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790B1 - 사이트 글라스 밸브 - Google Patents

사이트 글라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790B1
KR102197790B1 KR1020200068023A KR20200068023A KR102197790B1 KR 102197790 B1 KR102197790 B1 KR 102197790B1 KR 1020200068023 A KR1020200068023 A KR 1020200068023A KR 20200068023 A KR20200068023 A KR 20200068023A KR 102197790 B1 KR102197790 B1 KR 102197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ht glass
fluid
check
flow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규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주)엠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파코 filed Critical (주)엠파코
Priority to KR1020200068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사이트 글라스 밸브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스템과 시트가 구비되는 바디와, 바디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관과, 연장관에 설치되고, 연장관을 통해 유체의 흐름과 시트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트 글라스 밸브{SIGHT GLASS VALVE}
본 발명은 사이트 글라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관을 형성하고, 연장관에 확인점검부의 사이트 글라스를 설치함으로써, 바디 내부에서 유체 흐름의 이상 여부확인과 시트등 부품의 마모도 및 이물질 발생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이트 글라스를 통해 바디 내부에 유체흐름식별부의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용이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valve)는 주로 유체의 흐름을 컨트롤 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 되고, 게이트 밸브는 유량이 배관에서 밸브를 거치는 동안 압력강하나 유량의 손실이 없어야 하는 위치 등 각각의 요구 되는 사항에 맞춰 사용되는 것으로서, 게이트 밸브 뿐만 아니라 볼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플러그 밸브 등 다양한 종류의 밸브들이 사용되어 진다.
이때, 밸브는 바디의 입구와 출구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입구와 출구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 해당되는 내벽면으로부터는 개폐구(개폐홀)가 형성되어 있는 격벽이 형성되어 굴곡형상의 유로가 형성되며, 격벽의 개폐구의 테두리에는 밸브의 디스크가 안착되는 시트가 형성되고, 시트에는 밸브 스템이 시트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밸브들의 공통된 문제점은 비록 유체의 컨트롤을 밸브가 담당하고 있지만 배관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밸브가 유체를 차단시키지 못하고 누설이 발생해야지만 문제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하여 여러 발전소나 플랜트(Plant)산업에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배관 중간 중간에 유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글라스(sight glass)를 장착하여 수시로 확인을 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유체의 흐름 상태만 확인할 수 있어 실질적인 밸브의 내부 상태 즉, 시트 마모도 여부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에는 밸브 설치와 사이트 글라스 설치를 각각 별도로 수행해야 하므로 이를위해 플랜지 설치와 용접작업을 줄이지 못해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38096호(2019.10.23, 발명의 명칭: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관을 형성하고, 연장관에 확인점검부의 사이트 글라스를 설치함으로써, 바디 내부에서 유체 흐름의 이상 여부확인과 시트등 부품의 마모도 및 이물질 발생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이트 글라스를 통해 바디 내부에 유체흐름식별부의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용이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스템과 시트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을 통해 유체의 흐름과 상기 시트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점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인점검부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형성되고, 안착부가 형성되는 플랜지부재; 상기 플랜지부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관의 중공을 통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투시하는 사이트 글라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를 고정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트 글라스는 기밀부에 의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상기 기밀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사이트 글라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의 내측면을 기밀하는 제1기밀부재; 및 상기 사이트 글라스와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기밀하는 제2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기밀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기밀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 또는 상기 확인점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식별할 수 있는 유체흐름식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흐름식별부는, 상기 확인점검부에 마련된 사이트 글라스에 형성되는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시트 부근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부재; 및 상기 연장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외부로 표시하는 회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표시부는, 상기 연장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장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알리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관을 형성하고, 연장관에 확인점검부의 사이트 글라스를 설치함으로써, 바디 내부에서 유체 흐름의 이상 여부확인과 시트등 부품의 마모도 및 이물질 발생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이트 글라스를 통해 바디 내부에 유체흐름식별부의 프로펠러를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용이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트 글라스를 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관에 플랜지 설치작업와 용접 작업등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을 줄여 제조단가를 저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바디(100), 연장관(200) 및 확인점검부(300)를 포함한다.
