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909Y1 -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3909Y1 KR200493909Y1 KR2020190003921U KR20190003921U KR200493909Y1 KR 200493909 Y1 KR200493909 Y1 KR 200493909Y1 KR 2020190003921 U KR2020190003921 U KR 2020190003921U KR 20190003921 U KR20190003921 U KR 20190003921U KR 200493909 Y1 KR200493909 Y1 KR 2004939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vertical
- folding type
- state
- lower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stor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62B2204/02—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comprising a heat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와 작업자재의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작업대로서도 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로서, 별도의 작업대 설치가 어려운 현장에서 그 현장에 필요한 작업 관련 공구와 자재를 운반한 후 그대로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 그 공구와 자재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장의 조립제품들을 거치한 상태로 조립 작업할 수 있는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에 관한 기술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패널을 기준으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상호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할 때 수직프레임의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공구와 작업자재의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함과 아울러 작업대로서도 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별도의 작업대 설치가 어려운 현장에서 그 현장에 필요한 작업 관련 공구와 자재를 운반한 후 그대로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 그 공구와 자재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현장의 조립제품들을 거치한 상태로 조립 작업할 수 있는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에 관한 기술이다.
건물의 뼈대를 건축하고 나면 그 건물 뼈대의 내부에서는 전기배선, 콘크리트 몰딩, 배관 공사, 붙박이형 냉난방기 설치, 페인트 작업 등의 실내 작업이 건물의 완공전에 후처리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건물의 규모가 큰 경우 그 건물 내부에서의 실내 작업을 살펴 보면 소단위의 여러 업체가 뒤섞인 상태에서 건물 내부의 여기저기 공간을 이동하면서 각자의 작업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건물의 규모가 큰 경우에도 실내 작업을 하는 소단위의 각 업체는 개별적으로 자신들이 담당하는 영역에 대해 작업을 하게 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같은 공간에 서로 섞여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공구를 분실하게 되거나 자재가 다른 업체의 것과 섞여 불협화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러 업체가 같은 공간에서 일하는 경우나 건물 내부의 여러 공간을 이동하면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건물 내부에는 별도의 작업대를 설치하기가 마땅치 않다는 문제도 있다.
그 결과, 건물 내부의 바닥면에 합판을 깔고 예컨대 냉난방기 제품의 조립작업이나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물질이 그 제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변을 정리해야 하는 등의 부대작업도 작업능률을 떨어뜨리는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소단위의 업체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자신들이 담당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무거운 중량의 자재(예: 시멘트, 석고)도 소단위로 각각 개별적으로 운반하고 관리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자재나 공구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한 상태에서 그대로 보관이 가능하고 바닥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전자제품의 조립 작업이나 배선 작업도 가능한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재나 공구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한 상태에서 그대로 보관이 가능하고 바닥면과 이격된 위치에서 전자제품의 조립 작업이나 배선 작업도 가능한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대에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할 때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는 수평으로 넓게 배치된 사각형 타입의 하부패널(110); 하부패널의 측벽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짐에 따라 하부패널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상부에서 각각의 수직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부패널과 협동으로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30); 하부패널의 하면과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중 복수의 위치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140); 하부패널의 일측부에 폴딩과 확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확장된 상태에서는 하부패널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하부패널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이 확장된 상태에서의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의 하면 중 복수의 위치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이동바퀴와 함께 지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바퀴(220);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에 대향하는 하부패널의 타측부에서 그 타측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이하, '거치프레임'이라 함)에 자신의 일측부가 폴딩과 확장 가능하게 연결되며 확장된 상태에서는 하부패널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거치프레임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거치프레임과 들뜬 상태로 수평되게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가이드바(241); 거치프레임에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 상부에 그 수평프레임과 들뜬 상태로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가이드바(2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패널의 상면에 박스 형태로 장착되는 적재하우징(250); 적재하우징의 바닥면과 내벽 중 하나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팅되는 난방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하부패널을 기준으로 양측부에 접이식의 상방폴딩형 적재패널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자재나 