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54Y1 - 상태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상태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54Y1
KR200491254Y1 KR2020190004776U KR20190004776U KR200491254Y1 KR 200491254 Y1 KR200491254 Y1 KR 200491254Y1 KR 2020190004776 U KR2020190004776 U KR 2020190004776U KR 20190004776 U KR20190004776 U KR 20190004776U KR 200491254 Y1 KR200491254 Y1 KR 200491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ate
groove
wheel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주)하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얀 filed Critical (주)하얀
Priority to KR2020190004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Abstract

본 고안은 상태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판, 전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되, 그 하부인 각각의 내측면의 중심부 및 하측부가 서로 이격되어 빈공간이 형성된 후면판 및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측부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 빈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의 양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서로 다른 상태가 표기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으로 상태 표시를 변경 및 고정하는 알림판을 포함하되, 후면판 내측면과 알림판의 일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및 고정됨으로써 일면에 표기된 문구가 보이는 상태바퀴를 포함하고, 상태바퀴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후면판의 내측면에 안착되고, 타면에 개도율 및 물질명이 표기되어 작업자가 밸브의 개도율 및 물질명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태알림장치 {Device for State Notice}
본 고안은 상태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에 설치되어 문이나 밸브의 열림 상태, 닫힘 상태 및 개도율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및 기체가 흐르는 각종 산업용 파이프 연결시설, 예를 들어 유체관, 가스관 및 상수도관 등은 필요에 따라 그 흐름을 조절하거나 단수 및 차단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관로 상에 밸브가 설치된다.
즉, 관로 상에 설치된 밸브는 그 개폐 정도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수리 및 보수 등의 사용 상태에 따라 관로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는 별도의 개폐 여부를 표시하고 있지 않아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일일이 밸브 상태를 보고 확인해야만 했다.
예를 들어, 밸브의 신속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밸브의 개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작업자는 밸브의 오작동으로 인해 관로 내 압력이 증가되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관로 내 압력 증가로 인해, 관로 설비가 파괴되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밸브의 개방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인수인계 시 밸브의 개방 정보가 정리되어 작성된 점검표 및 기록지를 일일이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밸브의 개도율이 작성된 점검표 및 기록지가 분실되면, 작업자는 밸브의 상태를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밸브의 개방 정도를 알기 위해 직접 밸브를 살펴보거나 작동해야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안전이 완전하게 확보되지 못한 상황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4749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18-000046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작업자가 밸브의 개폐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작업자가 밸브의 개방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는 전면판, 후면판, 알림판 및 상태바퀴를 포함한다. 후면판은 상기 전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의 상측부가 결합되되, 그 하부인 각각의 내측면의 중심부 및 하측부가 서로 이격되어 빈공간이 형성되고, 알림판은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측부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 빈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의 양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서로 다른 상태가 표기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으로 상태 표시를 변경 및 고정한다. 또한 상태바퀴는 상기 후면판 내측면과 상기 알림판의 일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끔 결합되며, 회전 및 고정됨으로써 일면에 표기된 문구가 보이게끔 구성된다.
상기 상태바퀴는 상기 후면판에 안착되는 면의 타면에 개도율이 표기되어 회전 및 정지됨으로써 작업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개도율을 변경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태바퀴는 외주면이 복수개의 톱니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는 밸브에 설치 및 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밸브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열림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을 변경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밸브에 설치 및 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개도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밸브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급 상황이나 신속한 조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밸브의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어, 빠른 판단 및 대처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에 대해 "가"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에 대해 "나"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전면판(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알림판(2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후면판(30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개도율 정보의 일예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개도율 정보의 다른 예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물질명 정보의 일예이다.
도 1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알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에 대해 "가"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에 대해 "나"방향을 기준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태알림장치(10)는 전면판(100), 알림판(200), 후면판(300) 및 상태바퀴(400)를 포함한다.
