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64Y1 -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64Y1
KR200493864Y1 KR2020200003892U KR20200003892U KR200493864Y1 KR 200493864 Y1 KR200493864 Y1 KR 200493864Y1 KR 2020200003892 U KR2020200003892 U KR 2020200003892U KR 20200003892 U KR20200003892 U KR 20200003892U KR 200493864 Y1 KR200493864 Y1 KR 200493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removal tool
pouring
present
block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현
Original Assignee
윤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현 filed Critical 윤준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에 배치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에 탈거도구에 감싸여지는 탈거가이드가 형성된 차단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설막이{BLOCKING BOARD}
본 고안은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할 때 사용되며, 건축물의 기초바닥부, 슬라브, 블록 등을 형성한 이후에 노루발 지레나 핀 형태 탈거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초바닥부, 넓은 슬라브, 블럭 등을 구축하는 작업은 한번에 모든 면적이나 모든 크기의 구역이 타설될 수 없으므로 하루 작업할 수 있는 타설면적을 설정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나머지 면적은 차후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한 번에 작업할 타설면적을 나누고 그 나누어진 구역 내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그 구역의 경계부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프레임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에 머리부를 가진 차단봉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은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 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축물의 기초바닥부, 넓은 슬라브, 블럭을 형성한 이후에는 타설막이를 탈거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차단프레임 및 차단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차단봉의 상측을 동시에 덮도록 양생되면 차단프레임에서 차단봉을 탈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탈거 작업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초바닥부, 넓은 슬라브, 블럭을 형성한 이후 작업장에 위치한 노루발 지레나 핀 형태의 도구를 이용하여 차단프레임에서 차단봉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3167호(2017.09.22.)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 슬라브, 블록 등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막을 형성하며, 차단막을 완료한 이후에 노루발 지레나 핀 형태의 탈거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타설막이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에 배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에 탈거도구에 감싸여지는 탈거가이드가 형성된 차단봉;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가이드는, 상기 차단봉 상에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탈거도구가 접촉되는 한 쌍의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상단에 각각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탈거도구가 작동 시 지지되게 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함몰부의 상단과 접하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함몰부에는 서로 연결되며 핀 형태의 탈거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타설막이에 의하면,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 슬라브, 블록 등을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막을 형성하며, 차단막을 완료한 이후에 노루발 지레나 핀 형태의 탈거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노루발 지레 타입의 탈거도구로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핀 타입의 탈거도구로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타설막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노루발 지레 타입의 탈거도구로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에 적용된 차단봉을 핀 타입의 탈거도구로 탈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1)는,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나 몰탈의 차단막을 형성하며, 차단막 완료 후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거나 해제할 있는 제품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1)는 차단부(10), 차단봉(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10)는 분할 타설될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영역의 수직방향에서 차단막을 형성하는 차단판(11), 차단판(11)의 상,하단부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직각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1 스커트(12) 및 제2 스커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판(11)과 제1 스커트(12)와 제2 스커트(13)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스커트(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1 고정홀(12a)들이 형성된다.
제2 스커트(1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 고정홀(13a)들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홀(12a)과 제2 고정홀(13a)들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대향된다.
따라서, 각각의 차단봉(20)은 상측 부분이 제1 고정홀(12a)과 제2 고정홀(13a)에 고정된다.
이때, 각 제1 고정홀(12a)과 제2 고정홀(13a)들의 간격은 인접하는 차단봉(20)들이 서로 최대한 밀착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된다.
차단봉(20)은 다수개로 적용되며, 그 상측부분이 서로 수직선상에 위치되는 제1 고정홀(12a)과 제2 고정홀(13a)에 각각 공동으로 고정된다.
차단봉(20)은 고정홀(12a,13a)에 각각 고정됨에 따라 연쇄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이루어 연속 벽체를 형성함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 시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을 수 있는 차단막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봉(20)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형봉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해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금속과 같이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차단봉(20)은 다수개가 차단부(10)에 서로 이격 또는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철근(미도시)이 관통 시 탄성 변형되어 벌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봉(20)의 외면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될 경우, 타설막이(1)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PVC와 같은 재질로 피복처리 될 수 있다.
한편, 건축물의 기초 바닥판이나 슬라브를 형성한 이후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1)를 탈거하여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제1 스커트(12)의 상면과 차단봉(20)의 상측을 동시에 덮도록 양생되면 차단부(10)에서 차단봉(20)을 탈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차단봉(20)에는 작업자가 차단부(1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탈거가이드(21)가 형성된다.
탈거가이드(21)는 차단봉(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1 스커트(12)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즉, 탈거가이드(21)는 차단봉(20) 중 제1 스커트(12)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영역(20a)과 상단(20b)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탈거가이드(21)는 함몰부(211),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211)는 차단봉(20)의 상측 양면을 프레싱하여 함몰함으로써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함몰부(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거도구(30a)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탈거도구(30a)는 노루발 지레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함몰부(211)의 양면에 노루발 지레의 끝단에 구비된 한 쌍의 노루발에 각각 접촉된다.
지지부(212)는 함몰부(211)의 상단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부(212)는 탈거도구(30a)가 작동시 노루발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몰부(211)의 상단과 접하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콘크리트가 제1 스커트(12)와 차단봉(20)의 돌출영역(20a)을 동시에 덮는 형태로 타설되어 양생된 경우라도, 노루발 지레의 노루발로 함몰부(211)의 양측면을 감싼 다음, 노루발 지레의 하측을 제1 스커트(12)나 근처에 양생된 콘크리트에 지지 시킨 후, 노루발 지레의 상측 부분을 잡고 지렛대 원리로 반복적으로 올렸다 내리면 노루발이 지지부(212)에 반복적으로 상승력을 전달함으로써, 차단봉(20)을 제1 스커트(12)의 상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물론, 노루발 지레의 노루발로 함몰부(211)의 양측면을 감싼 다음 노루발 지레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양생된 콘크리트를 파괴한 후 차단부(10)에서 차단봉(20)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함몰부(211)에는 서로 연결되는 삽입홀(211a)이 형성된다.
삽입홀(211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의 탈거도구(30b)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홀(211a)에 핀 형태의 탈거도구(30b)를 삽입한 다음, 탈거도구(30a)의 상측 부분을 잡고 지렛대 원리로 반복적으로 올렸다 내려서 차단봉(20)을 제1 스커트(12)의 상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물론, 핀 형태의 탈거도구(30b)를 삽입홀(211a)에 삽입한 다음, 핀 형태의 탈거도구(30b)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양생된 콘크리트를 파괴한 후 차단부(10)에서 차단봉(20)을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설막이(1)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제1 스커트(12)의 상면과 차단봉(20)의 상측을 동시에 덮도록 양생되더라도, 탈거가이드(21)를 통해 차단부(10)에서 차단봉(20)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으며, 노루발 지레 또는 핀 형태의 탈거도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타설막이 10 : 차단부
11 : 차단판 12 : 제1 스커트
12a : 제1 고정홀 13 : 제2 스커트
13a : 제2 고정홀 20 : 차단봉
20a : 돌출영역 20b : 상단
21 : 탈거가이드 211 : 함몰부
211a : 삽입홀 212 : 지지부
30a, 30b : 탈거도구

