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034A -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034A
KR20100069034A KR1020080127584A KR20080127584A KR20100069034A KR 20100069034 A KR20100069034 A KR 20100069034A KR 1020080127584 A KR1020080127584 A KR 1020080127584A KR 20080127584 A KR20080127584 A KR 20080127584A KR 20100069034 A KR20100069034 A KR 20100069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splay
polarizing plate
transparent
charac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민
Original Assignee
오세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민 filed Critical 오세민
Priority to KR102008012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9034A/ko
Publication of KR2010006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09F19/04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operated by the opening or closing of doors, e.g. shop d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편광시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비어있음) 표시를 나타내는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Display for public utility}
본 발명은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편광시트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비어있음) 표시를 나타내는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실이나 옷을 갈아입는 부스와 같은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로서, 도어 잠금장치와 연결된 회전판의 원주방향을 따라 1/4 간격으로 사용중, 비사용, 사용중, 비사용중의 문자들을 통해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1/4 간격 문자는 그 크기가 제한되어, 문자가 작게 보여 사용유무를 바로 확인하기 곤란하고, 대체적으로 공공시절이 다소 어두운 곳에 있어 잘 보이지 않아 전체적으로 시인성이 좋지 않다.
시인성을 좋게 하기 위해 문자를 크게 해야하는데, 사용유무 표시장치가 전체적으로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잠금장치의 작동에 의해 표시판을 비추는 점등방식 예컨대 솔라셀을 이용한 LCD를 점등하여 사용유무를 표시하는 장치가 있다.
이는 전기 부분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이 많이 소요되고 배선이 복합하다.
또한, 물 등을 많이 쓰는 화장실에서 물로 쇼트 등이 일어나 감전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 사용유무 문자의 시인성을 높이면서 물이나 습기에 안전한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사용유무의 문자를 표시한 표시편광판; 상기 표시편광판에 대응되는 투시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편광판 또는 상기 투시편광판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표시편광판과 상기 투시편광판의 위상차에 따라 사용유무를 표시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편광판의 위상차에 의해 사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습기나 물에 취약하지 않다.
본 발명의 청구항2에 기재된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상기 투시편광판은 상기 표시편광판에 대해 회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표시편광판이 비회전 고정판이기 때문에, 사용중 문자와 비사용중 문자를 1/2 간격으로 새길 수 있어 어느 하나의 문자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눈에 잘 띄게 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와 같이 사용중 문자 1자만을 써 도 가능하기 때문에 시인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3에 기재된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상기 투시편광판은 구동회전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표시편광판에는 사용중 문자가 새겨지고, 상기 구동회전판에는 비사용중 문자와 다른 문자를 병행해서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시편광판의 회전뿐 아니라 구동회전판의 전면에 비사용중 문자와 회사의 로고나 웹 주소 등을 새겨,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 문자를 확실히 인식하면서 큰 글씨로 볼 수 있고, 광고판으로서 기능도 병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편광판에 의해 사용유무의 문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부분을 제외시켜 구성이 간단하고 습기나 물에 대해 쇼트 등과 같은 감전사고와 전혀 무관하여 안전하다.
투시편광판을 회전, 표시편광판을 고정판으로 구현함으로써, 단일 문자(사용중 또는 비사용중)를 새기거나 2중 문자(사용중 및 비사용중)를 1/2 간격으로 새길 수 있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문자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눈에 잘 띄게 할 수 있다.
투시편광판을 회전시키는 구동회전판의 전면에 비사용중 문자와 회사의 로고나 웹 주소 등을 병행해서 새겨 사용중 문구와 비사용중 문구를 사용자에게 모두 보여주면서 광고판으로의 기능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의 사용유무의 문자는 사용중, 비사용중 또는 이들 문자 모두가 새겨진 것을 포함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고정표시편광판(10)과 회전투시편광판(30)으로 구성하여 있다.
고정표시편광판(10)은 사용중 문자가 편광시트에 새겨진 고정편광시트(10) 자체이다.
따라서, 단일문자만 쓰기 때문에 1/4 간격으로 쓰인 문자보다 더 크게 쓸 수 있어 가장 눈에 잘 띄게 한다.
회전투시편광판(30)은 고정표시시트(10)에 마주하여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 어 있다.
회전투시편광판(30)는 회전투시판(30a)과, 이 회전투시판(30a)에 부착되는 투시편광시트(30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표시편광시트(10)와 마찬가지로, 회전투시편광판(30)도 투시편광시트(30b)로만 구현하여도 좋다.