바디(100)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스템(110)과 시트(120)가 구비한다.
스템(110)의 상단에는 핸들(150)이 구비되어 스템(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시트(120)는 바디(10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격벽(130)의 개폐홀(140) 상측에 안착되어 스템(10)의 상하 동작으로 유체의 흐름을 개폐한다.
연장관(200)은 바디(100)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연장관(20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바디(100)의 외부에서 내부, 특히 시트(120) 설치방향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확인점검부(300)는 연장관(200)에 설치되고, 연장관(200)을 통해 유체의 흐름과 시트(12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다.
확인점검부(300)는, 연장관(200)의 단부에 형성되고, 안착부(312)가 형성되는 플랜지부재(310)와, 플랜지부(310)의 안착부(312)에 안착되어 연장관(200)의 중공을 통해 바디(100)의 내부를 투시하는 사이트 글라스(320)와, 플랜지부(310)에 체결부재(332)로 결합되어 사이트 글라스(320)를 고정하는 덮개부재(330)를 포함한다.
플랜지부(310)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연장관(2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플랜지부(310)와 연장관(200)은 형상에 제한 받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체결부재(332)는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사이트 글라스(320)는 강화유리를 주로 사용하지만, 투명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사이트 글라스(320)는 기밀부(340)에 의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기밀부(340)는, 안착부(312)와 사이트 글라스(320) 사이에 설치되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내측면을 기밀하는 제1기밀부재(342)와, 사이트 글라스(320)와 덮개부재(330) 사이에 설치되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외측면을 기밀하는 제2기밀부재(344)를 포함한다.
제1,제2기밀부재(342)(344)는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각형을 포함한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기밀부재(342)는 안착부(312)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314)에 삽입 설치된다.
제2기밀부재(344)는 덮개부재(330)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334)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확인점검부(300)를 연장관(200)에 설치하는 상태를 살펴 본다.
플랜지부재(310)의 안착부(312)에 형성된 제1함몰홈부(214)에 제1기밀부재(342)를 설치한다.
연이어, 사이트 글라스(320)를 안착부(312)에 안착하여 제1기밀부재(342)에 접촉시킨다.
그 다음, 덮개부재(330)의 제2함몰홈부(334)에 제2기밀부재(344)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덮개부재(330)를 플랜지부재(310)에 덮어준다.
그리고, 체결부재(332)를 이용하여 덮개부재(330)를 플랜지부재(3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면, 제1기밀부재(342)가 밀착되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내측면을 기밀하고, 제2기밀부재(344)가 밀착되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외측면을 각각 밀봉함으로써, 바디(10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사이트 글라스(320)와 연장관(200)의 중공을 통해 바디9100) 내부의 시트 (120) 상태와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어 이상이 있을 경우, 신속하게 조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저면 조립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요부 조립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바디(100), 연장관(200) 및 확인점검부(300) 및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의 바디(100), 연장관(200) 및 확인점검부(3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상기에서 기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바디(100) 또는 확인점검부(300) 중 어느 하나에는 바디(100)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식별할 수 있는 유체흐름식별부(400)를 포함한다.
유체흐름식별부(400)는 확인점검부(300)의 사이트 글라스(320)만으로는 유체의 이동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는 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유체의 흐름을 좀더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면서 시트(120) 부근에 잔류한 이물질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유체흐름식별부(400)는, 확인점검부(300)에 마련된 사이트 글라스(320)에 형성되는 장착홀부(410)와, 장착홀부(410)에 삽입 설치되어 시트(120) 부근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부재(420)와, 연장축부재(4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외부로 표시하는 회전표시부(430)를 포함한다.
장착홀부(410)는 원형구멍으로 형성된다.
연장축부재(420)는 결속부(424)에 의해 사이트 글라스(320)에 고정된다.
결속부(424)는, 연장축부재(420)의 단부에 형성되는 나사산부(425)와, 나사산부(425)에 체결되는 너트부재(426)를 포함한다.
