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83Y1 -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 Google Patents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83Y1
KR200493683Y1 KR2020200000461U KR20200000461U KR200493683Y1 KR 200493683 Y1 KR200493683 Y1 KR 200493683Y1 KR 2020200000461 U KR2020200000461 U KR 2020200000461U KR 20200000461 U KR20200000461 U KR 20200000461U KR 200493683 Y1 KR200493683 Y1 KR 200493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lugs
counter weight
crane
p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06U (ko
Inventor
유길용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8000234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03016U/ko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8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의 연와를 이동시키기 위해 쇠사슬과 연와 견인용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연와와 본 고안을 연결시킨다. 와이어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크레인과 연결시켜 상기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이동시킨다.
본 고안은 크레인의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공장 내 크레인은 작업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상기 연와의 설치위치가 크레인 작업범위 밖에 존재하게 된다면, 크레인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본 고안의 몸체 길이만큼 크레인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 연와의 견인을 위한 것이다.
전기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로 고철을 용해하는 노로써 금속의 정련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전기로는 아크열 또는 그 복사열로 고철을 용해하면서 내부에 산소를 투입하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제조한다.
상기 전기로에서 용강이 용해 완료되면, 전기로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출강구를 통하여 래들로 수강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출강구에는 용강의 출강 시 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화물로 제조된 연와가 장착된다.
상기한 연와는 용강을 생산하고 배출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마모되고 용손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이후에는 내화부재로서 수명이 다하여 교체되어야 한다.
교체과정에서 연와의 무게로 인해 크레인을 통해 이동시킨다.
이동과정에서 연와가 설치될 전기로 출강구의 위치가 크레인의 이동경로와 가깝다면 1개의 크레인을 통해 상기 연와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전기로 출강구의 위치가 크레인의 이동경로와 떨어져 있다면, 떨어진 거리를 메울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
크레인의 작업범위 밖에 있는 위치로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옮겨야 할 경우에, 본 고안은 크레인의 넓어진 작업범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그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견인목적물을 견인시키기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러그와 견인목적물과의 무게중심을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가 제공된다.
여기서, 러그와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을 위해 상기 몸체부가 H빔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러그는 견인목적물의 견인을 위해 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몸체부와의 부착을 위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밑면에 러그보다 높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크레인의 정해진 작업범위 밖으로 연와를 이동시킴으로써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견인중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써,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100)가 연와(12)를 견인중인 모습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구조적인 측면은 후술한다.
전기로 출강구 연와(12)의 견인을 위해 상기 연와(12)에 견인을 위한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견인용 프레임(15)의 일면은 4개의 바를 포함한다. 평행한 2개의 바를 다른 2개의 바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형태이다. 견인용 프레임(15)의 양측면과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른면을 포함하는 세개의 면은 전술한 것과 같이 사다리형태를 이루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의 남은 일면은 빈 공간을 이룬다. 덧붙여, 빈 공간을 나타내는 상기 남은 일면은 상기 도 1에서 본 고안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의 양측면의 상측부에는 러그(104)가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부에 위치하는 2개의 바 각각에 러그(104)가 2개씩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부에 총 4개의 러그(104)가 부착된다. 상기 상측부의 1개의 바에 러그(104) 2개를 연속으로 부착하되, 2개의 러그(104) 사이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둘 수 있다.
전기로 출강구 연와(12)에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하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 상의 상기 러그(104)에 쇠사슬(16)을 연결한다. 연결된 쇠사슬(16)은 상기 견인용 프레임(15)과 본 고안을 이어준다.
상기 연와(12)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으로부터 이어진 와이어(18)와 러그(104)를 이어서 상기 실시예를 크레인과 연결한다. 안정적인 견인을 위해 카운터 웨이트(108)가 존재하는 일면에 위치하는 8개의 러그(104) 중 6개의 러그(104)와 상기 와이어(18)를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연결한다.