전면판(100)과 후면판(300)은 상측부가 서로 고정 결합되되, 그 하부인 각각의 내측면의 중심부 및 하측부는 서로 이격되어 빈공간이 형성된다. 알림판(200)은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300)의 상측부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 빈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및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태알림장치(10)가 위치한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상태가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판(300) 내측면과 상기 알림판(200)의 후측면(A)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상태바퀴(400)에 의해, 작업자는 밸브의 열림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 및 물질명을 변경 및 고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알림장치(10)가 고정 및 거치될 수 있는 장소는 예를 들어, 각종 산업용 파이프 연결시설의 관로 상에 설치된 밸브나 문고리 등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도 4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전면판(1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판(100)은 제1회전지지부(110), 제1결합고정부(120), 제1반달홈부(130) 및 보조홈(101)을 포함한다.
제1회전지지부(110)는 전면판(100)의 내측면 하단에 형성되어 알림판(200)의 전면측(B) 중심부와 대응된다. 또한, 제1회전지지부(110)는 알림판(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알림판(200)이 회전되도록 하거나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제1회전지지홈(111), 제1회전지지돌기(112), 제1고정홈(113) 및 돌기단턱(114)을 포함한다.
제1회전지지홈(111)은 제1회전지지부(11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1회전지지홈(111)은 단차되어 원형의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알림판(200)의 중심부, 즉 회전부(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회전지지돌기(112)는 제1회전지지홈(111)의 중심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모서리가 라운드진 원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가 라운드 지게 구성된 것은, 알림판(200)의 제1이동홀(221) 내지 제3이동홀(223)이 서로 간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쉽게 상태알림장치(10)의 표시 상태를 변경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지지돌기(112)는 알림판(200)이 전면판(100)과 결합되어 회전 시, 제1이동홀(221)이 안착하여 1 차적으로 중심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2차적인 중심지지 역할은 아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알림판을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1회전지지홈(111)에는 둘레 면 하단에 상기 알림판(200)의 회전부(220)와 대응되게 턱이 구성된다. 이는, 상기 알림판(200)의 회전부(220)가 회전 시, 가압되는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알림판(200)이 회전/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돌기단턱(114)은 제1회전지지홈(111)의 둘레면 하단에 4분기 지점마다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구성은, 알림판(200)이 회전 시, 90도 지점마다 걸리게끔 구성되어, 작업자가 알림판(200)의 회전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제1고정홈(113)은 제1회전지지홈(111)에서 하측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차된 형상이다. 상기 제1고정홈(113)은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하측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돌출된 형상이다. 이로 인해, 제1지지턱(225)이 제1고정홈(113)에 위치하면 고정될 수 있다.
제1결합고정부(120)는 전면판(100)의 내측면 상측부에 형성되어, 전면판(100)이 후면판(300)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결합고정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1) 및 제1둘레돌출턱(122)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1)은 내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판(300)의 일부 구성요소가 압입되도록 한다.
제1둘레돌출턱(122)은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1) 둘레에 형성된다. 또한, 제1둘레돌출 턱(122)은 소정 높이를 갖고 전면판(100)이 후면판(300)과 결합되었을 때, 전면판(100)과 후면판(300)과의 사이에 알림판(200)이 위치할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된다.
제1반달홈부(130)는 전면판(100)의 테두리에 반달 홈 형태로 설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반달홈부(130)는 전면판(100)이 제1결합고정부(120)에 의해 후면판(300)과 결합되면,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에 상태알림장치(10)를 설치 및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끈이나 고리 등의 연결수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전면판(100) 상측부에 위치하면서 제1반달홈부(130)의 하측부 중심에 위치하면서 전면판(100)을 관통하는 제1걸이공(104)이 구성된다. 후면판(300)에는 상기 후면판의 상측부에 위치하면서 제2반달홈부(330)의 하측부 중심에서, 후면판(300)을 관통하는 제2걸이공(304)이 구성된다. 이는, 전면판(100)과 후면판(300)이 결합 될 때, 상태알림장치(10)를 종축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걸이공(104,304)을 통해 작업자가 끈이나 고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장소에 상태알림장치(10)를 설치 및 거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면판(100)의 하측부 방향의 끝 면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보조홈(101)이 구성된다. 이는, 알림판(200)의 표시공(228)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측부임과 동시에, 전면판(10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홈이 구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더 넓은 시야확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알림판(2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알림판(200)은 후면측(A)과 전면측(B) 모두 몸체부(210), 회전부(220) 포함하고, 후면측(A) 전면측(B)를 관통하는 표시공(228)을 포함한다. 전면측(B)이 전면판(100)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후면측(A)가 후면판(300)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이로 인해, 상태알림장치(10)의 현재 위치에 따른 서로 다른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몸체부(210)는 알림판(200)의 몸체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양면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다른 상태가 표시된다. 제3이동홀(223)을 기준으로 하측부는'열림'이 표기되고, 상측부는'닫힘'이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부(220)는 알림판(200)의 중심부, 즉 몸체부(210)의 양면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한, 회전부(220)는 회전지지부(110,310)에 의해, 상하 이동, 회전 및 고정됨으로써, 몸체부(210)의 양측에 표시된 서로 다른 상태가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20)는 양면을 관통하는 제1이동홀(221), 제2이동홀(222) 및 제3이동홀(223)과 양면에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홈(224), 회전지지턱(225,226) 및 지지턱돌기(227)를 포함한다.