공구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이 간편하고 이동한 상태에서 다른 자재와 섞이지 않도록 그대로 보관이 가능하며 자재와 공구를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컨대 냉난방기 제품의 조립작업도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패널을 기준으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상호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무거운 하중의 물건을 올려놓고 작업할 때 수직프레임의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패널의 상부에 복수의 가이드바를 구비함으로써 자재와 공구를 적재한 상태에서 적은 힘을 들이고도 방향 전환이나 장소 이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패널의 상부에서 내벽에 난방시트가 형성된 적재하우징을 구비함에 따라 겨울철에도 페인트통 내의 페인트가 얼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에 자재를 적재하고 하부패널에 공구함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의 자재를 하역한 후 그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하고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에서 작업대 자체가 넘어지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5]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4]에서 수평프레임과 제 1,2 가이드바 사이를 통해 파이프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에 자재를 적재하고 하부패널에 공구함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5]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의 자재를 하역한 후 그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하고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에서 작업대 자체가 넘어지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5]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4]에서 수평프레임과 제 1,2 가이드바 사이를 통해 파이프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하부패널(110), 수직프레임(120), 수평프레임(130), 이동바퀴(140),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 보조바퀴(220),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패널(1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수평으로 넓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 타입으로 이루어지고 네 모서리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120)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프레임(12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패널(110)의 측벽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짐에 따라 하부패널(110)을 수평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수평프레임(13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 상부에서 각각의 수직프레임(120) 상호 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하부패널(110)과 협동으로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을 세워진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동바퀴(14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패널(110)의 하면과 수직프레임(120)의 하단부 중 복수의 위치에 복수 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개의 이동바퀴(140)는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하부패널(110), 수직프레임(120), 수평프레임(130)을 지탱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하부패널(110), 수직프레임(120), 수평프레임(130)을 일체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이동바퀴(140)는 바람직하게는 하부패널(110)의 상면에 무거운 하중의 공구함 등이 적재된 경우에도 이를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의 바퀴가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하부패널(110)의 일측부에 폴딩과 확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하부패널(110)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하부패널(110)을 기준으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이 [도 4]에서와 같이 폴딩되는 경우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의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부재(미도시)와 수평프레임(130)에 인접하는 위치의 걸림부재(미도시)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호 걸림에 따라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의 폴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보조바퀴(2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이 확장된 상태에서의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의 하면 중 복수의 위치에 연결되며 복수 개의 이동바퀴(140)와 함께 지면에 맞닿도록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 개의 보조바퀴(220)는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복수 개의 이동바퀴(140)와 협동으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 하부패널(110), 수직프레임(120), 수평프레임(130)을 지탱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 하부패널(110), 수직프레임(120), 수평프레임(130)을 일체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보조바퀴(220)는 바람직하게는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의 상면에 무거운 하중의 자재 등이 적재된 경우에도 이를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의 바퀴가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에 대향하는 하부패널(110)의 타측부에서 그 타측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130; 이하, '거치프레임'이라 함)에 자신의 일측부가 폴딩과 확장 가능하게 연결되며 확장된 상태에서는 하부패널(110)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거치프레임(131)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여기서, 거치프레임(131)은 복수의 수평프레임(130) 중 하나를 나타낸다. 