基板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CN110444117B (zh) * 2019-07-24 2021-09-28 苏州清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基板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7090B2 (ja) 表示装置
US10379307B2 (en) Optical-electrical composite cable
KR20160110861A (ko) 연성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256298B2 (en) Display device
KR2008003590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678838B2 (en) Socke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KR20110073824A (ko) Led 모듈용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모듈 조립체
US20120162967A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backlight unit
CN107710062B (zh) 连接印刷电路板的结构和具有所述结构的显示设备
US9307644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asymmetrically disposed alignment unit
US808355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KR20150047708A (ko) 플렉시블 커넥터 유닛
WO2021010763A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34058B1 (ko) 표시장치
CN108668177A (zh) 复合电缆
CN103810940A (zh) 显示装置
KR102302576B1 (ko)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129745B (zh) 显示设备
KR20190027259A (ko) 컨넥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4011700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210157359A1 (en) Display device
KR1021644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3031818B (zh) 触控显示模组及电子设备
KR20070101981A (ko) 표시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