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488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488B1
KR102164488B1 KR1020130153146A KR20130153146A KR102164488B1 KR 102164488 B1 KR102164488 B1 KR 102164488B1 KR 1020130153146 A KR1020130153146 A KR 1020130153146A KR 20130153146 A KR20130153146 A KR 20130153146A KR 102164488 B1 KR102164488 B1 KR 10216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display device
flexible printed
optic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7565A (ko
Inventor
정종훈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4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7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7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광모듈이 노출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AL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원을 LED로 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RGB 서브 픽셀과 White LED를 광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광원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처럼 하나의 광원이 빛의 삼원색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하기가 매우 좋은 장점이 있다.
한편,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이 인쇄회로기판에 마운트된 종래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LED 광모듈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각 LED 광모듈 간 간격이 예를 들면, 대략 0.5-0.7㎜ 정도로 매우 조밀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LED 광모듈 간 간격이 조밀한 경우 인쇄회로기판을 휘기 어렵다. 그 이유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곡면을 갖도록 구현하기 위해서 가요성이 없는 평판 PCB를 강제로 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에 조밀하게 납땜이 되어 있는 LED 광모듈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된다.
이로 인해,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면부분에 LED 광모듈의 접속 불량을 야기하게 되고, 결국 LED 광모듈의 LED가 점등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밀하게 배열된 LED 광모듈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분을 물리적 파손 없이 원하는 곡률로 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광모듈이 노출된 상태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모듈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적층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인접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간에 각각 케이블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전극을 서로 인접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전극과 상호 납땜하여 연결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광모듈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각 광모듈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각 광모듈은 적층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모듈은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모듈은,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일렬로 실장되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LED 칩은 적색 LED 칩, 녹색 LED 칩 및 청색 LED 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모듈은, 인쇄회로기판; 및 적색 LED 칩, 녹색 LED 칩 및 청색 LED 칩을 구비하는 다수의 LED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LED 패키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최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적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부는, 평면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평면 인쇄회로기판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바 형상의 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각각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의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휘어지도록 상기 각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판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부 하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가요성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가요성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을 포함하며, 각 가요성 디스플레이부의 LED 광모듈은 적층 순서에 따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커넥터 방식으로 상호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납땜 방식으로 상호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바 형상의 광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바 형상의 광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링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물결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휨 가능영역이 화살표 A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휨 가능영역이 화살표 B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광모듈의 구동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아울러, 첨부된 도 1a, 도 1b, 도 4 내지 도 10, 도 12에 각각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1a-11e;11a,11b,…,11x;21a-21d,23;31a-31h,33)의 각 광모듈(12b;22b;32b) 간의 간격은 예를 들면, 대략 0.5~0.7㎜ 정도로 조밀하게 설정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광모듈(12b;22b;32b) 간격을 다소 넓어 보이도록 도시한다.
첨부된 도 1a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11a-11e)가 순차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a-11e)를 5개로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디스플레이부(11a-11e)는 각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a)과,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12b)을 포함한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a)은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통상의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a)에는 광모듈(12b)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회로가 형성된다.
광모듈(12b)은 대략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a)에 납땜된다. 이 경우, 광모듈(12b)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a)의 일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a-11e) 적층 시, 최상의 디스플레이부(11a)를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부(11b-11e)의 광모듈(12b)이 각각 상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부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디스플레이부(11a-11e)는 도 1b와 같이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이 상하로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 경우,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은 상하로 인접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과 서로 연결된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커넥터 방식으로 상호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에 도시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를 납땜 방식으로 상호 연결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 간의 연결은 각각 케이블(C)과 케이블(C)의 접속 단에 구비된 다수의 커넥터(C1,C2,C3)에 각각 접속되는 접속단자(12c)를 구비하여 적층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한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2b와 같이,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의 상/하면에 한 쌍씩 전극(동판)(D1,D2)을 상하로 생성하고 상하로 인접한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의 전극(D1,D2)을 서로 납땜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통해, 다수의 디스플레이부(11a-11e)는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b)을 상호 전기적 연결은 물론 물리적으로도 연결한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바 형상의 광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바 형상의 광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모듈(12b)은 소정 길이를 갖도록 좁은 폭으로 길게 형성된 인쇄회로기판(15a)과, 인쇄회로기판(15a)에 실장된 다수의 LED 칩(R,G,B)을 포함한다. 이 경우, 다수의 LED 칩(R,G,B)은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발산하는 3개의 LED 칩을 단위 그룹으로 하여 다수의 단위 그룹이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위 그룹의 3개의 LED 칩(R,G,B)은 투명 수지(15b)로 커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광모듈(12b')은 도 3에 도시된 광모듈(12b)과 달리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발산하는 3개의 LED 칩이 패키징된 다수의 LED 패키지(16b)가 인쇄회로기판(16a)에 실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수의 디스플레이부(11a-11e)에 적용되는 광모듈(12b,12b')은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원호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링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물결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각 디스플레이부(11a-11e;11a,11b,…,11x)는 상호 간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5와 같이, 양측을 하방향으로 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중앙이 상승하게 되어 대략 원호 형상을 유지하도록 변형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보다 더 많은 디스플레이부(11a,11b,…,11x)를 연결하여 대략 링 형상을 유지하도록 변형할 수 있다. 더욱이,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부(11a,11b,…,11x)를 연결하여 대략 물결 형상을 유지하도록 변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분이 다양한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휘어짐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베젤(bezel)을 구비하지 않는 베젤리스(bezel less) 타입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휨 가능영역이 화살표 A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휨 가능영역이 화살표 B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광모듈의 구동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각 디스플레이부(21a-21d)는 상호 간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가 적층 연결된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최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21a)의 상측에 평면 디스플레이부(23)가 배치된 구성에 차이가 있다.
즉,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는 각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22a)과, 가용성 인쇄회로기판(22a)의 일단부에 인접하도록 바 형상의 광모듈(22b)을 포함한다. 이 경우, 광모듈(22b)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1a-11e)의 광모듈(12b)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평면 디스플레이부(23)는 비가요성을 가지면 평면을 유지하는 평판 인쇄회로기판(24a)과, 상기 평판 인쇄회로기판(24a)에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바 형상의 광모듈(24b)을 포함한다. 이 경우, 평면 디스플레이부(23)의 광모듈(24b)은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의 광모듈(22b)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전체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가 배치된 영역이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일측에 배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를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화살표 A방향으로 휘어진다.
반대로,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일측에 배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21a-21d)를 화살표 B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소정 곡률을 가지도록 화살표 B방향으로 휘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광모듈의 구동타이밍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의 각 디스플레이부(21a-21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N개)의 단위 광모듈(21a-21d)은 완성된 패널에서의 수직으로 단일 Line 을 구성하는 화소의 단위이다. 이는 메인 영상인 평판 디스플레이부(23) 생선된 H-Sync 와 동기 하여 동작하게 된다.
즉, 각각의 N개의 광모듈(21a-21d)은 H-Sync의 점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이 경우 N번째의 광모듈(평면 디스플레이부(23)의 다수의 광모듈 중 디스플레이부(21a)의 광모듈과 인접한 광모듈)이 점등하게 되면 N+x 개의 단위 모듈은 점등하지 않게 되며 각각이 점등되는 구간 동안에는 다른 광모듈은 점등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이 매끄럽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각 디스플레이부(31a-31h)는 상호 간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 구조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와 달리 다수의 디스플레이부(31a-31h)의 일부(31a-31d)는 평판 디스플레이부(33)의 우측에 적층되고, 나머지(31e-31h)는 평판 디스플레이부(33)의 좌측에 적층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30)는 좌우로 적층 배치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31a-31d;31e-31h)를 화살표 A, A' 방향 또는 B,B'으로 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10',10'',20,30)는 각각 바텀 새시(bottom chassis)(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바텀 새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10',10'',20,30)의 다양한 곡률로 변형된 형상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바텀 새시는 강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10',10'',20,30)를 필요 시에만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분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10',10'',20,30: 디스플레이 장치
11a-11d,11x,21a-21d,31a-31h: 디스플레이부
12a,22a,32a: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12b,22b,32b: 바 형상 광모듈
23,33: 평판 디스플레이부

