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22Y1 -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22Y1
KR200495722Y1 KR2020220001155U KR20220001155U KR200495722Y1 KR 200495722 Y1 KR200495722 Y1 KR 200495722Y1 KR 2020220001155 U KR2020220001155 U KR 2020220001155U KR 20220001155 U KR20220001155 U KR 20220001155U KR 200495722 Y1 KR200495722 Y1 KR 200495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tation
degree
plate
degre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수
Original Assignee
(주)하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얀 filed Critical (주)하얀
Priority to KR2020220001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6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using a removable actuating or locking member, e.g. a k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판(110), 후면판(120), 및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 및 상하 슬라이딩하는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회전이 제한되어 해당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리도록 하여서, 미세격벽에 의해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도별 홈과 상하 슬라이딩별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잠금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회전판을 미끄러짐없이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DEVICE FOR NOTIFICATING OPEN AND CLOSE STATUS OF VALVE}
본 고안은 미세격벽에 의해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도별 홈과 상하 슬라이딩별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잠금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및 기체가 흐르는 각종 산업용 파이프 연결시설, 예를 들어 유체관, 가스관 및 상수도관 등은 필요에 따라 그 흐름을 조절하거나 단수 및 차단 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관로 상에 밸브가 설치된다.
즉, 관로 상에 설치된 밸브는 그 개폐 정도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거나 수리 및 보수 등의 사용 상태에 따라 관로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는 별도의 개폐 여부 확인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밸브 상태를 보고 확인해야만 했다.
더욱이, 작업자가 찰나의 순간에 밸브의 개폐 상태를 착각하여 그 밸브를 오작동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는 심각한 부상을 입게되는 것은 물론이고, 재산 상의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간단한 설치 및 조작으로 밸브의 열림/닫힘 상태를 알림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밸브에 설치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를 개시하고자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784호 (상태 알림 장치, 2018.06.28)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254호 (상태알림장치, 2020.03.10)
본 고안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미세격벽에 의해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도별 홈과 상하 슬라이딩별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잠금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다수의 후크홀이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 및 상기 회전홈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0도 홈, 90도 홈, 270도 홈, 상기 9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 및 상기 27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상기 후크홀에 대향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 및 상기 회전홈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0도 홈, 90도 홈, 270도 홈, 상기 9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 및 상기 27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 및 상기 후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전면판과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과의 결합시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의 상기 회전공간에 회전 및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는 중앙회전홀과, 상기 중앙회전홀과 상하로 이격되어 상부회전홀 및 하부회전홀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앙회전홀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으로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으로의 진입시에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전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에 상기 전면판의 0도 홈, 90도 홈 또는 270도 홈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상기 전면판의 90도 홈 또는 제1사이드홈이나 270도 홈 또는 제2사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전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에 상기 후면판의 0도 홈, 90도 홈 또는 270도 홈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상기 전면판의 90도 홈 또는 제1사이드홈이나 270도 홈 또는 제2사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후면돌기가 형성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판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0도 