회전투시편광판(30)은 고정표시편광판(10)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같은 위상과 다른 위상을 번갈아가며 겹쳐진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가 도어를 잠그면, 회전투시편광판(30)은 고정표시편광판(10)과 같은 위상(빛이 통과하는 방향이 서로 같음)으로 겹쳐져, 회전투시편광판(30)을 통해 사용중 문자를 볼 수 있다.
반대로 화장실에서 나오기 위해 도어를 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투시편광판(30)은 다시 90도 회전하면서 고정표시편광판(10)과 다른 위상으로 겹쳐져 사용중 문자는 볼 수 없다.
이처럼 투시편광판(30)이 회전함에 따라 사용중 문자가 보이거나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편광시트만으로 사용중 문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고, 전기 사용을 완전히 배제함으로써 습기나 물에 전혀 취약하지 않아 안전하다.
회전투시편광판(30)이 직접 샤프트(90)에 의해 회전되면, 고정표시편광판(10)에도 샤프트(90)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관통공은 문자의 크기를 제한시킬 수밖에 없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회전투시편광판(30)은 별도의 구동회전판(50)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회전판(50)은 샤프트(90)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구동회전판(50)의 전면에는 비사용중(고정표시편광판에 사용중 문자만 새긴 경우)문자 또는 회사의 로고나 웹 주소를 새길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를 잠그면, 회전투시편광판(30)은 고정표시편광판(10)과 같은 위상으로 겹쳐져 회전투시편광판(30)을 통해 사용중 문자를 볼 수 있는 반면에, 후술된 하부투시공(75)에는 회사의 웹 주소를 볼 수 있다. 즉, 화장실을 사용하는 중에는 바깥에서 사용중 문구를 보면서 웹 주소도 함께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반대로 도어를 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투시편광판(30)은 다시 90도 회전하면서 고정표시편광판(10)과 다른 위상으로 겹쳐져 사용중 문자는 볼 수 없지만, 하부투시공(75)을 통해 비사용중 문자를 볼 수 있다. 즉,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바깥에서 비사용중 문구만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동회전판(50)은 투시편광판(30)의 회전도구 뿐만 아니라, 비사용중 문구를 별도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사용중 및 비사용중 유무를 확인하면서 광고하는 2중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동회전판(50)과 회전투시판(30b)은 기어와 같이 맞물리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샤프트(90)에는 다각판(91)이 형성되고, 구동회전판(50)에는 다각판(90)이 수용되는 다각판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90)의 회전력은 미끄러짐 없이 구동회전판(50)에 정확히 전달된다. 다각판수용홈(미도시)은 관통공(57)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90)는 도어의 잠금장치의 회전축(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샤프트(90)의 최선단면에는 일자홈(9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일자홈(93)은 사람이 없는데 화장실 문이 잠기거나, 사람이 있지만 급한 상황인 경우 밖에서 열 수 있게 한 공구자리면이다.
이러한 사용유무 표시장치가 수납케이스(60)와 커버(70)에 의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케이스(60)에는 상부수납실(61)과 하부수납실(66)이 성형되어 있다.
상부수납실(61)에는 고정표시판(10)이 수납되는 표시판수납홈(63)과, 회전투시판(20)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투시판수납홈(65)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수납실(61)에는 샤프트(90)가 통과하는 관통공(67)과, 구동회전판(50)이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구동회전판수납홈(68)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투시판(30b)과 구동회전판(50)이 맞물리는 부분(62)에는 투시판수납홈(65)과 구동회전판수납홈(68)의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60)에는 커버(70)가 수납되는 커버수납실(69)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70)의 상부에는 상부투시공(71)이 형성되고, 커버(70)의 하부에는 구동회전판(50)의 비사용중 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볼 수 있는 하부투시공(7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회전축(50)의 다각판수용홈(미도시)의 중심 및 커버(70)의 하부에는 관통공(57)(77)이 형성되어, 일자홈(93)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와 같은 수납케이스(60)는 지지케이스(80)에 수납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케이스(60)에는 체결관통공(83)이 형성되어 있어, 문을 잠그고 여는 잠금장치의 체결기둥(181)(182)과 스크루에 의해 체결 지지된다.
또한, 지지케이스(60)에는 관통공(87)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87)을 통해 나온 샤프트(90)에 잠금장치의 회전축(210)이 결합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 구조 및 기능은 유사하지만, 제2실시예의 고정표시편광판(10')는 고정표시판(10a)과 표시편광시트(10b)로 분리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고정표시판(10a)에는 사용중, 비사용중(비어있음) 문자가 새겨져 있다.
