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763Y1 - 흑마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흑마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763Y1
KR200491763Y1 KR2020190000161U KR20190000161U KR200491763Y1 KR 200491763 Y1 KR200491763 Y1 KR 200491763Y1 KR 2020190000161 U KR2020190000161 U KR 2020190000161U KR 20190000161 U KR20190000161 U KR 20190000161U KR 200491763 Y1 KR200491763 Y1 KR 200491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plate
top plate
black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욱완
Original Assignee
하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욱완 filed Critical 하욱완
Priority to KR2020190000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흑마늘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흑마늘 제조장치는 내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전기솥과 전기솥 내에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포함하고, 선반은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늘판과 그 마늘판의 위쪽에 위치한 상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흑마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black garlic}
본 고안은 흑마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예로부터 여러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뇌졸중, 고혈압, 동맥경화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인(alliin)으로 인한 특유의 냄새 및 매운맛 때문에 생마늘 섭취를 꺼리는 사람이 있다. 이에 반해, 고온의 간접적인 열로 숙성시켜 만든 흑마늘은 마늘 특유의 불쾌한 냄새와 매운맛이 감소하여 생마늘의 섭취를 꺼리는 사람도 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흑마늘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마늘의 껍질을 제거하고 동결/건조, 분쇄 등의 사전 가공 작업을 수행한 후 고온 가열 및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는 등 가정에서 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마늘을 껍질째 그대로 발효시켜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는 흑마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란 흑마늘 제조장치의 일 예는, 내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전기솥; 및 상기 전기솥 내에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솥은 흑마늘 제조를 위한 기 정의된 가열 패턴에 따라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 가정에서도 손쉽게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흑마늘 제조시 껍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흑마늘 자체의 수분을 이용하여 고온 숙성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흑마늘 제조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발효 중인 마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흑마늘을 놓는 선반의 가운데 부분이 원통 기둥 모양으로 위아래가 뚫려 있어 열기가 효율적으로 전기솥 내에서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생마늘을 껍찔째 그대로 숙성시키므로 발효 중 마늘 냄새가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전체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에 마늘을 올려놓은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흑마늘 제조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흑마늘 제조장치는 내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전기솥(100)과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도 2의 200)을 포함한다. 선반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다시 살펴본다.
전기솥(100)은 본체(110), 뚜껑(120), 뚜껑버튼(122), 기능조작부(130) 등을 포함한다. 기능조작부(130)는 통마늘을 흑마늘로 만드는 흑마늘 버튼(140), 외톨마늘을 흑마늘로 만드는 외톨마늘 버튼(142), 건조버튼(150), 표시부(160), 시작버튼(170) 등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종래의 다양한 전기솥과 같이 전기솥에 넣고 뺄수 있는 내부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전기솥(100)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내부 온도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전기솥(100)은 흑마늘 제조를 위한 온도제어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솥(100)은 통마늘을 흑마늘로 만드는 제1 온도제어패턴과 외톨마늘을 흑마늘로 만드는 제2 온도제어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통마늘을 위한 제1 온도제어패턴은 4일간 가열 - 1일간 가열 중지(즉, 실온 건조과정) - 3일간 가열의 패턴일 수 있다. 전기솥(100)은 가열 시 내부 온도를 기 정의된 일정 온도(예를 들어, 85도)로 제어할 수 있다.
전기솥(100)에 별도의 물을 공급하지 않고 마늘 자체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이용하여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도록 마늘을 껍질째 전기솥(100)에 넣는다. 그러나 전기솥(100)에 별도의 선반 없이 여러 마늘을 넣은 후 가열하면, 마늘 자체에서 발생한 수분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한 마늘은 물러질 수 있으며, 또한 위쪽에 위치한 마늘과 아래쪽에 위치한 마늘에 가해지는 온도 차이로 인해 마늘이 골고루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는 도 2 이하와 같이 전기솥에 마늘을 넣을 때 사용하는 선반(200)을 제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전체 형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의 단면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반에 마늘을 올려놓은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선반(200)은 마늘(500)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늘판(210,220)과, 마늘판(220) 위쪽에 위치한 상판(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마늘판(210,220)을 제시하고 있으나, 마늘판(210,220)의 개수는 전기솥(100)의 내부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 가능하다.
마늘판(210,220) 및 상판(230)의 크기는 전기솥(100) 내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각 마늘판(210,220)과 상판(230) 사이의 상하 간격은 마늘(500)을 놓을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간격으로 만들 수 있다. 마늘판(210,220)에 마늘(500)이 놓인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마늘판(210,220)은 마늘을 놓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212,2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두 개 층의 마늘판(210,220)이 존재하는 경우에, 열기와 수증기는 각 마늘판(210,220)의 구멍(212,222)을 통해 각 층에 골고루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마늘판 구멍(212,222)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마늘판 구멍(212,222)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로, 마늘판(210,220)을 구멍(212,222) 없이 구현할 수 있다.
상판(230)은 각 마늘판(210,220)에 껍질째 놓인 마늘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이 전기솥(100) 내부 윗면에서 응결되어 아래로 떨어질 때 마늘(500)에 닿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상판(230)은 마늘판(210,220)과 달리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판(2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늘판(210,220)은 지지대(240)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대(240)는 위아래가 뚫린 관통구를 포함하는 속이 빈 원통형의 구조물이다. 본 실시 예는 지지대의 형상으로 원통형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등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전기솥(100) 내의 열기는 지지대(240)의 관통구를 통해 위아래로 순환되므로 전기솥(100) 내부의 온도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며, 그 결과 선반에 놓인 마늘 전체에 일정한 열기가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상판(230)은 중심에 관통구에 대응하는 개구부(232)를 포함하므로, 상판(230)에 떨어진 물은 고여 넘치지 않고 지지대(240)의 관통구를 통해 전기솥(100) 바닥으로 흐를 수 있다. 바닥으로 떨어진 물이 가열되어 마늘의 숙성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 예는 흑마늘 제조시 전기솥(100)에 별도의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다른 실시 예로, 상판(230)으로 떨어진 물이 바닥으로 보다 잘 흐를 수 있도록 상판(230)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선반(200)은 손잡이(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50)는 실시 예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기솥 200: 선반
210,220: 마늘판 230: 상판

