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56Y1 -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556Y1 KR200492556Y1 KR2020190003750U KR20190003750U KR200492556Y1 KR 200492556 Y1 KR200492556 Y1 KR 200492556Y1 KR 2020190003750 U KR2020190003750 U KR 2020190003750U KR 20190003750 U KR20190003750 U KR 20190003750U KR 200492556 Y1 KR200492556 Y1 KR 2004925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outlet
- pair
- horizontal
- vehicle air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66—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송풍구의 상하 한쌍의 수평날개 사이로 삽입되어 상측 수평날개의 후단부에 걸림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에 연결되어 차량송풍구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샤트프에 관통되면서 가압부재와 헤드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가압됨으로써 한쌍의 수평날개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송풍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대상물을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의 송풍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대상물을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송풍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대상물을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가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PC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기능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예컨데 기본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영상통화, 무선인터넷 접속, 전자결재 기능,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음악이나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MP3와 PMP 기능, 방송수신을 위한 DMB 기능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운전중 휴대단말기를 네비게이션 용도로 사용하는 등, 차량 내에서의 휴대단말기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를 차량 내부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거치대가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대부분 차량의 대쉬보드나 전면 유리에 부착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키는 구조로서, 거치대와 휴대단말기가 운전자의 전방쪽에 위치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안전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대쉬보드나 유리에 설치된 거치대와 휴대단말기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쉬보드나 유리가 아닌, 차량 내부의 송풍구에 끼워 설치되면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종래 제안된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송풍구에 설치됨으로써 전방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구조가 복잡하면서 설치하는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상태에서의 안전성도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송풍구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되어 휴대단말기 등의 다양한 물품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차량송풍구의 상하 한쌍의 수평날개 사이로 삽입되어 상측 수평날개의 후단부에 걸림되는 헤드부재와, 상기 헤드부재에 연결되어 차량송풍구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샤트프에 관통되면서 가압부재와 헤드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라 가압됨으로써 한쌍의 수평날개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가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재는, 상기 한쌍의 수평날개 사이로 삽입되며 후면에 요입단차부가 형성된 헤드몸체와, 상기 헤드몸체의 후단에서 요입단차부의 반대쪽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 수평날개의 후단부에 끼워져 걸림되는 후크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샤프트에 관통되면서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에 따라 한쌍의 수평날개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후면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측 수평날개의 저면에 지지되는 하단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후면 좌우 양쪽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한쌍의 수평날개 사이에 지지되는 한쌍의 사이드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면서 대쉬보드 등에 설치되지 않고 송풍구에 설치되므로 차량 미관을 전혀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나사체결을 통한 가압방식에 의해 고정됨과 함께 송풍구의 블레이드 3곳에 지지되어 고정되므로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고안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차량송풍구를 정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의 분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의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단말기거치대가 결합된 일 사용예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헤드부재가 차량송풍구에 삽입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가 설치완료된 상태를 측방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가 설치완료된 상태를 후방(송풍구 내측)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를 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의 분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의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단말기거치대가 결합된 일 사용예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헤드부재가 차량송풍구에 삽입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가 설치완료된 상태를 측방에서 일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차량송풍구 거치기구가 설치완료된 상태를 후방(송풍구 내측)에서 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설치되어”, “형성되어”, “결합되어”, “연결되어”, “구비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설치, 형성, 결합, 연결 또는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송풍구 거치기구(이하, “거치기구”라 약칭함.)는 차량에 마련된 송풍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휴대단말기, 방향제 등 다양한 물품을 차량송풍구를 통해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차량송풍구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 1에 일 예시된 것처럼, 차량송풍구(1)는 상하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배열되는 다수의 수평날개(2)와, 상기 수평날개(2)의 후방에 좌우로 일정간격을 이루어 배열되는 다수의 수직날개(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평날개(2)는 송풍방향을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직날개(3)는 송풍방향을 좌우로 조정할 수 있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8에는 위와 같은 차량송풍구(1)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거치기구가 일 예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기구는 헤드부재(10)와, 샤프트(20)와, 가압부재(30)와, 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재(10)는 차량송풍구(1)로 삽입되면서 차량송풍구(1)의 수평날개(2)에 걸림으로써 지지되는 부분이다.