홈과 90도 홈과 270도 홈을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전면돌기의 전단이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0도 홈과 90도 홈과 270도 홈을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전면돌기의 전단 일부가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돌기와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양측면에는 미끄럼방지 측면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상부회전홀 및 상기 하부회전홀로부터 상기 중앙회전홀로 연결된 가이드판의 양측면은 상기 중앙회전홀을 향해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의 상단 및 하단에는 '열림' 또는 '닫힘'의 개폐상태정보가 각각 표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미세격벽에 의해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도별 홈과 상하 슬라이딩별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잠금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회전판을 미끄러짐없이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전면판을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회전판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전면판 및 후면판의 단면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회전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사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는, 전면판(110), 후면판(120), 및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 및 상하 슬라이딩하는 회전판(130)을 포함하여, 회전이 제한되어 해당 밸브의 개폐상태를 알리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디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전면판(110)에서,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111)에 의해 에둘러 구획되고, 격벽(111)의 내측공간에는 다수의 후크홀(112)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113) 및 회전홈(113)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114)이 일정 깊이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회전홈(113)의 중심에는 회전판(130)이 회전하는 회전축(115)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홈(113)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회전축(115)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0도 홈(116a), 90도 홈(116b), 270도 홈(116c), 90도 홈(116b)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116d) 및 270도 홈(116c)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116e)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회전판(130)의 격벽(111) 아래의 공간에서의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판(130)의 전면돌기(135)가 0도 홈(116a), 90도 홈(116b), 270도 홈(116c) 또는 90도 홈(116b) 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도록 하여 회전판(130)의 회전각도가 정밀하게 식별되도록 하고, 회전판(130)의 상하 슬라이딩시에, 회전판(130)의 전면돌기(135)가 제1사이드홈(116d) 또는 제2사이드홈(116e) 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판(130)의 상하 슬라이딩이 정밀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후면판(120)에서,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121)에 의해 에둘러 구획되고, 격벽(121)의 내측공간에는 전면판(110)의 후크홀(112)에 대향하는 다수의 후크(122)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도 2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123) 및 회전홈(123)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124)이 일정 깊이로 만입되어 형성되고, 회전홈(113)의 중심에는 회전판(130)이 회전하는 회전축(125)이 형성되고, 회전홈(113)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회전축(115)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0도 홈(126a), 90도 홈(126b), 270도 홈(126c), 90도 홈(126b)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126d) 및 270도 홈(126c)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126e)이 각각 형성되어, 후크홀(112) 및 후크(122)의 체결에 의해 전면판(110)과 대향하여 결합하고, 전면판(110)과의 결합시에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판(130)의 회전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회전판(130)의 격벽(121) 아래의 공간에서의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회전판(130)의 후면돌기(136)가 0도 홈(126a), 90도 홈(126b), 270도 홈(126c) 또는 90도 홈(126b) 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도록 하여 회전판(130)의 회전각도가 정밀하게 식별되도록 하고, 회전판(130)의 상하 슬라이딩시에, 회전판(130)의 후면돌기(136)가 제1사이드홈(126d) 또는 제2사이드홈(126e) 중 어느 하나에 인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회전판(130)의 상하 슬라이딩이 정밀하게 식별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회전판(130)은, 전면판(110)과 후면판(120) 사이의 회전공간에서, 회전축(115,125)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슬라이딩홈(114,124)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회전판(130)이 슬라이딩홈(114,124)을 따라 위로 슬라이딩하면 회전판(130)의 회전이 가능하고, 슬라이딩홈(114,124)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딩하면 회전판(130)의 회전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회전판(130)에서, 