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321Y1 - 건축물 내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 내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321Y1
KR200493321Y1 KR2020190002018U KR20190002018U KR200493321Y1 KR 200493321 Y1 KR200493321 Y1 KR 200493321Y1 KR 2020190002018 U KR2020190002018 U KR 2020190002018U KR 20190002018 U KR20190002018 U KR 20190002018U KR 200493321 Y1 KR200493321 Y1 KR 200493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anel
wall
extensions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571U (ko
Inventor
변성철
Original Assignee
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성철 filed Critical 변성철
Priority to KR202019000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2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5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내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판넬을 연속연결하며 건축물의 설치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것이되, 상호간 연결을 위해 판넬의 테두리에 다수번 절곡되는 제 1, 2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다수번의 절곡으로 인해 방수효과는 물론, 상호간 고정하기 위한 고정피스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한 건축물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내외장재{Panel for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본 고안은 건물의 내외장재로 사용하기 위한 판넬의 테두리를 다수번 절곡하여, 판넬 다수개가 상호간 용이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피스 또한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한 건축물의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된지 약 10년이 지나면 열화가 진행되어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바, 이런 열화를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건물 내부마저도 손상을 입게되어 건물자체의 수명이 단축되며, 특히 노후된 타일 등의 외벽이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노후된 건물의 외벽을 개보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내외장재를 사용한 여러 가지 시공법이 제안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요구되는 성능의 특색은 제어기능으로서 벽면에 내충격성과 화재에 대한 안전성, 존속기능으로서 거주성, 쾌적성 그리고 작용기능으로서 내구성, 마감의 용이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내외장재는 대표적으로 금속계와 비금속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금속계 내외장재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계 금속 그리고 동(銅)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계 내외장재는 다양한 색상과 미려한 외관을 이루어 노후된 건물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고, 개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일 수 있도록 시공이 간편하며, 경량이기 때문에 건물에 하중부담이 없다.
그러나, 종래에는 내외장재의 경우, 상호간을 연속배열하여 고정할 시, 다수의 내외장재를 연결하고 있는 고정피스가 외부에서 식별되어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단순히 판재와 판재를 접철시켜 고정함에 따라, 방수 등에는 취약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50659호(2001.10.04.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내, 외장재로 사용되도록 하되, 상호간 연결을 위해, 좌, 우, 상, 하측 테두리에 제 1, 2연장부를 형성하여 체결을 용이토록 하고, 제 1, 2연장부는 다수의 절곡부로 인하여 상호간 접철 및 중첩으로 인해, 방수효과가 증대됨과 동시에, 상호간 연결하기 위한 고정피스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아 수려한 미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축물에서 설치대상 벽체(W)에 설치되어 내, 외장재 역할을 하되,
판넬(P)의 상, 하, 좌, 우측의 4측 테두리에 연장부(100)를 각각 연장형성하여, 판넬(P) 다수개가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 인접하는 상측과 우측 테두리에는 제 1, 2연장부(11, 1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2연장부(11, 1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1절곡부(13)와, 상기 제 1절곡부(13)에서 외측을 향해 'ㄴ'자로 절곡되어, 끝단이 제 1절곡부(13)의 일단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 2절곡부(14)로 이루어져, 'ㄷ'자 형상의 제 1홈(15)을 가지며,
상호간 인접하는 좌측과 하측 테두리에는 제 3, 4연장부(21, 2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3, 4연장부(21, 2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3절곡부(23)와, 상기 제 3절곡부(23)에서 외측을 향해 'ㄴ'자로 절곡되어, 끝단이 제 3절곡부(23)의 일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제 4절곡부(24)로 이루어져, 'ㄷ'자 형상의 제 2홈(25)을 가지며,