Claims (19)

  1.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는 각각의 광모듈이 노출된 상태로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적층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서로 인접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간에 각각 케이블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은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전극을 서로 인접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전극과 상호 납땜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각 광모듈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의 각 광모듈은 적층 순서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일렬로 실장되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 칩은 적색 LED 칩, 녹색 LED 칩 및 청색 LE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 및
    적색 LED 칩, 녹색 LED 칩 및 청색 LED 칩을 구비하는 다수의 LED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LED 패키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따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디스플레이부 중 최상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적층되는 평면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부는,
    평면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평면 인쇄회로기판에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바 형상의 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평면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각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의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수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휘어지도록 상기 각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서로 순차적으로 적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평판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평판 디스플레이부 하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가요성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요성 디스플레이부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 형상의 LED 광모듈;을 포함하며,
    각 가요성 디스플레이부의 LED 광모듈은 적층 순서에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53146A 2013-12-10 2013-12-1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6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146A KR102164488B1 (ko) 2013-12-10 2013-12-10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146A KR102164488B1 (ko) 2013-12-10 2013-12-1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65A KR20150067565A (ko) 2015-06-18
KR102164488B1 true KR102164488B1 (ko) 2020-10-12

Family

ID=5351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146A KR102164488B1 (ko) 2013-12-10 2013-12-1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3166A (zh) * 2018-09-18 2018-12-28 惠州雷通光电器件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显示面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1741B (zh) * 2005-03-30 2010-06-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柔性led阵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7565A (ko)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8475B (zh) 光源模块和背光光源
US9812800B2 (en) Conductive connect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431169B2 (en) Display device
US20090244886A1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2314021A (zh) 液晶显示器
US8882330B2 (en) Light module having a bent portion between light sources
CN105258027A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03676262A (zh) 显示装置
KR102280525B1 (ko)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접속 모듈
CN103256511A (zh) 灯条组合
KR20120068626A (ko) Led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1672446B (zh) 光源模块及背光模块
CN103629597A (zh) 背光组件
KR101365030B1 (ko) 옥외용 표시장치
KR1021644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549090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20230375173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180135841A1 (en) Light Source Device, Display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Substrat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Source Device
CN102235620A (zh) 液晶显示器装置及其背光模块
CN103810940A (zh) 显示装置
JP6592635B2 (ja) 照明装置、平板付コネクタ、照明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US9837742B2 (en) Pin structure and connector including pin structure
KR102455728B1 (ko)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20021473A (ko) 인쇄회로 기판
KR102448040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