즉, 헤드부재(10)는 차량송풍구(1)에 상하로 배열된 다수 수평날개(2) 중 이웃하는 상하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이 되고, 삽입된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중 상측의 수평날개(2a) 후단부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이러한 헤드부재(10)는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되는 헤드몸체(11)와, 헤드몸체(11)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측 수평날개(2a) 후단부에 끼워짐으로써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편(12)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몸체(11)는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이 가능한 크기를 가지며, 후면에는 요입단차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입단차부(13)는 헤드몸체(11)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일정깊이 요입되게 형성됨으로써, 삽입되는 헤드몸체(11)가 수직날개(3)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헤드몸체(11)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즉, 수평날개(2)의 후방에는 수직날개(3)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삽입되는 헤드몸체(11)가 수직날개(3)와 간섭되면 헤드몸체(11)의 삽입이 어렵게 되는 바,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요입단차부(13)가 이러한 수직날개(3)와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헤드몸체(11)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후크편(12)은 헤드몸체(11)의 후단에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단차부(13)의 반대쪽 방향으로 1차 절곡된 후 전방으로 2차 절곡됨으로써 수평날개(3)의 후단부에 끼워질 수 있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헤드부재(10)와 연결되면서 차량송풍구(1)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상기 샤프트(20)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가압부재(30)의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숫나사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숫나사부(21)는 샤프트(20)의 길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음과 함께, 가압부재(30)의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샤프트(20)에는 휴대단말기, 방향제 등 다양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요에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일 예로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단말기거치대(M)가 결합된 것이 일 예시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샤프트(20)에 나사 체결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됨에 따라 전후 이동됨으로써 사프트(20)를 차량송풍구(1)에 고정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한다.
상기 가압부재(30)의 중심부에는 샤프트(2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하여 샤프트(20)의 숫나사부(21)에 대응하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부재(30)는 암나사부(31)가 샤프트(20)의 숫나사부(21)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는 회전방향에 따라 나사체결 또는 나사풀림이 이루어지면서 샤트프(20)를 따라 전후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나사체결을 통한 후진 이동시, 즉 차량송풍구(1)쪽으로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지지부재(40)가 수평날개(2)의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도록 지지부재(4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가압부재(30)와 헤드부재(10) 사이에 위치되며, 가압부재(30)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수평날개(2)의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지지판(41)과, 하단지지편(42)과, 사이드지지편(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41)은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샤프트(20)를 따라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중심부에는 샤프트(20)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구(4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41)의 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테(41b)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41a)의 둘레에는 헤드부재(10)가 일정깊이 삽입될 수 있는 요입홈(4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테(41b)와 요입홈(41c)은 수평날개(2)의 전후 폭의 오차에 따라 수평날개(2)의 후단부에 걸린 헤드부재(10)의 후크편(12)과 수평날개(2)의 전단부에 밀착되는 지지판(41)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테(41b)에는 밀착력의 향상 및 밀착에 따른 수평날개(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패드(도면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41)은 헤드부재(10)가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되어 상측 수평날개(2a)에 걸린 상태에서 가압부재(30)의 가압에 의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전단부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샤프트(20)가 차량송풍구(1)에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하단지지편(42)은 상기 지지판(41)의 후면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하단지지편(42)은 상기 지지판(41)이 가압되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전단부에 밀착 지지될 때, 동시에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중 하측 수평날개(2b)의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샤프트(2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여기서,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간격의 제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지지판(41)이 가압될 때 하단지지편(42)이 하측 수평날개(2b)에 걸리지 않고 하측 수평날개(2b)의 저면으로 용이하게 진입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하단지지편(42)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진입경사단(4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지지편(43)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판(41)의 후면 좌우 양쪽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은 샤프트(20)에 의해 관통되는 지지판(4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지지판(41) 후면 좌우 양쪽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은 상기 지지판(41)이 가압되어 한쌍의 수평날개(2a, 2b)전단부에 밀착 지지될 때, 동시에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에 지지됨으로써 샤프트(2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여기서,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은 한쌍의 수평날개(2a, 2b)사이로 삽입되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상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간격의 제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지지판(41)이 가압될 때 한쌍의 수평날개(2a, 2b)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 각각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감하는 폭축소부(4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였는 바,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기구의 설치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헤드부재(10)를 차량송풍구(1)에 마련된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시켜 후크편(12)이 상측 수평날개(2a)의 후단부에 걸리도록 해준다.