복수개의 판넬(P)이 일방향을 향해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설치되는 경우, 각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중 하나와 제 3, 4연장부(21, 22) 중 하나가 상호간 대응체결되어, 상기 제 1, 2홈(15, 25)이 상호간 대향되며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 1, 3절곡부(13, 23)는 상, 하로 중첩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되, 제 2, 4절곡부(14, 24)는 제 1, 3절곡부(13, 23)의 하단에서 외부에서 식별이 되지 않는 상태로 상, 하로 중첩되어, 상호간 고정피스(30)로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 3, 4절곡부(13, 14, 23, 24)를 통해 연장부(100) 상호간이 중첩을 이루어 방수효과를 증대시키며,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수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에 고정되어 내, 외장재 역할을 할 시, 다수의 판넬 상호간의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되어,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테두리의 제 1, 2연장부의 경우, 다수번 절곡 구조로 인하여 방수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넬과 판넬 및 판넬을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피스가 외부에 식별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의 저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 상호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의 결합예시를 나타낸 도면.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건축물에서 설치대상 벽체(W)에 설치되어 내, 외장재 역할을 하되,
판넬(P)의 상, 하, 좌, 우측의 4측 테두리에 연장부(100)를 각각 연장형성하여, 판넬(P) 다수개가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 인접하는 상측과 우측 테두리에는 제 1, 2연장부(11, 1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2연장부(11, 1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1절곡부(13)와, 끝단이 제 1절곡부(13)의 일단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ㄷ'자 형상의 제 1홈(15)을 가지도록 절곡되는 제 2절곡부(14)로 이루어지며,
상호간 인접하는 좌측과 하측 테두리에는 제 3, 4연장부(21, 2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3, 4연장부(21, 2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3절곡부(23)와, 판넬(P)과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제 3절곡부(23)의 일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의 제 2홈(25)을 가지도록 절곡되는 제 4절곡부(24)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판넬(P)이 일방향을 향해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설치되는 경우, 각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중 하나와 제 3, 4연장부(21, 22) 중 하나가 상호간 대응체결되어, 상기 제 1, 2홈(15, 25)이 상호간 대향되며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 1, 3절곡부(13, 23)는 상, 하로 중첩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되, 제 2, 4절곡부(14, 24)는 제 1, 3절곡부(13, 23)의 하단에서 외부에서 식별이 되지 않는 상태로 상, 하로 중첩되어, 상호간 고정피스(30)로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연장부(11, 12)에 의해, 판넬(P)의 좌, 우, 상, 하 테두리에 단턱이 생기면서,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부분만이 벽체(W)에 접촉되고 나머지 면은 벽체(W)와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2, 3, 4절곡부(13, 14, 23, 24)를 통해 연장부(100) 상호간이 중첩을 이루어 방수효과를 증대시키며,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수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P)은 상기 4측 테두리 중, 제 3, 4연장부(21, 22)가 구비된 2개의 테두리만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넬(P)은 횡, 종, 사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내외장재는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이 가능한 판넬에 건축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에서 설치대상이 되는 벽체(W)에 설치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판넬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며, 판넬(P)의 상, 하, 좌, 우측의 4측 테두리에 연장부(100)를 각각 연장형성하여, 이러한 연장부(100)를 통해 판넬(P) 다수개가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북 상세한 설명을 위해, 상기 연장부(100)는
상호간 인접하는 상측과 우측 테두리의 연장부(100)를 각각 제 1연장부(11)와 제 2연장부(12)라 칭하고, 상호간 인접하는 좌측과 하측 테두리의 연장부(100)를 각각 제 3연장부(21)와 제 4연장부(22)라 칭한다.
상기 제 1, 2연장부(11, 12)의 경우, 상호간 인접하는 상측과 우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되, 상기 제 1, 2연장부(11, 1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수평으로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1절곡부(13)와, 상기 제 1절곡부(13)에서 다시 외측을 향해 'ㄴ'자로 절곡되어, 끝단이 제 1절곡부(13)의 일단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 2절곡부(14)로 이루어져, 제 1, 2연장부(11, 12)는 판넬(P)의 테두리 단부 저면에서 'ㄷ'자 형상의 제 1홈(15)을 이룬다.