특히 고정표시판(10a)은 비회전형이기 때문에,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 문자를 상하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1/2 간격으로 쓰인 문자는 1/4 간격으로 쓰인 문자보다 더 크게 쓸 수 있어 눈에 잘 띤다.
또한,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 문자를 본 실시예와 같이 사용중 문자 크기를 비사용중 문자 크기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시인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물론,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 문자 중 어느 하나만이 새겨져 있는 경우(이런 경우 사용중 문자를 사용하는 게 좋다)에는 시인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표시편광시트(10b)는 사용중 문자를 커버하는 제1표시편광시트(10c)와, 비사용중 문자를 커버하는 제2표시편광시트(10d)로 구성하여 있다.
제1표시편광시트(10c)는 제2표시편광시트(10d)와 위상이 다른(예컨대 90도) 편광시트로 구성하여 있다.
투시편광시트(30b)는 제1표시편광시트(10c)와 제2표시편광시트(10d)에 대해 90도 간격으로 같은 위상과 다른 위상을 번갈아가며 겹쳐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실에 사람이 들어가 도어를 잠그면, 투시편광시트(30b)는 제1표시편광시트(10c)와 같은 위상으로 겹쳐져, 투시판(30a)을 통해 사용중 문자를 볼 수 있는 반면에, 제2표시편광시트(10d)와 다른 위상으로 겹쳐져 비사용중 문자는 볼 수 없다.
반대로 화장실에서 나오기 위해 도어를 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 시편광시트(30b)는 다시 90도 회전하면서 제2표시편광시트(10d)와 같은 위상으로 겹쳐져, 투시판(30a)을 통해 비사용중 문자는 볼 수 있는 반면에, 제1표시편광시트(10b)와 다른 위상으로 겹쳐져 사용중 문자는 볼 수 없다.
이처럼 투시편광판(30)이 회전함에 따라 사용중 또는 비사용중 이라는 문자가 보이게 된다.
고정표시판(10a)에 사용중 및 비사용중 문구 모두가 새겨진 경우, 구동회전판(50)에는 1/4간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웹 주소만을 새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7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는 제12시예와 그 구조 및 기능은 유사하지만, 표시편광판이 회전표시편광판(10'')이고, 투시편광판이 고정투시편광판(30')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샤프트(90)는 회전표시판(10a')에 결합되고, 고정투시v편광판(30')은 수납케이스(60')에 삽입 고정된다.
수납케이스(60')는 지지케이스(80')에 수납된다.
또한, 회전표시편광판(10'')이 90도마다 회전하기 때문에, 문자는 1/4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문자가 거꾸로 보이지 않도록 회전표시편 광판(10'')에 사용중 문자만 표시하거나 비사용중 문자로만 표시하는 것이 좋다(도 8 및 도 9 참조).
따라서, 회전표시판(10a')에는 1장의 표시편광시트(10b')만을 부착하면, 고정투시편광시트(30b')와 서로 작용하여, 도 8 및 도 9와 같이, 문이 잠긴 경우에는 사용중 문자만을 볼 수 있고, 문이 열린 경우에는 사용유무의 문자를 전혀 볼 수 없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유무 표시장치에 결합되는 잠금장치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에 축(210)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손잡이(200)와, 상기 축(210)에 설치되는 캠(250)과 상기 캠(250)이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잠금장치의 몸체(100)는 베이스 판과,상측벽,하측벽,좌측벽,우측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상측벽,하측벽,좌측벽,우측벽에 의해 뒷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좌측벽 또는 우측벽 중 하나가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의 우측벽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구멍(160)이 뚫려있다.
따라서, 캠(250)이 회전함에 따라, 후술하는 잠금편(300)의 끝단은 상기 구멍(160)을 삽입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몸체(100)의 좌,우 측벽의 내측면에는 각각 지지편(110,111,11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110)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벽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111,112)은 우측벽 내부의 상,하 코너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0)에 후술하는 몸체덮개(150)를 덮을 때, 상기 지지편(110, 111,112)에 의해, 상기 몸체덮개(150)가 상기 몸체(100)에 일정깊이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덮개(150)는 상기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판 형상이다.
