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51Y1 -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51Y1
KR200492551Y1 KR2020190000138U KR20190000138U KR200492551Y1 KR 200492551 Y1 KR200492551 Y1 KR 200492551Y1 KR 2020190000138 U KR2020190000138 U KR 2020190000138U KR 20190000138 U KR20190000138 U KR 20190000138U KR 200492551 Y1 KR200492551 Y1 KR 200492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insulator
fastening
upper bod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607U (ko
Inventor
소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베이스전자
Priority to KR2020190000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51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4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controlled by mechanically actuated switches
    • B60Q1/1453Hand actuated switches
    • B60Q1/1461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 B60Q1/1484Multifunction switches for dimming headlights and controlling additional devices, e.g. for controlling direction indicating lights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에 레버 스위치 본체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부와; 레버 스위치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 바디부의 일측 하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설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인슐레이터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일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 및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인슐레이터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하는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of the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 부근에 설치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부근에는 두 개의 레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레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이 관통하는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상기 컬럼 하우징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컬럼 하우징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레버는 야간운행 또는 안개지역 등의 시야가 좁고 어두운 지역을 운행할 경우 라이트 전원을 점등 또는 점멸하는데 사용되는 레버고이고, 상기 다른 하나의 레버는 운행 중 눈 또는 비가 올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앞유리 및/또는 뒷 유리를 닦기 위한 와이퍼를 조절하는 레버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레버는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조명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레버는 상기 와이퍼의 작동을 온/오프 및 작동 속도를 조절하는 하기 위한 다양한 스위치 관련 부품들이 구비되므로, 그 기능이 다양하여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로 불리어진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한편,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레버 스위치 본체(11)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부(10), 레버 스위치 본체(11)의 외관을 형성하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11a),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11a)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11b), 인슐레이터(11b)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11c)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11a), 인슐레이터(11b),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11c)를 결합하기 위해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11c)의 일측 및 타측을 복수개의 나사(12a-12d)를 사용하여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한다. 일측 및 타측을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부품의 개수가 늘어나고 부품의 중량 및 제품 조립 시 조립공수가 증가하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케이스 어퍼, 인슐레이터 및 프로텍터의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체결하여 부품의 중량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측에 레버 스위치 본체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부와; 레버 스위치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 바디부의 일측 하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설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인슐레이터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일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 및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인슐레이터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한다.
또한, 제1 체결부는, 체결나사와;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결합공; 및 결합공과 대응되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인슐레이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는, 인슐레이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슐레이터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리브와; 제1 돌출리브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1 돌출리브와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 돌출리브;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2 돌출리브가 걸림되어 제2 돌출리브와 후크 걸림되는 후크 걸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크 걸림 부재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 하면으로부터 제2 돌출리브가 형성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는, 메인 바디부가 끼움 결합되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제2 체결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재; 및 끼움 결합부재로부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가 구비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1 돌출리브를 상측방향으로 지지하여 인슐레이터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의 체결방식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하여 부품수를 절감하여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의 체결방식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하여 부품수를 절감하여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의 체결방식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하여 부품수를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버 스위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인 경우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레버 스위치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하측에서 바라본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1)는 일측에 레버 스위치 본체(A)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부(100)와; 레버 스위치 본체(A)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 바디부(100)의 일측 하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설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00)와; 인슐레이터(300)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와;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510); 및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520);를 포함하고, 제1 체결부(510) 및 제2 체결부(520)는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를 체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 바디부(100)는 레버 스위치 본체(A)가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도록 그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일측에 레버 스위치 본체(A)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 스위치 본체(A)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일단에는 바디 관통구(110)가 배치되는데, 바디 관통구(110)에는 스티어링 휠(미도시)과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부(100)는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레버 스위치 본체(A)는 레버(201),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스위치 하부 바디(4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01)는 운전자가 상/하/좌/우로 기동시켜 작동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차의 라이트 및 와이퍼 등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레버(201)는 노브, 레버암, 레버 홀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고, 이러한 레버(201)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는 레버 스위치 본체(A)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 바디부(100)의 일측 하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설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의 상면에는 메인 바디부(100)의 일측면이 안착될 수 있다.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는 끼움 결합 부재(210) 및 지지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 결합 부재(210)는 메인 바디부(100)가 끼움 결합되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후술하는 제2 체결부(520)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 결합 부재(210)는 레버(201)가 삽입되는 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의 외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끼움 결합 부재(210)의 상측방향 상면에는 삽입홀(211)이 형성되어, 메인 바디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 부재(미도시)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끼움 결합 부재(210)로부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가 구비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후술하는 제1 돌출리브(521)를 상측방향으로 지지하여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00)는 복수 개의 회로 배선 및 전기 소자를 구비하여 외부 회로와 연결되도록 하는 커넥터부(310) 및 커넥터 단자(320)들이 구비될 수 있다.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는 인슐레이터(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는 인슐레이터(300)의 하측에 배치되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와 연결설치됨으로써 레버 스위치 본체(A)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바닥면 일측에는 후술하는 결합공(5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510)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제1 체결부(510)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을 체결할 수 있다.
제1 체결부(510)는 체결나사(511),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체결나사(511)가 체결되는 결합공(512) 및 결합공(512)과 대응되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나사(511)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에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공(512)은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공(512)은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하면과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520)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제2 체결부(520)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을 체결할 수 있다.
제2 체결부(520)는, 인슐레이터(3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슐레이터(30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리브(521) 및 제1 돌출리브(521)의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돌출리브(522)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에 형성되며 제2 돌출리브(522)가 걸림되어 제2 돌출리브(522)와 후크 걸림되는 후크 걸림 부재(5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리브(521) 및 제2 돌출리브(522)는 수직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 걸림 부재(523)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 하면으로부터 제2 돌출리브(522)가 형성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와 인슐레이터(300)를 결합시킨다. 레버 스위치의 하부 바디(400)의 상면에 인슐레이터(300)를 올리고, 인슐레이터(30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돌출리브(522)와 후크 걸림 부재(523)를 후크 걸림 시킨다. 이후 레버(201)를 인슐레이터(3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회로 배선 및 전기 소자와 연결시켜 장착시킨다.
다음으로, 인슐레이터(300)의 상면에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를 올리고, 인슐레이터(300)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 돌출리브(521)에 지지부재(220)가 삽입된다. 이때, 제1 돌출리브(521)는 지지부재(2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부재(220)가 제1 돌출리브(521)를 상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타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520)를 통해 후크결합 된다.
다음으로,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512)에 체결나사(511)를 삽입하고, 체결나사(511)는 인슐레이터(3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체결나사(511)가 관통되는 관통공(513)을 관통하여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에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부(514)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의 일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510)를 통해 나사결합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200), 인슐레이터(300) 및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400)를 체결하는 제1 체결부(510) 및 제2 체결부(520)의 체결방식을 각각 상이한 방식으로 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부품의 중량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상세한 설명>
100: 메인 바디부
200: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300: 인슐레이터
400: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
510: 제1 체결부 520: 제2 체결부