연장축부재(420)의 둘레에는 오링부재(428)가 설치되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장착홀부(310)의 내주면과 밀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링부재(428)는 연장축부재(420)의 단부 둘레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부(427)에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안착홈부(427)는 오링부재(428)의 단면 형상에 맞춰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축부재(420)에는 사이트 글라스(320)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턱(423)이형성된다.
걸림턱(423)은 결속부(412)를 이용하여 연장축부재(42)를 사이트 글라스(320)의 장착홈부(410)에 설치할 때,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표시부(430)는, 연장축부재(4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축(440)과, 지지축(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450)와, 회전몸체(450)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장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알리는 프로펠러(460)를 포함한다.
연장축부재(420)에는 회전몸체(450)와 프로펠러(460)가 통과 가능하게 마련되는 통과홈부(422)가 형성된다.
연장축부재(420)는 바디(100) 내에서 시트(120)가 설치되는 격벽(130)의 개폐홀(140)을 향해 사이트 글라스(320)의 중심에 설치된다,
통과홈부(422)는 연장축부재(420)의 단부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단부면과 양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프로펠러(460)는 일측면에 유체에 부딪치는 유체저항홈(462)과, 유체저항홈(462)의 반대측 타측면에 유체의 저항을 낮추도록 부드럽게 안내하는 유체굴곡면(464)을 포함한다.
이로써, 바디(100)의 개폐홀(140)에서 유체가 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프로펠러(460) 중 유체저항홈(462)에 부딪치는 프로펠러(460)는 회전하려고 하는 반면, 유체굴곡면(464)에 부딪치는 프로펠러(460)는 유체가 부드럽게 이동하여 회전하려 하지 않으므로, 프로펠러(460)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사이트 글라스(320)를 통해 프로펄러(460)의 회전 상태와 정지 상태를 통해 유체의 흐름 상태, 유속과 정지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펠러(460)는 시트(120)의 주변에 잔류한 이물질을 바디(100)의 출구측으로 배출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유체흐름식별부(400)를 확인점검부(300)의 사이트 글라스(320)에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 본다.
연장축부재(320)의 상측 통과홀부(422) 내에 회전몸체(450)를 삽입하여 구멍의 위치를 맞춘 후 지지축(440)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회전표시부(430)가 연장축부재(320)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 다음, 연장축부재(420)의 안착홈부(427)에 오링부재(428)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이트 글라스(320)의 장착홀부(410))에 압입하여 밀봉 설치한다.
연이어, 사이트 글라스(320)의 하측으로 노출된 연장축부재(420)의 나사산부(425)에 너트부재(426)를 체결하면 연장축부재(420)의 상측에 장착된 프로펠러(460)가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태로 사이트 글라스(320)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 바디(100) 내부 즉, 개페홀(140)를 통해 출구측으로 유체가 이동하면 유체저항홈(462)에 유체가 부딪치면서 프로펠러(460)가 회전하는 상태를 사이트 글라스(320)를 통해 식별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상태, 유속, 정지상태, 이물질 배출상태 등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트 글라스 밸브는, 바디의 일측으로 연장관을 형성하고, 연장관에 확인점검부의 사이트 글라스를 설치함으로써, 바디 내부에서 유체 흐름의 이상 여부확인과 시트등 부품의 마모도 및 이물질 발생 여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사이트 글라스를 통해 바디 내부에 유체흐름식별부를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용이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이트 글라스를 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관에 플랜지 설치작업와 용접 작업등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을 줄여 제조단가를 저감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10: 스템
120: 시트 130: 격벽
140: 개폐홀 150: 핸들
200: 연장관 300: 확인점검부
310: 플랜지부재 312: 안착부
314: 제1함몰홈부 320: 사이트 글라스
330: 덮개부재 332: 체결부재
334: 제2함몰홈부 340: 기밀부
342: 제1기밀부재 344: 제2기밀부재
400: 유체흐름식별부 410: 장착홀부
420: 연장축부재 422: 통과홀부
423: 걸림턱 424: 결속부
425: 나사산부 426: 너트부재
430: 회전표시부 440: 지지축
450: 회전몸체 460: 프로펠러
462: 유체저항홈 464: 뉴체굴곡면

Claims (7)

  1. 유체의 흐름을 개폐하도록 스템과 시트가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에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을 통해 유체의 흐름과 상기 시트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점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확인점검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바디 내부에서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식별할 수 있는 유체흐름식별부가 구비되며,