이 때, 헤드부재(10)는 가압부재(30) 및 지지부재(40)가 헤드부재(1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이 된다.
또한, 도 6에 일 예시된 것처럼, 헤드부재(10)는 후크편(12)이 한쌍의 수평날개(2a, 2b)와 간섭되지 않도록 헤드몸체(11)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삽입되며, 이 때 헤드몸체(11)는 요입단차부(13)에 의해 수직날개(3)와 간섭됨이 없이 용이하게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재(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샤프트(20)를 돌려 후크편(12)이 헤드몸체(11)의 상방으로 위치되게 헤드부재(10)를 회전시킨 후, 후크편(12)이 상측 수평날개(12a)의 후단부에 끼워져 걸리도록 샤프트(20)를 전방으로 당겨주면 된다.
위와 같이 헤드부재(10)의 삽입 및 걸림이 완료되면, 이어서, 가압부재(30)가 샤프트(20)를 따라 송풍구(1) 쪽으로 후진 이동되도록 가압부재(30)를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샤프트(20)와의 나사체결에 따라 가압부재(30)가 후진되면서 지지부재(40)를 함께 송풍구 쪽으로 이동시키며, 지지부재(40)가 차량송풍구(1) 전방에 도달된다.
이어서, 가압부재(30)를 계속 회전시키면, 지지부재(40)의 지지판(41) 후면에 돌출 형성된 하단지지편(42)이 하측 수평날개(2b)의 저면으로 진입이 되면서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 또한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진입이 되면서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고, 계속적인 가압에 따라 최종적으로 지지판(41)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전단부에 밀착되어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써, 거치기구의 설치가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기구는, 도 7 내지 도 8에 일 예시된 것과 같이, 후크편(12)을 통해 상측 수평날개(2a)의 후단부에 헤드부재(10)가 걸려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부재(40)의 지지판(41), 하단지지편(42),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이 각각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전단부, 하측 수평날개(2b)의 저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에 각각 밀착 지지됨으로써, 즉 지지부재(40)가 수평날개(2)의 3지점에서 동시에 지지됨으로써, 견고하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차량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 진동이나 충격 등에도 차량송풍구(1)로부터 유동되거나 이탈될 염려가 없이 안정적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견고하게 차량송풍구(1)에 설치된 본 고안의 거치기구에는 샤프트(20)에 휴대단말기, 방향제 등 다양한 물품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물품의 거치기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거치기구는 차량송풍구에 간편하면서도 매우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의 거치를 위한 용도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헤드부재 11: 헤드몸체
12: 후크편 13: 요입단차부
20: 샤프트 30: 가압부재
40: 지지부재 41: 지지판
42: 하단지지편 43: 사이드지지편
10: 헤드부재 11: 헤드몸체
12: 후크편 13: 요입단차부
20: 샤프트 30: 가압부재
40: 지지부재 41: 지지판
42: 하단지지편 43: 사이드지지편
Claims (5)
- 차량 송풍구(1)의 상하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되어 상측 수평날개(2a)의 후단부에 걸림되는 헤드부재(10)와;
상기 헤드부재(10)에 연결되어 차량송풍구(1)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나사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가압부재(30); 및
상기 샤프트(20)를 따라 자유 이동 가능하게 샤프트(20)에 관통되면서 가압부재(30)의 가압에 따라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전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41)과, 상기 지지판(41)의 후면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측 수평날개(2b)의 저면에 지지되는 하단지지편(42)과, 상기 지지판(41)의 후면 좌우 양쪽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에 지지되는 한쌍의 사이드지지편(43)을 포함하는 지지부재(40);를 포함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10)는,