제1이동홀(221)은 회전부(220)의 중심에서 후면측(A)과 전면측(B)을 관통한다. 또한, 제1이동홀(221)은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되어 몸체부(210)를 회전시킨다.
제2이동홀(222)은 제1이동홀(221)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며, 후면측(A)과 전면측(B)를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이동홀(222)은 제1이동홀(221)이 제1회전지지 돌기(112)를 벗어나 제1고정홈(113)에 위치하면,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되어 전면판(100)과 알림판(200)을 밀착시키게 된다.
제3이동홀(223)은 제1이동홀(221)을 중심으로 제2이동홀(222)과 반대편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여 알림판(200)의 양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3이동홀(223)은 제1이동홀(221)이 제1회전지지돌기(112)를 벗어나 제1고정홈(113)에 위치하면,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되어 전면판(100)과 알림판(200)을 밀착시키게 된다. 즉, 제3이동홀(223)은 제2이동홀(222)과는 상반되게 위치하여, 제1이동홀(221)의 회전 및 이동에 따라 알림판(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이드홈(224)은 제1이동홀 내지 제3이동홀(221~223)의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몸체부(210)의 양면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가이드홈(224)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이동홀 내지 제3이동홀(221~223)이 형성되게끔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224)은 제1 내지 제3이동홀(221~223)이 제1회전지지부(110)에 의해 알림판(20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회전부(220)를 가이드하여, 상기 회전부(220)가 제1회전지지돌기(112)를 완만하게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지턱(225,226)은 제1이동홀(221)의 둘레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고, 몸체부(210)의 양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회전지지턱(225,226)은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된 제1이동홀 내지 제3이동홀(221~223)에 따라 2 가지 기능이 수행된다. 먼저, 회전지지턱(225,226)은 제1이동홀(221)이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되면, 제1회전지지홈(111)의 내측에 안착되어 회전부(220)를 2차적으로 중심지지 및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기능에 있어서, 회전지지턱(225,226)이 제2이동홀(222) 또는 제3이동홀(223)이 제1회전지지돌기(112)에 삽입되면, 제1고정홈(113)의 내측에 안착되어 회전부(220)가 고정되도록 한다. 회전지지턱(225,226)은 가이드홈(224)을 기준으로 하는 한 쌍의 대괄호 형상 ([ ]) 으로, 대칭되며 꺾이는 양 끝단이 호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의 형상은 회전지지홈(111,311)에서 회전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대괄호 형상의 장경구간은 회전을 멈추고 고정홈(113,313)에서 고정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지지턱(225,226)은 상기 대괄호 형상의 장경구간의 중단에 홈이 형성되어, 대괄호 형상이 4 분기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지지턱(225)의 상면에는 설정간격으로 끝이 뾰족하게 돌출된 복수의 지지턱돌기(22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돌기(227)는 설정 간격으로 끝이 평평한 복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알림판(200)이 돌아갈 때, 상기 돌기단턱(114)과 맞물리며 결합하여, 가압되는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알림판이 회전 및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후면측(A)에 위치하는 제2지지턱(226)은 필요에 따라 지지턱돌기(227)가 형성될 수 있다.