상기 제 3, 4연장부(21, 22)의 경우, 상호간 인접하는 좌측과 하측 테두리에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3, 4연장부(21, 2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3절곡부(23)와, 상기 제 3절곡부(23)에서 외측을 향해 'ㄴ'자로 절곡되어, 끝단이 제 3절곡부(23)의 일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하는 제 4절곡부(24)로 이루어져, 제 3, 4연장부(21, 22)는 판넬(P)의 테두리 단부 저면에서 'ㄷ'자 형상의 제 2홈(25)을 가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 하, 좌, 우측의 4측 테두리에 제 1, 2연장부(11, 12)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판넬(P)이 일방향을 향해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2연장부(11, 12) 중 하나와, 제 3, 4연장부(21, 22) 중 하나가 상호간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3절곡부(13, 23)는 외측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되, 제 2, 4절곡부(14, 24)는 제 1, 3절곡부(13, 23)의 하단에서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 4절곡부(24)의 상면에서, 제 4절곡부(24)와 제 2절곡부(14) 순으로 고정피스(30)(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가능함은 당연하다.)가 관통하여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2개의 판넬(P)(A, B)를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A'라는 판넬(P)의 제 2연장부(12)와, 'B'라는 판넬(P)의 제 4연장부(22)가 연결시, 상기 제 2연장부(12)의 제 1홈(15)과, 제 4연장부(22)의 제 2홈(25)이 상호간 마주보며 대향되어 끼워지면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절곡부(13)가 'ㄷ' 자 제 2홈(25)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 3절곡부(23)가 제 1절곡부(13)의 상면에 위치된다면, 제 2, 4절곡부(14, 24)의 경우에도, 제 4절곡부(24)가 제 2절곡부(14)의 'ㄷ' 자 제 1홈(15)에 삽입되며 제 2절곡부(14) 상면에 올려지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더 외측에 위치된 제 1, 3절곡부(13, 23)는 상호간 중첩된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게 되지만, 벽체(W)에 접촉되는 제 2, 4절곡부(14, 24)는 외부에 보이지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절곡부(13)가 제 3절곡부(23)의 상면에 위치되고, 제 2절곡부(14)가 제 4절곡부(24)의 상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음이며, 벽체(W)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부분도, 2개의 판넬을 뒤집어서, 제 2, 4절곡부(14, 24)가 아닌, 제 1, 3절곡부(13, 23)가 고정피스(30)로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로써, 이러한 제 1, 2연장부(11, 12)의 제 1, 2, 3, 4절곡부(13, 14, 23, 24)를 통해 연장부(100) 상호간이 중첩을 이루어 방수효과를 증대시키며,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외관을 해치지 않음으로써, 수관이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2연장부(11, 12)가 판넬(P)의 양면 중, 일면(벽체(W)에 고정되는 면)을 향해 절곡되면서, 판넬(P)의 좌, 우, 상, 하 테두리에 단턱이 생기면서,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부분만이 벽체(W)에 접촉되고 나머지 부분은 벽체(W)와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본 고안의 판넬(P)의 경우, 상기 4측 테두리 중, 제 3, 4연장부(21, 22)가 구비된 2개의 테두리만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며, 횡, 종, 사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고정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 제 1연장부 12: 제 2연장부
13: 제 1절곡부 14: 제 2절곡부
15: 제 1홈 21: 제 3연장부
22: 제 4연장부 23: 제 3절곡부
24: 제 4절곡부 25: 제 2홈
30: 고정피스 100: 연장부
P, A, B: 판넬

Claims (3)

  1. 건축물에서 설치대상 벽체(W)에 설치되어 내, 외장재 역할을 하되,
    판넬(P)의 상, 하, 좌, 우측의 4측 테두리에 연장부(100)를 각각 연장형성하여, 판넬(P) 다수개가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상호간 인접하는 상측과 우측 테두리에는 제 1, 2연장부(11, 1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1, 2연장부(11, 1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1절곡부(13)와, 끝단이 제 1절곡부(13)의 일단부와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ㄷ'자 형상의 제 1홈(15)을 가지도록 절곡되는 제 2절곡부(14)로 이루어지며,
    상호간 인접하는 좌측과 하측 테두리에는 제 3, 4연장부(21, 22)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제 3, 4연장부(21, 22)는 일단부에서 저면에 접철되도록 절곡되는 제 3절곡부(23)와, 판넬(P)과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끝단이 제 3절곡부(23)의 일단부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ㄷ'자 형상의 제 2홈(25)을 가지도록 절곡되는 제 4절곡부(24)로 이루어지며,
