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5953A - 루버장치 - Google Patents

루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5953A
KR20230135953A KR1020220033564A KR20220033564A KR20230135953A KR 20230135953 A KR20230135953 A KR 20230135953A KR 1020220033564 A KR1020220033564 A KR 1020220033564A KR 20220033564 A KR20220033564 A KR 20220033564A KR 20230135953 A KR20230135953 A KR 2023013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side plat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22003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5953A/ko
Publication of KR2023013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5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획일화된 디자인 및 구조를 갖는 스크린 루버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루버를 통한 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루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패널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패널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디자인의 마감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어 획일화된 디자인 및 구조를 갖는 스크린 루버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루버를 통한 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을 한 쌍의 평판형 측면패널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직사각 구조의 루버패널보다 경량화시킬 수 있고, 패널부와 지지부 그리고 패널부와 마감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결합시킴으로써 설치 및 시공을 쉽고 빠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루버장치{Louver device}
본 발명은 루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획일화된 디자인 및 구조를 갖는 스크린 루버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루버를 통한 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루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지을 때 실내외의 천정 또는 벽면을 마감 처리하는데 여러 가지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지만, 통상 천정면 또는 벽면을 입체적이고 웅장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 스크린 루바(screen louver)를 많이 사용한다.
루바(louver)라는 용어는 비교적 좁고 얇은 직육면체의 기다란 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만든 구조를 칭하는 것으로서, 격자 구조의 창이나 그릴 같은 곳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스크린 루바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루바의 기본적인 구조를 건물의 천정면이나 벽면에 적용시킨 것을 구조물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크린 루바는 여러 개의 얇은 판자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는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바람이나 소음의 파동을 억제하여 바람과 소리가 전파되는 것을 막아줌과 더불어,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조명등이 직접 보이지 않게 하여 건물의 천정면이나 벽면이 세련되게 보이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조명등에서 비추어지는 불빛이 간접적으로 비추어지게 함으로써 실내의 분위기를 부드럽고 안락하게 만들 수가 있다는 점 등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필요가 있는 고급 호텔이나 갤러리 등과 같은 곳의 로비와 같은 곳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다.
통상적인 스크린 루바는 재료가 가벼우면서 다루기가 좋고 화재에도 비교적 강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인데, 알루미늄 재질로 만든 스크린 루바는 얇은 알루미늄 판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절곡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알루미늄판은 얇고 가볍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금속이기 때문에 성형성이 좋지 않아 통상적으로 그냥 일반적으로 좁고 기다란 직육면체의 단순한 형상으로만 만들어 사용하므로 디자인이 단조롭고 시공 후에는 디자인을 변경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3-000385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71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119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획일화된 디자인 및 구조를 갖는 스크린 루버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루버를 통한 연출 효과를 향상시키고 경량화할 수 있는 루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의 체결 및 결합구조를 적용하여 설치 및 시공을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도록 하는 루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일정 면적을 갖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가 마련된 패널부와;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패널부의 제1결합돌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패널부의 제2결합돌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지지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제1결합돌기부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키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의 일 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돌기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 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결합부에 진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부는 상기 패널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제2결합돌기부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키는 제2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의 일 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끼움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결합돌기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길이방향 타 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진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결합돌기부가 형성된 제1평판부와, 상기 제1평판부로부터 상기 제1평판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사선부와, 상기 사선부로부터 상기 제1평판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부가 형성된 제2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부의 돌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 측에 폭이 좁아진 협소부를 형성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패널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마감부를 패널부에 대해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디자인의 마감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어 획일화된 디자인 및 구조를 갖는 스크린 루버의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루버를 통한 연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패널을 한 쌍의 평판형 측면패널로 구성함으로써 종래 직사각 구조의 루버패널보다 경량화시킬 수 있고, 패널부와 지지부 그리고 패널부와 마감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 및 결합시킴으로써 설치 및 시공을 쉽고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내진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강풍에 강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1)는 패널부(10)와, 지지부(20)와, 마감부(30)를 구비한다.
패널부(10)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를 구비한다.