표시공(228)은 회전부(220)의 하측부에 위치하여 알림판(200)의 양 면을 관통하고, 하측부 방향으로 볼록한, 상측부와 하측부가 호로 이루어진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220)의 하측부는 밸브의 '열림'이 표기되며, 제2이동홀(222)이 회전지지돌기(112,312)에 안착되고 지지턱(225,226))이 고정홈(113,313)에 위치하면, 표시공(228)이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표시공(228)은 작업자가 상태바퀴(400)의 표기면(411)에 표기된 문구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표시공(228)은 회전부(220)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 모두 존재할 수 있다. 회전부의 상측부에는 밸브의 "닫힘"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바퀴(400)에 물질명이 표기되어 사용 시, 제3이동홀(223)이 회전지지돌기(112,312)에 안착하여, 지지턱(225,226)이 고정홈(113,313)에 위치하면, 회전부(220) 상측부에 위치한 표시공(228)이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는'닫힘' 상태에서도 물질명을 쉽게 확인할 수도 있다.
알림판(200)은 후면판(300)의 조절홈(303)에 상응하는 양 측면의 위치에서, 조절홈(303)의 장경 길이로 단차된 돌림보조홈(201)을 형성할 수 있다. 돌림보조홈(201)은 몸체부(210)의 양 측면에서 이면과 타면으로 관통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처럼 관통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조절홈(303)을 통해 상태바퀴(400)를 회전시킬 때 더 넓은 면적을 제공하여 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후면판(300)의 사시도이다.
후면판(300)은 제2회전지지부(310), 제2결합고정부(320), 제2반달홈부(330), 안착홈(301) 및 레일부(340)를 포함한다.
후면판(300)은 내측면 하측부에 알림판(200)의 후면측(A)의 회전부(2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전면측(B)의 회전부(220) 전면판(10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아울러 후면판(300)은 전면판(100)의 제1회전지지부(110), 제1결합고정부(120) 및 제1반달홈부(130)와 대칭되어 결합된다.
제1회전지지부(110)과 대칭되는 제2회전지지부(310)는 알림판(200)이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제2회전지지홈(311), 제2회전지지돌기(312) 및 제2고정홈(313)이 구성된다.
제2회전지지홈(111)은 제2회전지지부(310)의 일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2회전지지홈(311)은 단차되어 원형의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알림판(200)의 중심부, 즉 회전부(2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제2회전지지돌기(312)는 제2회전지지홈(311)의 중심에 위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모서리가 라운드진 원 기둥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가 라운드 지게 구성된 것은, 알림판(200)의 제1이동홀 내지 제3이동홈(221~223)이 서로 간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쉽게 상태알림장치(10)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회전지지돌기(312)는 알림판(200)이 전면판(100)과 결합되어 회전 시, 제1이동홀(221)이 안착되어 중심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회전지지홈(311)은 평면인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둘레면 하단에 돌출된 아나 이상의 돌기단턱(114)이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300)의 제2결합고정부(320)는 전면판(100)에 제1결합고정부(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1)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321)는 제2결합고정부(3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121)에 압입됨으로써 후면판(300)이 전면판(100)과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121)과 끼움돌기(321)은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고 압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끼움홈(121) 및 끼움돌기(321)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반달홈부(330)는 후면판(300)의 테두리에 반달 홈 형태로 설정 높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반달홈부(130)는 후면판(300)이 제2결합고정부(320)에 의해 전면판(100)과 결합되면,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위치에 상태알림장치(10)를 설치 및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에 끈이나 고리 등의 연결수단을 삽입시킬 수 있다.
후면판(300)은 전면판(100)보다 장경의 길이가 길게 구성되어 더 넓은 면적을 제공하여 상태바퀴(4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전면판(100)과의 길이가 같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안착홈(301)은 바퀴단턱(302) 및 조절홈(303)을 포함한다.
안착홈(301)은 후면판(300)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회전지지부(310)를 중심으로 하여 단차된 홈이다. 이는, 상태바퀴(400)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알림판(200)의 장경보다는 작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바퀴(400)의 안착면(410)이 후면판(300)의 내측면과 마주보게 안착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301)의 외주면 하단에 상기 상태바퀴(400)의 톱니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게 하나 이상의 돌출된 바퀴단턱(302)이 형성된다. 이는, 상태바퀴(400)가 안착되어 회전 시, 가압되는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각각의 톱니가 스톱 및 패스되게끔 구성되어, 톱니 하나 단위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알림판(200)이 회전 시, 상태바퀴(400)가 알림판(200)을 따라서 돌지 않도록 한다. 조절홈(303)은 안착홈(301)의 양 측단부에 위치하고, 상태바퀴(400)의 기어 일부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조절홈(302)을 통해 손쉽게 상태바퀴(400)를 돌려서 원하는 문구를 표기할 수 있다.