    복수개의 판넬(P)이 일방향을 향해 상호간 연속연결되며 설치되는 경우, 각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중 하나와 제 3, 4연장부(21, 22) 중 하나가 상호간 대응체결되어, 상기 제 1, 2홈(15, 25)이 상호간 대향되며 끼움결합되되, 상기 제 1, 3절곡부(13, 23)는 상, 하로 중첩되어 외부에서 식별되되, 제 2, 4절곡부(14, 24)는 제 1, 3절곡부(13, 23)의 하단에서 외부에서 식별이 되지 않는 상태로 상, 하로 중첩되어, 상호간 고정피스(30)로 벽체(W)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제 1, 2연장부(11, 12)에 의해, 판넬(P)의 좌, 우, 상, 하 테두리에 단턱이 생기면서, 판넬(P)의 제 1, 2연장부(11, 12) 부분만이 벽체(W)에 접촉되고 나머지 면은 벽체(W)와 이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2, 3, 4절곡부(13, 14, 23, 24)를 통해 연장부(100) 상호간이 중첩을 이루어 방수효과를 증대시키며, 판넬(P) 상호간 결합을 위한 고정피스(30)가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아 수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P)은
    상기 4측 테두리 중, 제 3, 4연장부(21, 22)가 구비된 2개의 테두리만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P)은
    횡, 종, 사선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연속연결되며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외장재.
KR2020190002018U 2019-05-20 2019-05-20 건축물 내외장재 KR200493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18U KR200493321Y1 (ko) 2019-05-20 2019-05-20 건축물 내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18U KR200493321Y1 (ko) 2019-05-20 2019-05-20 건축물 내외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71U KR20200002571U (ko) 2020-11-30
KR200493321Y1 true KR200493321Y1 (ko) 2021-03-10

Family

ID=7357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18U KR200493321Y1 (ko) 2019-05-20 2019-05-20 건축물 내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347B2 (ja) 1991-01-30 2001-02-1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構造体及びその製造法
KR200289210Y1 (ko) 2002-06-17 2002-09-16 윤석규 샌드위치패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43Y1 (ko) * 1988-11-04 1991-06-29 장석희 노선버스의 안내방송 자동제어회로
KR940002547Y1 (ko) * 1991-07-04 1994-04-20 홍성복 건축용 벽판넬
KR200250659Y1 (ko) 2001-07-16 2001-11-17 에이치.티코퍼레이션(주) 건축물용 내외장재
KR20080001654U (ko) * 2006-12-05 2008-06-11 채수하 리모델링 건물용 메탈 패널
KR100889580B1 (ko) * 2007-07-23 2009-03-19 (주)현지산업개발 건축용 금속패널
JP3137347U (ja) * 2007-08-27 2007-11-22 有限会社大勇鈑金 角部用外装金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7347B2 (ja) 1991-01-30 2001-02-1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構造体及びその製造法
KR200289210Y1 (ko) 2002-06-17 2002-09-16 윤석규 샌드위치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571U (ko) 2020-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0994B1 (en) Removable ceil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2220306B1 (en) Conformable wide wall angle
JP592172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493321Y1 (ko) 건축물 내외장재
KR102257481B1 (ko) 육각형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0985134B1 (ko) 굴곡형 커튼월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KR102246527B1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CN208220117U (zh) 一种踢脚线
JP2009185562A (ja) 建物の軒先構造
KR200439783Y1 (ko) 문자광고판 설치용 조립식 패널장치
CN210105083U (zh) 一种开放式铝板幕墙
RU131766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сайдинг
CN214785109U (zh) 一种连接稳定的铝单板
JP4189817B2 (ja) ユニット式建物
RU107235U1 (ru) Комплект фурнитуры к плинтусу
KR102085543B1 (ko) 건축구조물의 마감패널
KR101544310B1 (ko) 전통 목조건축물의 평고대 시공방법
CN211114543U (zh) 一种装配式铝合金波纹造型墙
CN210918208U (zh) 一种压型钢板边模固定结构
JP6977962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
KR200400838Y1 (ko) 직립식 구조체
JP6951238B2 (ja) 方立
KR20230135953A (ko) 루버장치
CN202125039U (zh) 安装格栅面板的集成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