측면플레이트(11)는 일정 면적을 갖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지부(20) 및 마감부(30)에 의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측면플레이트(11)는 서로 대향되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 또는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측면플레이트(11)는 상하 길이방향 양측 단부 즉,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가 마련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이와 다르게 필요에 따라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는 측면플레이트(1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예에서 패널부(10)는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부(20)와 마감부(30)에 의해 패널부(10)의 상부와 하부가 폐쇄되고, 패널부(10)의 좌측과 우측이 개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패널부(10)의 좌측과 우측에서 패널부(10)에 결합되어 패널부(10)의 좌측과 우측을 각각 폐쇄하는 커버(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측면플레이트(11)는 크게 제1평판부(11A)와, 사선부(11B)와, 제2평판부(11C)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평판부(11A)는 측면플레이트(11)의 상부를 이루며, 상단에는 지지부(20)에 마련된 끼움결합부(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부(12)가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부(12)는 측면플레이트(11)의 상단으로부터 측면플레이트(11)와 멀어지게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다단으로 굴곡 또는 절곡되어 하방으로 말아진 구조로 형성된다. 제1결합돌기부(12)는 지지부(20)의 양측에 마련된 끼움결합부(22)에 삽입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사선부(11B)는 패널부(10)의 중간부를 이루며, 제1평판부(11A)의 하단으로부터 제1평판부(11A)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꺾여 연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사선부(11B)가 구비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복수의 사선부(11B)가 연속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사선부(11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제2평판부(11C)는 패널부(10)의 하부를 이루도록 사선부(11B)의 하단으로부터 사선부(11B)와는 교차하고 제1평판부(11A)와는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2평판부(11C)의 하단에는 마감부(30)에 마련된 제2끼움결합부(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부(13)가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부(13)는 측면플레이트(11)이 하단으로부터 측면플레이트(11)와 멀어지게 일정 길이 연장되고 다단으로 굴곡 또는 절곡되어 상방으로 말아진 구조로 형성된다. 제2결합돌기부(13)는 마감부(30)의 양측에 마련된 제2끼움결합부(22)에 삽입 및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지지부(20)는 천장에 대해 하방으로 설치되는 고정브라켓(미도시)의 하부에 상부가 걸리도록 결합되거나, 벽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브라켓(미도시)의 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부(20)는 천장에 대해 하방으로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하였다.
지지부(20)는 일 측이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타 측은 패널부(10)의 제1결합돌기부(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패널부(10)를 지지한다.
더욱 상세하게, 지지부(20)는 지지결합부(21)와, 끼움결합부(22)와, 접촉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결합부(21)는 서로 나란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지지결합리브(21A)와, 지지결합리브(21A)의 하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연장되며 제1결합돌기부(12)의 상부가 밀착되는 지지연장리브(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결합부(21)는 고정브라켓을 내측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게 결합홈을 형성한다.
끼움결합부(22)는 지지결합부(21)로부터 연장되어 지지결합부(21)와 함께 측면플레이트(11)의 제1결합돌기부(12)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킬 수 있는 끼움홈을 형성한다.
끼움결합부(22)는 각 지지연장리브(21B)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1결합돌기부(12)가 밀착되는 제1끼움결합리브(22A)와, 제1끼움결합리브(22A)의 단부로부터 지지연장리브(21B)와 나란하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1결합돌기부(12)의 하부가 밀착되는 제2끼움결합리브(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끼움결합리브(22B)의 단부에는 제1결합돌기부(12)의 단부를 감싸 제1결합돌기부(12)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22C)가 더 구비된다.
접촉부(23)는 끼움결합부(22)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11)의 일 면에 접촉되어 측면플레이트(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끼움결합부(22)의 제2끼움결합리브(22B)로부터 연장된다. 접촉부(23)의 단부에는 측면플레이트(11)의 일 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측면플레이트(11)의 평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측면플레이트(11)에 면 접촉되는 면접촉리브(23A)가 더 구비된다.
마감부(30)는 패널부(10)의 제2결합돌기부(13)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패널부(10)의 단부를 마감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 및 디자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마감부(30)는 노출부(31)와, 삽입결합부(32)와, 밀착부(33)를 구비한다.
노출부(31)는 패널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부분으로 서로 나란하고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노출리브(31A)와, 노출리브(31A)들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노출리브(31A)들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는 폐쇄리브(31C)와, 노출결합리브의 상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연장되며 제2결합돌기부(13)의 하부가 밀착되는 노출연장리브(3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삽입결합부(32)는 노출부(31)로부터 연장되어 노출부(31)와 함께 측면플레이트(11)의 제2결합돌기부(13)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킬 수 있는 끼움홈을 형성한다.
삽입결합부(32)는 각 노출연장리브(31B)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결합돌기부(13)가 밀착되는 제1삽입결합리브(32A)와, 삽입결합리브의 단부로부터 노출연장리브(31B)와 나란하게 일정 길이 연장되어 제2결합돌기부(13)의 상부가 밀착되는 제2삽입결합리브(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삽입결합리브(32B)의 단부에는 제2결합돌기부(13)의 단부를 감싸 제2결합돌기부(13)가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가 더 구비된다.
밀착부(33)는 삽입결합부(32)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11)의 일 면에 접촉되어 측면플레이트(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삽입결합부(32)의 제2삽입결합리브(32B)로부터 연장된다. 밀착부(33)의 단부에는 측면플레이트(11)의 일 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측면플레이트(11)의 평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측면플레이트(11)에 면 접촉되는 면접촉리브(33A)가 더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2)는 패널부(110)와, 지지부(20)와, 마감부(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2)의 지지부(20)와 마감부(3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1)에서 설명하고 있는 지지부(20)와 마감부(3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패널부(110)는 일정 면적을 갖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지지부(20) 및 마감부(30)에 의해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를 구비한다.
측면플레이트(110)는 서로 대향되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 또는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측면플레이트(11)는 상하 길이방향 양측 단부 즉,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가 마련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이와 다르게 필요에 따라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는 측면플레이트(11)의 좌우 폭 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1)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는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루버장치(2)의 패널부(110) 일 측에는 협소부(150)가 형성된다.
패널부(10)에 형성된 협소부(150)는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부분으로서, 양측 측면플레이트(11)에 각각 인입홈(15)을 형성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입홈(15)은 측면플레이트(11)의 상측의 제1결합돌기부(12)보다 하측의 제2결합돌기부(13)와 인접한 측면플레이트(11)의 일 부분에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의 돌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해 소정 깊이 인입되는 인입홈(15)이 형성된다.
인입홈(15)은 양측 측면플레이트(11) 각각에 형성되며, 양측 측면플레이트(11)의 제1결합돌기부(12)와 제2결합돌기부(13)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하여 패널부(10) 일 측에 내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구조의 협소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면, 상기 협소부(150)는 측면플레이트(1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패널부(10)에 복수의 협소부(1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 루버장치
10, 110 : 패널부
11 : 측면플레이트
11A : 제1평판부
11B : 사선부
11C : 제2평판부
12 : 제1결합돌기부
13 : 제2결합돌기부
20 : 지지부
21 : 지지결합부
22 : 끼움결합부
23 : 접촉부
30 : 마감부
31 : 노출부
32 : 삽입결합부
33 : 밀착부