Claims (4)

  1. 콘크리트의 타설 영역에 배치되는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차단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단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부에 탈거도구에 감싸여지는 탈거가이드가 형성된 차단봉;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가이드는,
    상기 차단봉 상에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탈거도구가 접촉되는 한 쌍의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상단에 각각 경사지게 연결되며 상기 탈거도구가 작동 시 지지되게 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함몰부의 상단과 접하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형성되는 타설막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에는 서로 연결되며 핀 형태의 탈거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타설막이.
  4. 삭제
KR2020200003892U 2020-09-10 2020-10-29 타설막이 KR2004938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3307 2020-09-10
KR2020200003307 2020-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864Y1 true KR200493864Y1 (ko) 2021-06-17

Family

ID=7660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892U KR200493864Y1 (ko) 2020-09-10 2020-10-29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6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42B1 (ko) *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068443A (ko) * 2018-12-05 2020-06-15 김기헌 차단봉 이탈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942B1 (ko) *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068443A (ko) * 2018-12-05 2020-06-15 김기헌 차단봉 이탈방지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5465B2 (ja) ラス型枠パネルと該パネルを用いた型枠
KR200493864Y1 (ko) 타설막이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JP2010094914A (ja) 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用型枠およびその型枠を用いた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2018087475A (ja) コンクリート鉛直打継目用の型枠資材
KR101602155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바닥 형성용 데크구조체
JP2004285583A (ja) 現場打ち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施工法
JP6693115B2 (ja) 地下工法
JP2005282010A (ja) コンクリートボイドスラブ
KR200494539Y1 (ko) 타설막이
JP6854689B2 (ja) 繊維補強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及び境界部材
JP2644366B2 (ja) 菱目床構築用型枠及び菱目床の構築方法
CN112523243A (zh) 沉箱模板
JP690340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打継方法
KR102390723B1 (ko) 담장 및 경관 조성을 위한 옹벽 블록 제조방법
KR200394572Y1 (ko) 반구형 철근 스페이셔
JP4048516B2 (ja) 吹き付け法枠工法、及び吹き付け法枠、及び支圧部材
CN218643371U (zh) 一种用于边坡防护骨架拦水沿混凝土浇筑施工的模板
CN212001877U (zh) 一种预制件生产用免拆模模块及包含该模块的预制件
CN209971050U (zh) 一种用于成型桩的模具的顶模架
KR102003204B1 (ko) 잔교 시공 방법
EP18788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elongate foundation element, and foundation element obtained therewith
KR20110006970U (ko) 목판과 스틸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JP3782078B2 (ja) 可撓性多ブロックマットの製造法
FR2604114A1 (fr) Procede et appareillage pour la realisation d'elements prefabriques en beton arme, dans la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