즉,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이 연결되는 하나의 수평프레임(130)을 별도로 거치프레임(131)이라고 이름붙였기 때문에 수평프레임(130)은 거치프레임(131)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이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에 인접하는 수직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지지부재(270)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수직프레임(120)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전함에 따라 자신의 타단부가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의 하부에 걸쳐진 상태로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을 지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이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폴딩된 상태에서는 그 지지부재(270)는 수직프레임(120)을 회동축으로 하여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 자신의 타단부가 아래를 향해 매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프레임(120)에 대한 지지부재(270)의 회전 동작은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부재(270)의 회동 조작에 따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에 대한 [도 2]의 확장 동작 및 [도 3]의 폴딩 동작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가이드바(241)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거치프레임(131)의 상부에 거치프레임(131)과 들뜬 상태로 수평되게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바(242)도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거치프레임(131)에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130) 상부에 그 수평프레임(130)과 들뜬 상태로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양손으로 제 1 가이드바(241)와 제 2 가이드바(242)를 각각 그립한 상태에서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전후진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본 고안의 작업대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양손으로 제 1 가이드바(241)와 제 2 가이드바(242)를 각각 그립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간편하게 방향 전환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에 자재를 적재하고 하부패널에 공구함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의 상면에 무거운 하중의 자재들을 적재하고 하부패널(110)에도 공구함 등의 물건을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 1,2 가이드바(241, 242)를 그립한 상태로 밀거나 당기면서 장소를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제 1,2 가이드바(241, 242)를 그립한 상태에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5]에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의 자재를 하역한 후 그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을 폴딩하고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에서 작업대 자체가 넘어지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에 물건을 적재하지 않고 그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을 상방향으로 폴딩하거나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확장된 상태의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에 조립 작업을 위해 전자제품(예: 에어컨)을 올려놓는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넘어질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도 7]에서와 같이 하부패널(110)을 기준으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 간에 무게 배분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도 5]에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을 확장한 후 그 하방폴딩형 작업패널의 상면에 조립용 제품을 올린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공구함 등을 적재하는 하부패널(110)을 기준으로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이 상호 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에 무거운 하중의 자재 등을 적재한 상태에서 그대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을 확장한 상태로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의 상면에 조립 작업 등의 세팅을 위해 무거운 전자제품(예: 에어컨)을 올려 놓는 경우에도 작업대가 넘어지지 않고 [도 7]에서와 같이 현재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4]에서 수평프레임과 제 1,2 가이드바 사이를 통해 파이프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작업대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제 1,2 가이드바(241, 242)와 수평프레임(130) 사이에 대응하는 공간으로 길이가 긴 파이프(P) 등의 자재를 끼워넣은 상태로 그 수평프레임(130)에 거치시킴으로써 해당 파이프(P) 등의 자재를 바닥면의 이물질로부터 분리시킴과 아울러 다른 업체의 자재와 구분시킬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작업대를 복수 개 나란히 배치하게 되면 [도 8]의 경우보다 더 긴 파이프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적재하우징(250)과 난방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재하우징(250)은 [도 9]에서와 같이 하부패널(110)의 상면에 박스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을 지지 기둥으로 하는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난방시트는 적재하우징(250)의 바닥면과 내벽 중 하나이상의 위치에 부착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팅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 적재하우징(250)의 내부에 [도 9]에서와 같이 페인트통을 넣어둔 상태로 난방시트를 동작시키면 겨울철에도 그 페인트통 내의 페인트를 얼지 않는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적재하우징(250) 상부의 양측부에는 제 1,2 가이드바(241, 242)와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레일(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그 슬라이딩 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는 마감패널(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적재하우징(25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패널(110)과 적재하우징(250)의 규격을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과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을 잇는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 10]에서와 같이 제 1 가이드바(241)와 제 2 가이드바(242)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제 3 가이드바(243)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제 3 가이드바(243)에 연결된 상태로 그 제 3 가이드바(243)를 지지하는 별도의 수직프레임(120)도 더 구비할 수 있다.
110 : 하부패널
120 : 수직프레임
130 : 수평프레임
131 : 거치프레임
140 : 이동바퀴
210 : 상방폴딩형 적재패널
220 : 보조바퀴
230 : 하방폴딩형 작업패널
241 : 제 1 가이드바
242 : 제 2 가이드바
243 : 제 3 가이드바
250 : 적재하우징
270 : 지지부재
P : 파이프
120 : 수직프레임
130 : 수평프레임
131 : 거치프레임
140 : 이동바퀴
210 : 상방폴딩형 적재패널
220 : 보조바퀴
230 : 하방폴딩형 작업패널
241 : 제 1 가이드바
242 : 제 2 가이드바
243 : 제 3 가이드바
250 : 적재하우징
270 : 지지부재
P : 파이프
Claims (3)