Claims (7)

  1. 일정 면적을 갖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가 마련된 패널부와;
    천장 또는 벽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일 측이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패널부의 제1결합돌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패널부의 제2결합돌기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널부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와, 상기 지지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제1결합돌기부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키는 끼움결합부와, 상기 끼움결합부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의 일 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 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끼움결합부에 진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는
    상기 패널부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제2결합돌기부를 양측에 각각 끼움결합시키는 제2끼움결합부와,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결합된 측면플레이트의 일 면에 접촉되어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끼움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돌기부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길이방향 타 측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다단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끼움결합부에 진입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결합돌기부가 형성된 제1평판부와, 상기 제1평판부로부터 상기 제1평판부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 사선부와, 상기 사선부로부터 상기 제1평판부와 나란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부가 형성된 제2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는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부 사이에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상기 제2결합돌기부의 돌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상기 패널부의 일 측에 폭이 좁아진 협소부를 형성하는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장치.

KR1020220033564A 2022-03-17 2022-03-17 루버장치 KR20230135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564A KR20230135953A (ko) 2022-03-17 2022-03-17 루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564A KR20230135953A (ko) 2022-03-17 2022-03-17 루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5953A true KR20230135953A (ko) 2023-09-26

Family

ID=8819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64A KR20230135953A (ko) 2022-03-17 2022-03-17 루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59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53U (ko) 2011-12-20 2013-06-28 최영순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101407195B1 (ko) 2012-12-24 2014-06-13 김진호 스크린 루바
KR101851194B1 (ko) 2017-07-27 2018-04-23 김명열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853U (ko) 2011-12-20 2013-06-28 최영순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101407195B1 (ko) 2012-12-24 2014-06-13 김진호 스크린 루바
KR101851194B1 (ko) 2017-07-27 2018-04-23 김명열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0994B1 (en) Removable ceiling panel and method of installation
EP3284877B1 (en) Ventilated façade
JP2018155032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157195B1 (ko) 조립식 단열패널
KR100933525B1 (ko) 스크린 루바
JP5726772B2 (ja) 洗面所の採光構造
RU2001121083A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граждения с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активным удалением влаги и декоративной отделкой фасадов (варианты), Z-образный, П-образный и ступенчатые профили, нащельные планки (варианты), рейки (варианты) и профилированные металлические фасадные панели (варианты) для нее
KR20230135953A (ko) 루버장치
JP2007308906A (ja) 建造物の外壁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851194B1 (ko) 건물 장식용 알루미늄 스크린 루버
JP6228817B2 (ja) 建具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2137140B1 (ko) 프로파일을 이용한 방음패널
KR102183148B1 (ko) 유리 난간
JP5123685B2 (ja) 建物の軒先構造
JP7073164B2 (ja) 建物
KR200368017Y1 (ko) 현관방화문
JP53927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7009185B2 (ja) 軒天換気材
JP2019082089A (ja) 建物
JP7070853B2 (ja) 建物の天井構造
JP6938143B2 (ja) 建物の外壁構造
RU2791831C1 (ru) Металлическая доска
JP7057185B2 (ja) 室内建具
JP6951238B2 (ja) 方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