중심에는 회전축(115,125)에 대응하는 중앙회전홀(131)과, 중앙회전홀(131)과 상하로 이격되어 상부회전홀(132) 및 하부회전홀(133)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중앙회전홀(131)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홈(114,124)의 폭만큼 이격되어 슬라이드홈(114,124)으로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슬라이드홈(114,124)으로의 진입시에 회전판(13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134)가 전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130)의 전면에는, 회전판(130)의 회전시에 전면판(110)의 0도 홈(116a), 90도 홈(116b) 또는 270도 홈(116c)에 체결되고, 슬라이드홈(114)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전면판(110)의 90도 홈(116b) 또는 제1사이드홈(116d)이나, 270도 홈(116c) 또는 제2사이드홈(116e)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전면돌기(135)(도 2의 (b) 참조)가 형성되고, 회전판(130)의 후면에는, 회전판(130)의 회전시에 후면판(120)의 0도 홈(126a), 90도 홈(126b) 또는 270도 홈(126c)에 체결되고, 슬라이드홈(124)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후면판(120)의 90도 홈(126b) 또는 제1사이드홈(126d)이나, 270도 홈(126c) 또는 제2사이드홈(126e)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후면돌기(136)(도 2의 (a) 참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돌기(135)와 후면돌기(136)는 회전축(115,125)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판(110)에서,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0도 홈(116a)과 90도 홈(116b)과 270도 홈(116c)을 따라 원주상으로 전면돌기(135)의 전단이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117)이 형성되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120)에서, 회전축(125)을 중심으로 0도 홈(126a)과 90도 홈(126b)과 270도 홈(126c)을 따라 원주상으로 후면돌기(136)의 전단 일부가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127)이 형성되어서, 회전판(130)의 회전시에 클릭감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회전판(130)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홈(137)이 형성되어서, 사용자가 회전판(130)을 쉽게 밀어올리도록 할 수 있고, 회전판(130)의 양측면에는 미끄럼방지 측면홈(138)이 각각 형성되어서, 회전판(130) 상하 슬라이딩에 따른 잠금해제 또는 잠금을 쉽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10)의 회전축(115)와 후면판(120)의 회전축(125)는 상호 맞닿지 않고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대향하여서, 회전판(130)에서, 상부회전홀(132) 및 하부회전홀(133)로부터 중앙회전홀(131)로 연결된 가이드판(139)의 양측면은 중앙회전홀(131)을 향해 경사져 형성되어서, 회전축(115,125)이 중앙회전홀(131)로부터 상부회전홀(132) 및 하부회전홀(133)로 쉽게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회전동작을 예시하고, 도 7은 도 1의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의 사용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a)에서와 같이 스토퍼(134)가 슬라이드홈(114,124)에 인입되어 고정된 상태로서 회전판(130)을 밀어올려서, (b)에서와 같이 회전축(115,125)이 상부회전홀(132) 또는 하부회전홀(133)로부터 중앙회전홀(131)로 슬라이딩하여 회전판(13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고, (c)에서와 같이 밸브의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확인한 후 아래로 내려 스토퍼(134)가 슬라이드홈(114,124)에 인입되도록 하여 다시 (a)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13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열림' 또는 '닫힘' 및 열림방향과 닫힘방향의 개폐상태정보가 U/V인쇄되어 각각 표기되어서, 사용자가 조작방향을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면판(110)으로부터 노출되는 회전판(130)의 노출면적을 확장하여 원거리에서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판(110)과 후면판(120)과 회전판(130)은 ABS수지로 이루어지고, 도 1을 참고하면, 전면판(110)과 후면판(120)의 상단에 밸브에 걸 수 있도록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걸이줄이 관통하는 걸이홈(141)이 형성되어 밸브에 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에 의해서, 미세격벽에 의해 회전시 클릭감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각도별 홈과 상하 슬라이딩별 홈을 통해 회전각도를 쉽게 인지하도록 하고 잠금상태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여 잠금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회전판을 미끄러짐없이 상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전면판 111 : 격벽
112 : 후크홀 113 : 회전홈
114 : 슬라이드홈 115 : 회전축
117 : 미세격벽 120 : 후면판
121 : 격벽 122 : 후크
123 : 회전홈 124 : 슬라이드홈
125 : 회전축 127 : 미세격벽
130 : 회전판 131 : 중앙회전홀
132 : 상부회전홀 133 : 하부회전홀
134 : 스토퍼 135 : 전면돌기
136 : 후면돌기 137 : 잠금해제홈
138 : 미끄럼방지 측면홈 139 : 가이드판

Claims (7)

  1.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다수의 후크홀이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 및 상기 회전홈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0도 홈, 90도 홈, 270도 홈, 상기 9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 및 상기 27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이 각각 형성된, 전면판;