레일부(340)는 외측레일(341), 레일홈(342) 및 내측레일(343)을 포함한다.
레일부(340)는 상기 안착홈(301)의 중심에 위치한다. 외측레일(341)은 상기 안착홈(301)과 같은 중심점에서 설정 크기의 원 둘레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내측레일(343)은 상기 외측레일(341)을 내측으로 이격하여 보다 작은 크기의 원 둘레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레일홈(342)은 그 사이의 이격된 틈을 말한다. 외측레일(341)과 레일홈(342)은 상태바퀴(400)가 설정된 위치에 바르게 안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내측레일(343)은 상태바퀴(400)와 제2회전지지부(310)가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바퀴(400)는 안착면(410)과 표기면(411)을 포함한다.
상태바퀴(400)는 중심부가 비어 있고, 외주면은 복수개의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니 형상으로 인해 작업자는 쉽게 상태바퀴(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안착면(410)에는 후면판(300)에 안착 시, 외측레일(341)과 상응하는 위치에, 상기 외측레일(341)을 ㄷ 형상으로 감싸게끔 단차된 홈인 리드레일(420)이 구성된다. 리드레일(420)은 상기 레일부(340)와 결합되어, 상태바퀴(400)가 회전 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리드레일(420)은 하나로 된 일체형일 수 있고, 설정 지점에서 연결이 끊기게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레일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틈(421)은 상태바퀴(400)가 외부요인으로 비틀림이 발생 시, 변형 면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 온도 내에서 약간의 비틈림이 발생하여도 바퀴가 돌아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면(410)의 타면인 표기면(411)에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문구가 표기된다. 상기 표기면(411)에는 밸브의 열림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이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정보의 예를 도시한 예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개도율 정보의 일예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개도율 정보의 다른 예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상태바퀴(400)에 표시되는 물질명 정보의 일예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표기면(411)에는 밸브의 열림 정도를 나타내는 개도율이 백분율로 5 ~ 100 %로 표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개도율은 분수로 1/5, 1/4, 1/3 등으로 표기될 수도 있다. 개도율 표시 옆에는 "밸브안전(VALVE SAFETY)" 또는, 작업자가 직접 선정한 별도의 문구를 표기하도록 한다. 개도율의 임의 표시 시, "밸브안전(VALVE SAFETY)"로 변경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개도율 대신 물질명을 표기하여 관로의 물질명을 표기할 수도 있다. 물질명 표기와 옆에는 "밸브안전(VALVE SAFETY)" 또는, 작업자가 직접 선정한 별도의 문구를 표기하도록 한다. 물질명의 임의 표시 시, "밸브안전(VALVE SAFETY)"로 변경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기면(411)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기면(411)은 알림판(200)의 후면측(A)과 마주보게 결합된다. 따라서 알림판(200)의 표시공(228)을 통해 작업자는 표기면(411) 문구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알림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알림장치의 저면도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태알림장치(10)는 작업자 및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자인 및 문구를 채택하여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9)

  1. 전면판;
    상기 전면판과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의 상측부가 고정 결합되되, 그 하부인 중심부 및 하측부는 서로 만나지 않고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상측부가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 빈 공간에 위치하여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체의 양면에는 일측과 타측에 서로 다른 상태 정보가 표기되어, 회전 및 상하 이동으로 상태 정보의 표시를 변경 및 고정하는 알림판; 및
    상기 후면판 내측면과 상기 알림판의 일면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및 고정됨으로써 일면에 문구가 표기된 상태바퀴;를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의 내측면 하측부에 구성되고, 상기 알림판 양면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알림판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알림판을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판에 속한 제1회전지지부는 상기 알림판의 중심부와 대응되게 턱이 구성되어, 상기 알림판의 중심부가 회전 시, 가압되는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알림판이 회전 또는 정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바퀴는,
    상기 후면판의 내측면에 안착되고, 타면에 개도율이 표기되어, 회전 및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개도율을 변경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바퀴는,