    상기 유체흐름식별부는,
    상기 확인점검부에 마련된 사이트 글라스에 형성되는 장착홀부;
    상기 장착홀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시트 부근까지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부재; 및
    상기 연장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을 외부로 표시하는 회전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점검부는,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형성되고, 안착부가 형성되는 플랜지부재;
    상기 플랜지부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장관의 중공을 통해 상기 바디의 내부를 투시하는 사이트 글라스; 및
    상기 플랜지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를 고정하는 덮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글라스는 기밀부에 의해 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고,
    상기 기밀부는,
    상기 안착부와 상기 사이트 글라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의 내측면을 기밀하는 제1기밀부재; 및
    상기 사이트 글라스와 상기 덮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기밀하는 제2기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밀부재는 상기 안착부에 함몰 형성되는 제1함몰홈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기밀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에 함몰 형성되는 제2함몰홈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표시부는,
    상기 연장축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축;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 및
    상기 회전몸체의 외측면에 다수개 연장 형성되어 유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의 흐름 상태를 알리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트 글라스 밸브.
KR1020200068023A 2020-06-05 2020-06-05 사이트 글라스 밸브 KR10219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23A KR102197790B1 (ko) 2020-06-05 2020-06-05 사이트 글라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023A KR102197790B1 (ko) 2020-06-05 2020-06-05 사이트 글라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790B1 true KR102197790B1 (ko) 2021-01-04

Family

ID=7412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023A KR102197790B1 (ko) 2020-06-05 2020-06-05 사이트 글라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7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6444U (ja) * 1997-08-22 1998-03-10 夢麟 程 消防専用逆止め弁
KR200144551Y1 (ko) * 1996-01-23 1999-06-15 차우극 복합기능을 가진 밸브
KR20150004207U (ko) * 2014-05-14 2015-11-24 박경 체크밸브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551Y1 (ko) * 1996-01-23 1999-06-15 차우극 복합기능을 가진 밸브
JP3046444U (ja) * 1997-08-22 1998-03-10 夢麟 程 消防専用逆止め弁
KR20150004207U (ko) * 2014-05-14 2015-11-24 박경 체크밸브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019B2 (ja) ディーゼル燃料で動作される内燃機関の特に手動で使用するための流体媒質用のポンプ
US5341840A (en) Bonnetless swing check valve
US8443833B2 (en) Check valve
US20090146096A1 (en) Apparatus and methods to align a closure member and a valve stem
US4223697A (en) Check valve
US9297461B2 (en) Block and bleed valve assembly
US8161996B2 (en) Resilient seated butterfly valve with interchangeable off-center and on-center discs
CN214305495U (zh) 截止阀及具有其的空调系统
US10550945B2 (en) Emergency shutdown valves with bypass features
US3838844A (en) Top entry valve with aligned through passage
US8251086B2 (en) Rotary gate valve with secondary seal
KR102197790B1 (ko) 사이트 글라스 밸브
EP0489296A1 (en) Ball valve assembly with flow regulating mechanism
JPH0875013A (ja) 回転型閉止弁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US20190145526A1 (en) Valve with active seal and shaft blowout prevention device
CN213298848U (zh) 一种防泥沙型蝶阀
CN110953372B (zh) 用于阀门的密封系统
JPH044367A (ja) バタフライ開閉弁
KR101098244B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용 스톱밸브
US20090159827A1 (en) Rotary gate valve
KR102043223B1 (ko) 개별 분해 조립형 냉매 차단용 밸브
KR102539329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에어실링댐퍼
US11339882B1 (en) Butterfly check valve
KR102286667B1 (ko) 볼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