연와(12)는 이동을 위해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하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 상의 러그(104)에 쇠사슬(16)을 연결한다. 연결된 상기 쇠사슬(16)을 본 고안의 받침대(106)가 존재하는 일면의 러그(104)에 연결시킨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받침대(106)가 존재하는 일면에 총 4개의 러그(104)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6)는 본 고안이 지면과 닿는 부분에 위치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대로 와이어(18)와 쇠사슬(16)을 통해 본 고안을 크레인과 연와(12)와 연결하여 상기 연와(12)를 이동시킨다. 연와(12)가 장착되어야 할 위치가 크레인 가동범위 밖에 있을 경우, 상기 도 1에 나타나듯이 본 고안의 길이만큼 상기 연와(12)를 크레인 가동범위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고안인 지그는 몸체부, 러그,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는 이동시키는 연와(12)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beam)이다. 몸체부는 이동목적물의 지지를 위해 강도가 높은 것이어야 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고안의 몸체부는 H빔이 될 수 있다. H빔은 빔들 중에 단면이 H모양을 띈 것으로 도 1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지그의 몸체부분에 해당된다.
상기 러그(104)는 본 고안을 견인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주로 고리형태로 본 고안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러그(104)는 빔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H빔의 바깥면에 러그(104)가 부착됨을 나타낸다.
상기 도 1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이 러그(104)를 6쌍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안의 카운터 웨이트(108)가 설치된 일면에 러그(104)가 4쌍이 부착되고, 받침대(106)가 설치된 다른면에 러그(104)가 2쌍 부착된다. 상기 일면에서 3등분되는 위치에 러그(104)가 1쌍씩 설치되고, 추가적으로 러그(104)의 1쌍은 도 2에 나타나듯이 연속하는 2쌍의 러그(104)들 사이에 설치하되 카운터 웨이트(108)가 없는 쪽에 설치한다. 받침대(106)가 설치된 다른면에 위치하는 러그(104) 2쌍은 카운터 웨이트(108)에서 먼 쪽에 설치한다. 상기 러그(104) 2쌍은 연와(12)와의 연결을 위함이다. 상기 연와(12)가 연결되어서 하중이 실리는 곳이기 때문에 무게중심 유지를 위해 카운터 웨이트(108)와 먼 곳에 상기 러그(104) 2쌍을 설치한다.
받침대(106)는 고안의 러그(104)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106)가 없다면 지그를 보관하기 위해 평평한 바닥에 놓았을 때, 러그(104)가 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러그(104)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대(106)를 본 고안이 지면과 닿게되는 부분에 설치한다. 도 2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대(106)는 카운터 웨이트(108)가 없는 일면에 설치된다.
받침대(106)는 러그(104)를 바닥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에, 도 4에서 도시한는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받침대(106)는 높이면에서 러그(104)보다 높아서 바닥면에 러그(104)보다 먼저 닿아야한다. 지그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지그가 지면과 닿는 면의 양 끝단과 가운데에 받침대(106) 1개씩, 총 3개의 받침대(106)를 설치한다. 도 2에 나타나는 실시예와 달리 카운터 웨이트(108)가 연와(12)와 쇠사슬(16)로 연결되는 다른면에 설치가 되어있다면, 도 2와 달리 상기 받침대(106)를 카운터 웨이트(108)의 반대쪽에 1개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카운터 웨이트(108)가 받침대(106)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받침대(106)의 일면은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몸체부가 H빔인 경우, H빔의 내측면 일면은 평평하고 또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내측면 일면과 동일한 형태로 평평하고 직사각형의 일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상기 받침대(106)를 상기 H빔에 부착시킬 수 있다.