상기 몸체덮개(150)에는, 상기 몸체덮개(15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원형상의 구멍(132)이 뚫려있으며, 상기 구멍(132)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나사구멍(191,192)을 갖는 기둥(181,18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둥(181,182)의 길이는 본 발명의 잠금장치가 도어에 설치될 때, 상기 도어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의 상,하 내부에는 나사구멍(121,122)을 갖는 "ㄴ"형상의 결합편(141,14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나사구멍(121,122)과, 상기 몸체덮개(150)에 형성된 구멍(123,124)이 연통 되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와 상기 몸체덮개(150)는 결합 된다.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몸체(10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원형상의 구멍(130)이, 상기 구멍(132)과 연통 되도록 뚫려 있다.
상기 구멍(130,132)에는 후술하는 손잡이(200)의 몸통(209)과 축(210)이 삽입 관통된다.
상기 손잡이(200)는 원판형상인 회전판(230)의 앞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00)는 사용자가 도어를 쉽게 밀고, 당길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고리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판(230)의 뒷면에는 회전판(230)의 중심에서 이어지는 몸통(20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209)에는, 상기 몸통(209)의 단면적 보다 작은 축(210)이 상기 몸통(209)의 중심에서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몸통(209)과 축(210)의 단면은 후술할 캠(250)과 표시판(500)이 함께 연동할 수 있는 타원이나,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멍(130,132)에는 상기 손잡이(200)의 몸통(209)과 축(210)이 삽입 관통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230)의 움직임을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와 회전판(230) 사이에는 패킹(240)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209)에는, 상기 몸통(209)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에 구멍(131)이 형성된 캠(250)이 끼워진다.
상기 몸통(209)의 외주면에는 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20)에는 상기 캠(250)의 이탈을 방지시키도록 스냅링(221)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200)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250)은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캠(250)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251,252)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상기 몸체(100)에는 슬라이딩 되는 잠금편(30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편(300)은 T자 형태이고, 좌측면에는 V자 형태의 홈(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편(300)에는, 상기 잠금편(300)의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구멍(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330)에는 상기 잠금편(300)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310)가 삽입되되, 상기 탄성부재(310)는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편(300)의 내측면에는 돌기(340)가 상기 구멍(33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구멍(330)에 삽입되고, 상기 돌기(340)에 의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잠금편(300)이 슬라이딩 될 때,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캠(250)이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편(300)에 형성된 V자 형태의 홈(320)에 상기 돌출부(251,251)의 끝단이 삽입되거나 이탈되면서 상기 잠금편(300)이 슬라이딩 된다.
이때,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은 같은 선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 베이스 판의 내부면에는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을 가이드하는 돌출편(1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편(162)에 의해 상기 캠(250)과 잠금편(300)은 상기 몸체(100)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고, 슬라이딩 된다.
상기 돌출편(162)에는 홈(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0)의 우측 끝단에는 지지편(17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덮개(150)의 내면에도 상기 돌출편(162)과 대응하는 또 다른 돌출편(1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310)는 상기 홈(140)과 지지편(170)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되고, 상기 탄성부재(310)가 상기 잠금편(3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잠금편(300)의 끝단이 상기 구멍(160)을 통해 삽입 관통될 때, 상기 잠금편(300)을 수용할 수 있는, 걸림구(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400)는 뒷면이 개방된 반달 형상이지만, 상기 걸림구(400)는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바꿀 수도 있다.
상기 걸림구(400)의 좌측면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420)이 형성되어 있 다.
따라서, 상기 잠금편(300)의 일단이 상기 구멍(160)과 구멍(420)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구(400)의 내부면에는 돌출부(40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8)에는 상기 구멍(420)과 연통 되는 구멍(409,410)이 상,하로 이격 되어 뚫려 있다.
한편, 걸림구덮개(450)는 상기 걸림구(400)에 대응되는 판 형상이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우측에는 앞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40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07)에는 상,하로 이격되는 나사구멍(411,4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411,421)은 상기 걸림구덮개(450)를 상기 걸림구(400)에 결합했을 때, 상기 돌출부(408)에 형성되는 구멍(409,410)과 연통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멍(409,410)과 나사구멍(411, 421)이 연통 되어,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걸림구(400)와 걸림구덮개(450)가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좌측면에는 지지편(441,44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멍(4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편(441,442)은 상기 걸림구(400) 좌측면의 상,하부 양끝단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걸림구덮개(450)와 상기 걸림구(400)의 결합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다.
