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49Y1 -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49Y1
KR200494849Y1 KR2020200000940U KR20200000940U KR200494849Y1 KR 200494849 Y1 KR200494849 Y1 KR 200494849Y1 KR 2020200000940 U KR2020200000940 U KR 2020200000940U KR 20200000940 U KR20200000940 U KR 20200000940U KR 200494849 Y1 KR200494849 Y1 KR 2004948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sect screen
window
window frame
unive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46U (ko
Inventor
어용종
어정욱
Original Assignee
어용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용종 filed Critical 어용종
Priority to KR2020200000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49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에 결착되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차량의 윈도우를 통해 차량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위치하는 메쉬부, 이 메쉬부를 둘러싸면서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 도어의 윈도우 크기와 형태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성을 구비한 신축부와, 상기 신축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자석패드 및 상기 신축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윈도우 프레임에 바인딩(binding)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An Universal Mosquito net For A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의 윈도우에 결합되어 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량용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종류나 모델과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 여름, 가을에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는 창문을 열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며, 기온이 따뜻한 여름철의 경우 운행을 잠시 중지하고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할 때 또는 캠핑이나 레저를 즐기기 위해 산이나 강 및 바다가에 가서 자동차를 장시간 주차시켜 놓은 상태로 자동차 안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숙면을 할 때에는 자동차 내부가 덥기때문에 창문을 열어 놓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자동차의 창문을 열어 놓게 되면 여러 종류의 해충들이 열려진 창문을 통해 자동차 내부로 침입하게 되며, 특히 모기가 왕성하게 활동하는 야간의 경우 자동차 창문을 열고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경우에는 열린 창문으로 모기떼가 침입하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놓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안에서 휴식 또는 숙면을 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창문을 닫고 자동차의 시동을 걸어 놓은 상태에서 에어컨을 틀고 휴식 및 숙면을 취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자동차를 공회전시킨 상태에서 에어컨을 켜고 휴식 및 숙면을 취하게될 때에는 연료를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자동차가 공회전할 때 발생되는 소음으로 인하여 주변에 소음 피해를 주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창문을 닫은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에어컨을 틀어 놓게 되면 자동차 내부의 공기가 탁해져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될 뿐 아니라 에어컨의 차가운 바람에 노출될 경우에는 냉방병과 같은 질병에 걸릴 우려가 있게 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 윈도우에 부착되어 윈도우를 내린상태에서도 외부로부터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방충망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방충망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방충망을 도어프레임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어 여름 한낮의 뜨거운 열기에 의해서 접착제가 녹거나 벨크로테이프의 접착력이 약해져 방충망이 분리되고 또한 방충망의 부착력이 약해서 유리창을 열고 고속도로 등을 운전할 때에는 방충망이 바람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자동차의 창문에 커텐식 구조로 된 방충망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커텐식 방충망의 경우는 방충망 자체를 사용자 임의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방충망의 좌,우측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충망의 좌,우측이 창문틀 즉, 도어 프레임 및 인너 워더 스트립(inner weather strip)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해충(모기, 파리 따위)이 침입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또한, 특허문헌 1(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92465 호)은 자동차의 창문형태와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 형태로서 차량의 몸체 외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고무자석 틀체와; 상기 고무자석 틀체의 내주연에 부착 고정되는 망사로 이루어진 고무자석을 이용한 자동차용 방충망을 개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2(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70970 호)는 차량의 유리창에 부합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된 방충망의 주위에 강철의 재질로 된 얇고 좁은 테두리가 천으로 감싸여 재봉되어 있어 방충망의 형태를 유지하여 주며, 차량의 도어프레임의 유리창 삽입홈을 따라 상기 좁은 테두리를 끼워 결착함으로서 방충망이 유리창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차량용 방충망들이 다양하게 제시된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용 방충망은 그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모델에 따라 해당하는 차량 모델의 도어 사이즈와 형태에 부합되도록 방충망을 종류별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차량 윈도우의 사이즈나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차량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와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차량용 방충망의 개발이 요청된다.