- 수평으로 넓게 배치되며 그 수평면상에서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길이가 서로 다른 사각형 타입의 하부패널(110);
상기 하부패널의 측벽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세워짐에 따라 상기 하부패널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20);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상부에서 각각의 상기 수직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하는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상기 하부패널과 협동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30);
상기 하부패널의 하면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중 복수의 위치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바퀴(140);
상기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 중 상대적으로 긴 쪽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패널의 일측부에 폴딩과 확장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확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패널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패널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상방폴딩형 적재패널(210);
상기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이 확장된 상태에서의 상기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의 하면 중 복수의 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이동바퀴와 함께 지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바퀴(220);
상기 상방폴딩형 적재패널에 대향하는 상기 하부패널의 타측부에서 그 타측부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수평프레임(이하, '거치프레임'이라 함)에 대해 상기 거치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신의 일측부가 폴딩과 확장 가능하게 연결되며 확장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패널과 함께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거치프레임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하방폴딩형 작업패널(230);
상기 거치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거치프레임과 들뜬 상태로 수평되게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가이드바(241);
상기 거치프레임에 대향하는 위치의 수평프레임 상부에 그 수평프레임과 들뜬 상태로 배치되고 자신의 양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 중 자신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제 2 가이드바(242);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을 지지 기둥으로 하여 상기 하부패널의 상면에 박스 형태로 장착되는 적재하우징(250);
상기 적재하우징의 바닥면과 내벽 중 하나이상의 위치에 부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팅되는 난방시트;
상기 적재하우징 상부의 양측부에 상기 제 1 가이드바와 상기 제 2 가이드바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적재하우징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마감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921U KR200493909Y1 (ko) | 2019-09-25 | 2019-09-25 |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921U KR200493909Y1 (ko) | 2019-09-25 | 2019-09-25 |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739U KR20210000739U (ko) | 2021-04-02 |
KR200493909Y1 true KR200493909Y1 (ko) | 2021-06-25 |
Family
ID=7546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921U KR200493909Y1 (ko) | 2019-09-25 | 2019-09-25 |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909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606Y1 (ko) * | 2006-04-28 | 2006-09-19 | 주식회사 대신종합주방기구 | 접시 운반카 |
JP2016088193A (ja) * | 2014-10-31 | 2016-05-23 | 株式会社松永製作所 | 運搬車及びフレーム構造 |
US20190092363A1 (en) * | 2017-09-26 | 2019-03-28 | Radio Flyer Inc. | Folding trailer for a wag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8316U (ko) * | 1999-03-17 | 2000-10-16 | 유현상 | 가두판매용 손수레 |
-
2019
- 2019-09-25 KR KR2020190003921U patent/KR20049390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6606Y1 (ko) * | 2006-04-28 | 2006-09-19 | 주식회사 대신종합주방기구 | 접시 운반카 |
JP2016088193A (ja) * | 2014-10-31 | 2016-05-23 | 株式会社松永製作所 | 運搬車及びフレーム構造 |
US20190092363A1 (en) * | 2017-09-26 | 2019-03-28 | Radio Flyer Inc. | Folding trailer for a wag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739U (ko) | 2021-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92481A1 (en) | Prefabricated container house | |
KR102171757B1 (ko) | 수직 승강식 작업대 | |
CA2704886C (en) | Mobile service station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same | |
US7114733B2 (en) | Mobile work and supply station with crane eyelets and blueprint desk | |
WO2008017836A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allast boxes | |
KR200493909Y1 (ko) | 이동식 적재함 겸용 작업대 | |
WO2006116819A1 (en) | Portable workshop | |
CA2668434A1 (en) | Portable work table | |
JP6367629B2 (ja) | 折り畳み式組立家屋 | |
KR102268567B1 (ko) | 확장형 파렛트 | |
JP3200670U (ja) | 簡易設置用フェンス | |
US20050236788A1 (en) | Combination tool box and dolly | |
US9200463B2 (en) | Modular multipurpose platform and hardware | |
ITMO20060356A1 (it) | Cassone per trasporto e magazzino di apparecchiature elettriche od elettroniche da demolire | |
CN110273563A (zh) | 一种建筑施工用多功能集装箱 | |
CN206125254U (zh) | 可折叠快递运输箱 | |
JP4469483B2 (ja) | 折り畳み式足場台および該足場台を連結してなる足場 | |
JPS6326520Y2 (ko) | ||
KR101706348B1 (ko) | 다목적 보관용 적재기 | |
KR102360830B1 (ko) | 이동조작이 가능한 고공 작업대 | |
US20050167237A1 (en) | Bulkhead-mounted wood storage and transportation device | |
KR102360825B1 (ko) | 조립식 고공 작업대 | |
JP2572910B2 (ja) | 住宅ユニットの供給方法および積替装置 | |
JPH08901Y2 (ja) | 可倒式パレット | |
JPH042087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