Claims (5)

  1. 일측에 레버 스위치 본체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부;
    상기 레버 스위치 본체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 바디부의 일측 하면에 결합되어, 다수의 전장부품이 내설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의 하측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측에 배치되는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일측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후크 결합 방식으로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를 체결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체결나사;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나사가 체결되는 결합공;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어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 상기 인슐레이터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관통공; 및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에 원통형 형태로 형성된 체결나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측면에 돌출되어형성된 제1 돌출리브;
    상기 제1 돌출리브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리브와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 돌출리브;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리브가 걸림되어 상기 제2 돌출리브와 후크 걸림되는 후크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부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레버 스위치 상부 바디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체결부와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끼움 결합부재; 및
    상기 끼움 결합부재로부터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가 구비되는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리브를 상측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인슐레이터 및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걸림 부재는, 상기 레버 스위치 하부 바디의 타측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리브가 형성된 상측방향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5. 삭제
KR2020190000138U 2019-01-10 2019-01-10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92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8U KR200492551Y1 (ko) 2019-01-10 2019-01-10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38U KR200492551Y1 (ko) 2019-01-10 2019-01-10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7U KR20200001607U (ko) 2020-07-20
KR200492551Y1 true KR200492551Y1 (ko) 2020-11-04

Family

ID=7183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38U KR200492551Y1 (ko) 2019-01-10 2019-01-10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5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383B2 (ja) * 1994-09-22 1999-04-12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スイッチの構造
KR100446838B1 (ko) * 1996-05-13 2004-11-0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콤비네이션스위치의설치구조
KR100658045B1 (ko) * 2004-12-31 2006-12-15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그널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1383B2 (ja) * 1994-09-22 1999-04-12 ナイルス部品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スイッチの構造
KR100446838B1 (ko) * 1996-05-13 2004-11-08 나이루스 가부시키가이샤 콤비네이션스위치의설치구조
KR100658045B1 (ko) * 2004-12-31 2006-12-15 주식회사 신창전기 시그널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07U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3303A (zh) 摩托车前导流罩总成及其摩托车
US7180020B2 (en) Steering column module
US7527440B1 (en) Triangular vehicle light apparatus with camera
KR200492551Y1 (ko) 차량용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US20030142501A1 (en) Orientation sensitive light for mounting on motorcycles and the like
US4009363A (en) Vehicle switch attachment
CN202107046U (zh) 摩托车前导流式头部总成及其摩托车
JP3636906B2 (ja) 自動車のランプ取付構造
KR20160000738U (ko) 차량의 멀티펑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KR101703605B1 (ko) 와이퍼와 차체의 연결장치
CN212219902U (zh) 支架、悬挂式汽车仪表盘组件及汽车仪表台
CN216734058U (zh) Atv车灯光切换控制器
CN218258000U (zh) 摄像头安装组件及车辆
CN219655939U (zh) 一种便于组装的汽车日行灯
CN214930306U (zh) 一种具有照明灯的挡泥板组件
CN204196811U (zh) 线束安装结构及含线束安装结构的装置
CN212219905U (zh) 汽车仪表盘组件及汽车仪表台、汽车
US20040036417A1 (en) Lamp housing with integral circuit grid
CN211543395U (zh) 便于安装的汽车踏板
CN210760442U (zh) 一种车载灯具
CN213577306U (zh) 一种前后侧一体式led示廓灯
KR200156443Y1 (ko) 자동차용 번호판램프 부착장치
KR101608667B1 (ko) 차량의 멀티 펑션 스위치
KR20000017474U (ko) 보조표시등을 설치한 자동차용 백미러
KR200281769Y1 (ko) 자동차용 전조등어셈블리의 전구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