카운터 웨이트(108)는 본 고안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고안의 끝부분에 전기로 출강구 연와(12)를 매달기 때문에, 본 고안의 연와(12)가 연결되는 상기 끝부분의 반대쪽 끝부분에 카운터 웨이트(108)를 설치하여 본 고안의 무게중심을 유지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도 1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카운터 웨이트(108)의 형태는 긴 직육면체 형태이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를 위에서 보면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지닌다는 것을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보면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몸체부가 H빔인 경우, H빔의 내측면 일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108)의 일면 역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가 H빔 내측면과 부착된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연와(12)와 쇠사슬(16)을 통해 연결되는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있다. 이와 달리,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연와(12)와 쇠사슬(16)을 통해 연결되는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 같이 지그의 몸체가 H빔인 경우,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H빔의 내측부 일면에 부착된다. 본 고안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도 4에 나타나듯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H빔 내측부 일면에 설치되고, 내측부 반대면에는 받침대(106)가 설치된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2 : 전기로 출강구 연와 15 : 견인용 프레임
16 : 쇠사슬 18 : 와이어
100 :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102 : 몸체부 104 : 러그
106 : 받침대 108 : 카운터 웨이트

Claims (3)

  1. 지그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견인목적물을 견인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러그와;
    견인목적물과의 무게중심을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견인목적물이 장착되는 견인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H빔이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제2부분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러그는,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 부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러그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4쌍의 러그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2쌍의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4쌍의 러그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 단부 및 중간부에 각 1쌍씩 위치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 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 사이에 1쌍이 위치하고,
    상기 2쌍의 러그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의 일면은 평행한 2개의 바를 다른 2개의 바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형태이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의 상기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 및 상기 일면과 타면을 이어주는 하면은 상기 일면과 같은 형태이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의 상기 몸체부와 마주보는 상면은 빈 공간이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과 상기 몸체부는, 상기 2쌍의 러그에 연결된 쇠사슬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견인목적물을 운반하는 크레인으로부터 이어진 와이어는, 상기 4쌍의 러그 중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러그를 제외한 3쌍의 러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견인목적물 견인 시 상기 몸체부의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카운터 웨이트 측에 상기 크레인이 위치하고, 상기 크레인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한된 가동범위를 갖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에 상기 견인목적물이 위치하여,
    상기 견인목적물이 상기 크레인의 가동범위 밖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제2부분과의 부착을 위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밑면에 러그보다 높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KR2020200000461U 2018-05-30 2020-02-1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KR200493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ko) 2018-05-30 2020-02-1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44U KR20190003016U (ko) 2018-05-30 2018-05-3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ko) 2018-05-30 2020-02-1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44U Division KR20190003016U (ko) 2018-05-30 2018-05-3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6U KR20200000406U (ko) 2020-02-19
KR200493683Y1 true KR200493683Y1 (ko) 2021-05-18

Family

ID=6963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ko) 2018-05-30 2020-02-10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7093B (zh) * 2021-11-16 2024-02-20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电炉更换出钢孔的专用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2104A (ja)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不整型体用の吊治具とその吊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874U (ja) * 1983-05-10 1984-11-26 日立造船株式会社 バランスビ−ム
KR200196316Y1 (ko) * 1996-09-24 2000-10-02 이구택 롤 교환시 롤교환용 지그의 중심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2104A (ja)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不整型体用の吊治具とその吊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6U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3683Y1 (ko)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CN211112077U (zh) 一种有效提高废钢装入效率的废钢斗
KR101235614B1 (ko) 래들 리프팅 장치
KR20190003016U (ko)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KR101510262B1 (ko) 운송장치
KR100885949B1 (ko) 용강래들 탑재용 가변형 수강대차
CN211645306U (zh) 转炉挡渣板及转炉
CN211110638U (zh) 一种八机八流连铸机中间罐吊具
KR101243130B1 (ko) 이탈 방지용 경동고리
CN210260959U (zh) 一种稳固的起吊设备
CN208665224U (zh) 一种适用于防爆箱盖板或者门板的存放移动小车
CN217497282U (zh) 一种用于铅合金渣装运的装渣盒
CN210756677U (zh) 一种便于倾倒的铁屑箱
KR20110103150A (ko) 턴디쉬 구조체
CN219637274U (zh) 用于行星架的热处理工装
JP6672550B2 (ja) タンディッシュカー
CN212024568U (zh) 一种钢管束生产线悬挂结构
CN210340962U (zh) 高碳铬铁合金冶炼用渣料用渣罐
CN209536866U (zh) 一种建筑钢构的传送架
US2462260A (en) Hot top blocking
CN212101598U (zh) 一种钢水罐的倾翻装置
CN212864830U (zh) 一种转炉炉底
CN211626104U (zh) 一种匹配复合吹炼技术的电弧炉盖体升降装置
CN209636258U (zh) 一种渣罐轴台裂纹的防护结构
CN218319023U (zh) 一种废钢运输车车体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