상기 걸림구덮개(450)에는 앞면과 뒷면을 관통하는 구멍(431,432)이 상,하로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431,432)에는 못이나 나사 등을 삽입하여, 상기 걸림구덮개(450)를 벽이나, 도어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구덮개(450)의 뒷면에는 이중 테이프를 더 부착함으로써,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50)은 직사각형 판재의 양끝단에 삼각형 돌출부(251,252)가 형성되어 있는 모양이다.
상기 캠(250)의 돌출부(251,252)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잠금편(300)이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열려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작동하여 캠(250)이 회전되면, 돌출부(251,252)가 좌,우로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251)가 잠금편(300)의 홈(320)에 삽입되고, 상기 잠금편(300)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수축되면서, 상기 잠금편(300)의 일단을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시켜, 잠금 상태가 된다.
이때, 다시 손잡이(200)를 작동하여 캠(250)이 회전되면, 돌출부(251,252)가 다시 상,하로 배치됨으로써, 탄성부재(310)가 이완되면서, 잠금편(300)을 몸체(100)의 내부로 복귀시켜, 열림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잠금장치 손잡이(200)의 회전방향에 제한을 두지 않아,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360도 이상 회전이 가능하므로, 도어의 잠금 및 열림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잠금장치 몸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유무 표시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결합 정면도로서, 사용유무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 잠금장치 걸림구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잠금장치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
도 13은 본 발명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실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표시편광판(고정표시편광시트)
30 : 회전투시편광판 30a : 회전투시판
30b : 회전투시편광시트 50 : 구동회전판
60,60' : 수납케이스 61 : 상부수납실
66 : 하부수납실 70 : 커버
71 : 상부투시공 75 : 하부투시공
80,180 : 지지케이스 81 : 케이스수납실
90 : 회전샤프트 91 : 다각판
93 : 일자홈

Claims (3)

  1. 사용유무의 문자를 표시한 표시편광판;
    상기 표시편광판에 대응되는 투시편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편광판 또는 상기 투시편광판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표시편광판과 상기 투시편광판의 위상차에 따라 사용유무를 표시하는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편광판은 상기 표시편광판에 대해 회전하는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편광판은 구동회전판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표시편광판에는 사용중 문자가 새겨지고,
    상기 구동회전판에는 비사용중 문자와 다른 문자를 병행해서 새긴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1020080127584A 2008-12-16 2008-12-16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100069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84A KR20100069034A (ko) 2008-12-16 2008-12-16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584A KR20100069034A (ko) 2008-12-16 2008-12-16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380A Division KR20110038661A (ko) 2011-03-18 2011-03-18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034A true KR20100069034A (ko) 2010-06-24

Family

ID=4236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7584A KR20100069034A (ko) 2008-12-16 2008-12-16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90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54Y1 (ko) * 2019-11-26 2020-03-10 (주)하얀 상태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54Y1 (ko) * 2019-11-26 2020-03-10 (주)하얀 상태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6539A (en) Bumper sticker holder
US8212949B2 (en) System for selectively revealing indicia
BRPI0903924A2 (pt) distribuidor e sistema e método para revelar seletivamente informações a um observador
KR20100069034A (ko)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110038661A (ko)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0445624Y1 (ko)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US20090172987A1 (en) Indication brand having recesses at two opposite sides
KR20100008113U (ko) 공공시설의 사용유무 표시장치
KR200290648Y1 (ko) 화장실용 도어록
KR100918234B1 (ko) 잠금장치
JP7277885B2 (ja) 個室使用状況表示具の取付構造
JP7265752B2 (ja) 個室使用状況表示具の取付構造
US9260904B1 (en) Concealed valuable-storage box
US20090172979A1 (en) Displaying gain structure for an electornic nameplate
BR102019022466A2 (pt) móvel de armazenamento e exposição de produtos destinado a abrigar produtos relacionados com o tabaco
KR200451569Y1 (ko) 멀티 카렌더
JP3010672U (ja) 自動販売機の商品見本展示構造、およびこれに用いる支持台
KR100716621B1 (ko)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이 다른 이분할 회전 광고판
JP2003187329A (ja) 顧客対応業務端末装置
CN218631302U (zh) 一种带手机支架功能的广告框
KR102270931B1 (ko) 다이얼식 번호 표시기
CN218219765U (zh) 一种学前教育手工示范作品展示收纳柜
KR200387705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탁상용 시계
CN219840505U (zh) 铰链及镜柜
KR102672142B1 (ko) 단차방지부를 포함하는 led 전광판 캐비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