Claims (5)

  1. 내부 온도 제어가 가능한 전기솥; 및
    상기 전기솥 내에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마늘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늘판;
    상기 마늘판의 위쪽에 위치하여, 상기 전기솥의 내부 윗면에서 응결되어 아래로 떨어지는 물이 상기 마늘판에 놓인 마늘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상판; 및
    상기 마늘판과 상기 상판을 고정하고, 위아래가 뚫려있는 관통구를 포함하는 일정 높이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바깥에서 안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져 있고, 상기 상판의 중심은 상기 관통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에 떨어진 물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지지대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전기솥의 바닥으로 흐르고,
    상기 전기솥은 흑마늘 제조를 위한 기 정의된 가열 패턴에 따라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판은 마늘을 놓는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판 및 상판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제조장치.
KR2020190000161U 2019-01-11 2019-01-11 흑마늘 제조장치 KR200491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61U KR200491763Y1 (ko) 2019-01-11 2019-01-11 흑마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61U KR200491763Y1 (ko) 2019-01-11 2019-01-11 흑마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63Y1 true KR200491763Y1 (ko) 2020-06-01

Family

ID=7107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61U KR200491763Y1 (ko) 2019-01-11 2019-01-11 흑마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6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69B1 (ko) * 2007-09-05 2009-02-10 정하동 흑마늘 숙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1352U (ko) * 2008-05-02 2009-11-05 서상문 스팀분사 접착식 마늘증숙기
KR101220827B1 (ko) * 2011-05-09 2013-01-10 허승재 흑마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흑마늘 제조방법
KR101289179B1 (ko) * 2010-03-22 2013-07-26 유충일 전기밥솥용 흑마늘 제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69B1 (ko) * 2007-09-05 2009-02-10 정하동 흑마늘 숙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1352U (ko) * 2008-05-02 2009-11-05 서상문 스팀분사 접착식 마늘증숙기
KR101289179B1 (ko) * 2010-03-22 2013-07-26 유충일 전기밥솥용 흑마늘 제조기
KR101220827B1 (ko) * 2011-05-09 2013-01-10 허승재 흑마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흑마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7399B2 (ja) 電子レンジ用調理器
KR20040054706A (ko) 증기 흐름 조절 수단을 구비한 압력솥용 조리 바구니
US3659585A (en) Two-part roasting pan
JP2007536922A (ja) オーブン内における調理方法及び該方法を行うための器具
JP4639873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491763Y1 (ko) 흑마늘 제조장치
US2081751A (en) Corn popper
JP3200863U (ja) 蒸しご飯製造装置
KR101152903B1 (ko) 만두 찜용 항아리
KR100753622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JP2002262995A (ja) 蓋付きマイクロ波調理用鍋
JP5838403B2 (ja) 電子レンジ用炊飯容器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JP7227490B2 (ja) 炊飯器
CN108917395A (zh) 一种蜂窝烧结盘
CN211746725U (zh) 竹笋蒸煮装置
CN208274502U (zh) 活底注水烤盘
JP2006192102A (ja) 炊飯調理鍋
US714537A (en) Attachment for ovens.
CN204600168U (zh) 一种滴水式蒸煮装置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101216385B1 (ko) 홍삼 진액 제조용기
KR100564038B1 (ko) 수증기순환식 밥짓기 보조용구
KR20110106154A (ko) 전기밥솥용 흑마늘 제조기와 그 운용방법
CN211324321U (zh) 一种电热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