    상기 후면판의 내측면에 안착되고, 타면에 물질명이 표기되어, 회전 및 고정됨으로 작업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물질명을 변경 및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바퀴는,
    상기 상태바퀴의 외주면이 복수개의 톱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판은,
    양면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설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알림판이 상기 회전지지부에 결합되어 회전 및 정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턱;을 포함하되,
    상기 전면판의 제1회전지지부의 돌기단턱에 대응하는 제1지지턱은, 상면에 다수의 돌기가 구성되어, 상기 알림판이 회전 시, 가압되는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알림판이 회전 또는 정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턱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판은,
    일면이 상기 상태바퀴의 문구가 표기된 면과 마주보게 결합되고, 상기 문구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일면과 타면을 관통한 홈을 형성하여, 상태바퀴의 문구가 보이도록 구성된 표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후면판의 내측면 하측부에 구성된 제2회전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상기 제2회전지지부와 분리되어 단차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상기 상태바퀴의 일면이 마주보게 안착되어, 상기 상태바퀴가 회전하는 공간인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외주면 하단에 상기 톱니의 회전 위치에 대응하게 턱이 형성되어 상기 상태바퀴가 회전 시 회전력의 세기에 따라 상기 톱니가 스톱 또는 패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퀴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알림장치.
KR2020190004776U 2019-11-26 2019-11-26 상태알림장치 KR200491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6U KR200491254Y1 (ko) 2019-11-26 2019-11-26 상태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76U KR200491254Y1 (ko) 2019-11-26 2019-11-26 상태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54Y1 true KR200491254Y1 (ko) 2020-03-10

Family

ID=6976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76U KR200491254Y1 (ko) 2019-11-26 2019-11-26 상태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22Y1 (ko) 2022-05-11 2022-08-03 (주)하얀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034A (ko) * 2008-12-16 2010-06-24 오세민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140004749U (ko) 2013-02-15 2014-08-25 박용선 발판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
KR20180000469U (ko) 2016-08-09 2018-02-21 박재원 합리적인 한옥구조
KR200486784Y1 (ko) * 2018-01-30 2018-06-28 (주)하얀 상태 알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034A (ko) * 2008-12-16 2010-06-24 오세민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140004749U (ko) 2013-02-15 2014-08-25 박용선 발판이 형성된 피아노 완구
KR20180000469U (ko) 2016-08-09 2018-02-21 박재원 합리적인 한옥구조
KR200486784Y1 (ko) * 2018-01-30 2018-06-28 (주)하얀 상태 알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722Y1 (ko) 2022-05-11 2022-08-03 (주)하얀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3114A (en) Ball valve lockout mechanism
US9377113B2 (en) Spherical automatic flow emergency restrictor valve
KR200491254Y1 (ko) 상태알림장치
JP6835832B2 (ja) タップ又は減圧器の開放状態及び/又は閉鎖状態のインジケータ
KR20100057335A (ko) 개폐확인 기능을 구비한 버터플라이 밸브 장치
WO2011135119A1 (es) Llave para conducciones de suministro de agua
KR200486784Y1 (ko) 상태 알림 장치
KR20130017235A (ko) 볼 밸브 및 이를 갖는 볼 밸브 조립체
JP2000179743A (ja) 流体制御器用開閉表示装置
KR101402915B1 (ko) 밸브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버터플라이 밸브
KR101314494B1 (ko) 밸브너트 록킹장치
JP2005214951A (ja) 水道メータユニット
JP5988635B2 (ja)
KR200327633Y1 (ko) 수동식 밸브
KR200475084Y1 (ko) 상태 알림 장치
US3289696A (en) Tamper-proof control for a by-pass type meter bar
JP4468675B2 (ja) 水道用メータユニット
CN211449727U (zh) 上装式球阀
KR101192831B1 (ko) 차단밸브의 개폐여부 표시장치
JP2015072060A (ja) サドル分水栓
JP2017026048A (ja) 流体制御器用銘板付きハンドル
KR102197790B1 (ko) 사이트 글라스 밸브
JP6063784B2 (ja) ガスメータ
CN209839301U (zh) 一种管系阀件的开闭控制结构
JP6809990B2 (ja) マニホールド型流体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