KR 20-0292465 Y1 KR 20-0370970 Y1
본 고안은 차량 윈도우의 사이즈나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차량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와 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운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차량의 윈도우에 쉽게 부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윈도우로부터 탈착도 용이한 차량용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양태는,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14)에 결착되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차량의 윈도우(12)를 통해 차량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기 위한 차량용 방충망으로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바람은 통과시키면서 상기 해충의 통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촘촘한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메쉬부(120)와; 상기 메쉬부(120)를 둘러싸면서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크기와 형태에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성을 구비한 신축부(130)와; 상기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하단부에 존재하는 금속 스트립(13)에 자력에 의해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축부(1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자석패드(110); 및 상기 신축부(130)의 상단부와 좌,우측부를 상기 윈도우 프레임(14)에 바인딩(binding)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밴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 2 양태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상기 고정밴드(150)는, 상기 자석패드(110)가 위치하는 방충망(110)의 하단부를 제외한 방충망(110)의 나머지 3면 모서리를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로부와 세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 3 양태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상기 고정밴드(150)는, 그 단면이 "U"자형이나 "V"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14)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 4 양태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30)로 상기 윈도우 프레임(14)를 감싸서 걸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150)를 끼워서 감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제 5 양태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14)과 상기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맞댄 상태로 상기 고정밴드(14)를 끼워서 감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밴드(150)는 유연성을 갖는 연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축부(130)는,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높은 신축성(伸縮性 : elasticity)을 갖는 천이나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제 6 양태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은, 차량의 백미러(15)를 회피하여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신축부(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백미러 회피부(135)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에 따르면, 더운 여름철의 야간에 자동차의 차창을 열게 될 경우라도 차실 외부로부터의 해충들이 차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며, 주간에는 차실내의 승객을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에 따르면, 차량 윈도우의 사이즈나 형태와 무관하게 모든 차량 모델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이즈와 형태의 변형이 자유로와서 대표적인 몇가지 타입만의 제작만으로 대부분의 차량 모델을 커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에 따르면, 차량 도어의 윈도우 바깥쪽에 자석과 "U"자형 고정밴드로 차량용 방충망을 결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충망을 쉽고,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개선되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된 후의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된 후의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도면과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된 후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은 차량의 운전석 도어나 조수석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은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창틀)(14)에 결착되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차량의 윈도우(12)를 통해 차량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는 메쉬부(120)와, 이 메쉬부(120)를 둘러싸면서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크기와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성을 구비한 신축부(130) 및 상기 방충망(100)을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하단부에 존재하는 금속 스트립(13)에 자력에 의해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축부(13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석패드(110) 및 차량의 백미러(15)를 회피하여 감싸기 위한 백미러 회피부(135)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충망(100)은 상기 윈도우 프레임(14)과 상기 신축부(130)를 함께 감싸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밴드(150)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밴드(150)는 상기 자석패드(110)가 위치하는 방충망(110)의 하단부를 제외한 방충망(110)의 나머지 3면 모서리(상단부, 좌측부, 우측부)를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로부와 우측 세로부 및/또는 우측 세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150)는 그 단면이 대략 "U"자형이나 "V"자형으로 이루어져 방충망(100)의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1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윈도우 프레임(14)과 방충망(100)의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맞댄 상태로 상기 고정밴드(14)로 끼워서 감싸 고정할 수 있다. 보다 결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 3의 "B"와 같이 방충망(100)의 신축부(130)로 상기 윈도우 프레임(14)를 감싸서 걸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150)를 끼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밴드(150)는 연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부(120)는 바람이 통과될 수 있으면서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의 통과를 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메쉬(mesh)를 갖는 망사 형태이다. 상기 메쉬부(120)는 실리콘이나 방염처리된 유리섬유를 실처럼 가늘게 뽑아 메쉬를 형성하거나 메쉬(mesh)를 갖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철망 또는 다수의 공극을 갖는 차광 필름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신축부(130)는 상기 메쉬부(12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서 방충망(100)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높은 신축성(伸縮性 : elasticity)을 갖는 천이나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실리콘이나 고무)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신축부(130)는 스판 원단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충망(10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메쉬부(120)와 방충망(100)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상기 신축부(130)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부(120)는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사이즈 보다 같거나 작은 사이즈를 갖고, 그 모양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백미러 회피부(135)는 차량의 백미러(15)를 회피하여 감쌀 수 있도록 방충망(100)의 신축부(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을 세단(sedan)이나 SUV(sport utility vehicle) 차량의 운전석이나 조수석 도어(10)의 윈도우(12) 바깥쪽에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메쉬부(120), 신축부(130), 백미러 회피부(135) 및 자석패드(110)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과 연결부재(150)를 준비한다.