상기 한쌍의 수평날개(2a, 2b) 사이로 삽입되며 후면에 요입단차부(13)가 형성된 헤드몸체(11)와, 상기 헤드몸체(11)의 후단에서 요입단차부(13)의 반대쪽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 수평날개(2a)의 후단부에 끼워져 걸림되는 후크편(12)을 포함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1)의 후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돌출테(4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750U KR200492556Y1 (ko) | 2019-09-10 | 2019-09-10 |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750U KR200492556Y1 (ko) | 2019-09-10 | 2019-09-10 |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2556Y1 true KR200492556Y1 (ko) | 2020-11-04 |
Family
ID=73197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750U KR200492556Y1 (ko) | 2019-09-10 | 2019-09-10 |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556Y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77169A (ja) * | 2013-03-14 | 2014-09-25 | Beat Sonic:Kk | エアコン吹き出し口用取付具 |
KR101493433B1 (ko) | 2013-12-20 | 2015-02-23 | 주식회사 피플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90031962A (ko) * | 2017-09-19 | 2019-03-27 | 전연배 |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
US20190241129A1 (en) * | 2018-02-05 | 2019-08-08 | Cpc Co., Ltd. | Termin/al supporter mountable to vehicle ventilator |
-
2019
- 2019-09-10 KR KR2020190003750U patent/KR20049255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177169A (ja) * | 2013-03-14 | 2014-09-25 | Beat Sonic:Kk | エアコン吹き出し口用取付具 |
KR101493433B1 (ko) | 2013-12-20 | 2015-02-23 | 주식회사 피플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90031962A (ko) * | 2017-09-19 | 2019-03-27 | 전연배 |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
US20190241129A1 (en) * | 2018-02-05 | 2019-08-08 | Cpc Co., Ltd. | Termin/al supporter mountable to vehicle ventil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05795B2 (en) | CD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050204596A1 (en) | Portable seat back display | |
WO2006115855A3 (en) |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incorporated within the armrest/console of a vehicle with a swivel monitor mounting structure | |
WO2006120326A8 (fr) | Cartouche filtrante et systeme de montage d'une telle cartouche avec des moyens de detrompage | |
KR20140069684A (ko) |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 |
US20100320347A1 (en) | Mounting structure for functional component | |
KR200492556Y1 (ko) | 차량송풍구 거치기구 | |
US20110049321A1 (en) | Hanger Device | |
US20090090821A1 (en) | Cradle for automobile | |
CN103847641A (zh) | 车门后视镜 | |
US7357439B1 (en) | Widescreen mounting system | |
KR20120124740A (ko) | 휴대기기 거치대 | |
KR101851974B1 (ko) | 차량용 휴대장치 거치대 | |
US20210284073A1 (en) | Mounting device for headrest of vehicle seat | |
KR20080000283U (ko) |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 |
KR101996591B1 (ko) |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 |
US20140071003A1 (en) | Replacement Antenna for Vehicle | |
JP2020066386A (ja) | 車両用サンバイザ | |
JP2007205759A (ja) |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ジャイロ基板取付構造 | |
JP2002009911A (ja) | 携帯端末装置 | |
FR2975352A1 (fr) | Dispositif de positionnement relatif d'un module de retroviseur et d'un support. | |
CN206547129U (zh) | 吸盘式车载手机支架 | |
JPH10315874A (ja) | 車載用携帯電話機ホルダー | |
KR20190002674U (ko) | 차량용 휴대단말기 거치대 | |
KR20120088946A (ko) | 개인휴대단말기의 차량거치대용 가변형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