    상부영역은 일정 높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 내부에 상기 후크홀에 대향하는 다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하부영역에는 원형의 회전홈 및 상기 회전홈의 하부와 연통되어 슬라이드홈이 만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중심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의 외곽에는 이격되어 원주 상에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0도 홈, 90도 홈, 270도 홈, 상기 9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1사이드홈 및 상기 270도 홈과 일직선상에 형성된 제2사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 및 상기 후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전면판과 결합하고, 상기 전면판과의 결합시에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후면판; 및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의 상기 회전공간에 회전 및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중심에는 상기 회전축에 대응하는 중앙회전홀과, 상기 중앙회전홀과 상하로 이격되어 상부회전홀 및 하부회전홀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중앙회전홀을 중심으로 상하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의 폭만큼 이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으로의 상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으로의 진입시에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전후면에 각각 돌출 형성된,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에 상기 전면판의 0도 홈, 90도 홈 또는 270도 홈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상기 전면판의 90도 홈 또는 제1사이드홈이나 270도 홈 또는 제2사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전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에 상기 후면판의 0도 홈, 90도 홈 또는 270도 홈에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한 상하 슬라이딩시에 상기 전면판의 90도 홈 또는 제1사이드홈이나 270도 홈 또는 제2사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후면돌기가 형성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0도 홈과 90도 홈과 270도 홈을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전면돌기의 전단이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0도 홈과 90도 홈과 270도 홈을 따라 원주상으로 상기 전면돌기의 전단 일부가 인입되는 다수의 미세격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돌기와 상기 후면돌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하단에는 잠금해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양측면에는 미끄럼방지 측면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상부회전홀 및 상기 하부회전홀로부터 상기 중앙회전홀로 연결된 가이드판의 양측면은 상기 중앙회전홀을 향해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상단 및 하단에는 '열림' 또는 '닫힘'의 개폐상태정보가 각각 표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KR2020220001155U 2022-05-11 2022-05-11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KR200495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55U KR200495722Y1 (ko) 2022-05-11 2022-05-11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55U KR200495722Y1 (ko) 2022-05-11 2022-05-11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22Y1 true KR200495722Y1 (ko) 2022-08-03

Family

ID=8280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55U KR200495722Y1 (ko) 2022-05-11 2022-05-11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84Y1 (ko) 2018-01-30 2018-06-28 (주)하얀 상태 알림 장치
KR200491254Y1 (ko) 2019-11-26 2020-03-10 (주)하얀 상태알림장치
KR102298653B1 (ko) * 2020-09-15 2021-09-03 정찬우 시인성, 조작편의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밸브 개폐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84Y1 (ko) 2018-01-30 2018-06-28 (주)하얀 상태 알림 장치
KR200491254Y1 (ko) 2019-11-26 2020-03-10 (주)하얀 상태알림장치
KR102298653B1 (ko) * 2020-09-15 2021-09-03 정찬우 시인성, 조작편의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밸브 개폐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7478A (en) Locking filler tube cover apparatus for underground fuel tanks
CN107013097A (zh) 挂锁
KR101693273B1 (ko) 키타입 밸브장치
KR200495722Y1 (ko) 밸브 개폐상태 알림장치
US6718804B1 (en) Valve lockout device
US20140034153A1 (en) Valve lockout device
US20180223571A1 (en) Pressing Type Latch Device
US10145492B2 (en) Valve lockout device with viewing port and method
US20120085433A1 (en) Valve lock assembly
US9267613B2 (en) Valve lockout device
EP3372755A1 (en) Pressing type latch device
JP2023123821A (ja) 地下構造物用蓋体
KR101450644B1 (ko) 볼 밸브
US4890814A (en) Discharge valve with handle lock
JP6660826B2 (ja) 吐出キャップ
KR101886225B1 (ko) 주유소전용 맨홀조립체
WO2016207611A1 (en) A non-return valve
KR20180008944A (ko) 잠금 기능을 갖는 밸브
JP5582611B2 (ja) テント用ロック装置
CN109185490A (zh) 磁控阀门及其组件
JP6667399B2 (ja) 排水設備用蓋
GB2102048A (en) Surface box lid assembly
KR101238868B1 (ko) 개폐밸브
CN215669691U (zh) 一种安装牢固的井盖
US20220316634A1 (en) Riser and ingress device assembly for septic tan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