차량 도어(10)를 열고, 상기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의 자석패드(110)를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의 금속 스트립(13)에 자력에 의해 부착한다. 이렇게 방충망(100)의 하단부를 윈도우(12) 하단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메쉬부(120)를 윈도우(12)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시키고, 신축부(130)의 3면 모서리(상단부, 좌측부, 우측부)를 늘여서 신축부(130)의 일부를 윈도우 프레임(14)에 걸쳐서 감싼 후에 연결부재(150)를 끼워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방충망(100)이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에 안정적으로 결착된다. 이렇게, 방충망(100)이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바깥에 결합된 상태에서 윈도우(12)를 개방하면, 메쉬부(120)를 통해서 바람은 자유롭게 통과하지만,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은 차량 내부로의 침투가 저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이 차량 도어에 결합된 후의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의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은 백미러와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차량 뒷자석 도어의 윈도우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가하고,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의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은 백미러 회피부(135)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100)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완전히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세단 자동차나 SUV(sport utility vehicle)는 대형, 중형, 소형에 따라 도어 윈도우의 크기나 형태가 상이하고, 자동차 회사별 모델에 따라서도 그 윈도우의 크기와 형태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종래 차량용 방충망에서는 차량 윈도우 크기나 형태 또는 차량 모델에 따라 방충망을 그 크기와 형태에 부합하도록 다양한 모델을 제작하여야 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제작상 또는 공정상 로스(loss)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는 자신의 차량 모델이나 연식 또는 윈도우 사이즈 등을 일일히 확인하여 방충망을 구매해야만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은 메쉬부(120)를 둘러싸도록 탄성 재질의 신축부(130)를 배치함으로써 방충망의 크기와 형태를 자유자재로 늘이거나 줄여서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대표적인 몇가지 모델만으로도 모든 차량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은 종래의 차량용 방충망과 달리 방충망을 차량 윈도우에 결합시키는 방식을 자력과 기구 메카니즘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좀더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방충망을 차량 윈도우에 착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방충망, 110 : 자석패드, 120 : 메쉬부, 130 : 신축부, 135 : 백미러 회피부, 150 : 연결부재

Claims (8)

  1.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14)에 결착되어 모기나 파리와 같은 해충이 차량의 윈도우(12)를 통해 차량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기 위한 차량용 방충망으로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바람은 통과시키면서 상기 해충의 통과를 차단하기 위하여 촘촘한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메쉬부(120)와;
    상기 메쉬부(120)를 둘러싸면서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자유롭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는 높은 신축성(伸縮性 : elasticity)을 갖는 천이나 직물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부(130)와;
    상기 차량 도어(10)의 윈도우(12) 하단부에 존재하는 금속 스트립(13)에 자력에 의해 착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축부(13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자석패드(110); 및
    상기 신축부(130)의 상단부와 좌,우측부를 상기 윈도우 프레임(14)에 바인딩(binding)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그 단면이 "U"자형이나 "V"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 상태에서 차량 도어(10)의 윈도우 프레임(14)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밴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50)는, 상기 자석패드(110)가 위치하는 방충망(110)의 하단부를 제외한 방충망(110)의 나머지 3면 모서리를 차량 도어의 윈도우 프레임(14)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로부와 세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130)로 상기 윈도우 프레임(14)를 감싸서 걸친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150)를 끼워서 감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프레임(14)과 상기 신축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맞댄 상태로 상기 고정밴드(150)를 끼워서 감싸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150)는 유연성을 갖는 연성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차량의 백미러(15)를 회피하여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신축부(12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백미러 회피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KR2020200000940U 2020-03-18 2020-03-18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KR200494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40U KR200494849Y1 (ko) 2020-03-18 2020-03-18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40U KR200494849Y1 (ko) 2020-03-18 2020-03-18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46U KR20210002146U (ko) 2021-09-28
KR200494849Y1 true KR200494849Y1 (ko) 2022-01-07

Family

ID=779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40U KR200494849Y1 (ko) 2020-03-18 2020-03-18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4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47Y1 (ko) 2002-07-25 2002-10-12 김웅규 자동차용 모기장
KR100428746B1 (ko) * 2003-07-31 2004-04-28 최행순 자동차용 착탈식 방충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025U (ko) * 1993-08-25 1995-03-20 이옥기 방충망이 부설된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KR200292465Y1 (ko) 2002-05-30 2002-10-25 이종민 고무자석을 이용한 자동차용 방충망
KR200370970Y1 (ko) 2004-09-13 2004-12-23 전경운 차량용 방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547Y1 (ko) 2002-07-25 2002-10-12 김웅규 자동차용 모기장
KR100428746B1 (ko) * 2003-07-31 2004-04-28 최행순 자동차용 착탈식 방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46U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524A (en) Discreet motor vehicle window shade
KR200494849Y1 (ko) 유니버셜 차량용 방충망
US200900456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n Shield Device
KR0133376Y1 (ko) 자동차의 방충망 겸용 햇빛가리개
KR200433475Y1 (ko) 대형 차량용 방충망
CN209719220U (zh) 一种卡接式车窗防虫网
JPH07502237A (ja) 日除けアセンブリ
WO2002096687A1 (en) Cover for vehicle door window
JP2752604B2 (ja) 自動車用シェード
KR200280288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20090012369U (ko) 자동차용 차단막
KR200262890Y1 (ko) 방충, 차광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커버
KR100446355B1 (ko) 레저용 차량커버
KR200166295Y1 (ko) 승용차용 차양장치
KR200226193Y1 (ko) 자동차용 다기능 차광막
KR20210002549U (ko) 방충겸용 차량 차양막장치
JP2008137560A (ja) 車両用網戸
KR20100010728U (ko) 자동차 방충망용 햇빛가리개
CN114714866A (zh) 一种遮阳隐私多功能汽车窗帘
KR200284082Y1 (ko) 차량용 햇빛가리개
KR200302547Y1 (ko) 자동차용 윈도우커버
JPH0986186A (ja) フロントガラス用簡易カバー
KR20230076378A (ko) 자동차용 햇빛 가리개
KR200176526Y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보호용 커버
KR200402697Y1 (ko) 차량용 차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