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960Y1 -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 Google Patents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960Y1
KR200490960Y1 KR2020190000969U KR20190000969U KR200490960Y1 KR 200490960 Y1 KR200490960 Y1 KR 200490960Y1 KR 2020190000969 U KR2020190000969 U KR 2020190000969U KR 20190000969 U KR20190000969 U KR 20190000969U KR 200490960 Y1 KR200490960 Y1 KR 200490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angform
insulation
insulation board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근
Original Assignee
(주)피유켐
영성건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유켐, 영성건업(주) filed Critical (주)피유켐
Priority to KR2020190000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14Use of organic additives
    • C08J9/0038Use of organic additive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22Hydrogen, oxygen, CO2, nitrogen or noble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08J9/146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only fluorine as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발포제를 이용하여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접착성과 분리성이 뛰어난 단열 갱폼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 갱폼은 갱폼프레임과, 상기 갱폼프레임에 접착된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갱폼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가 상기 단열보드가 접촉될 갱폼프레임의 평판의 표면에 20 내지 60%정도 도포된 상기 표면에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어 상기 평판에 접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단열 갱폼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의 우레탄은 주제와 경화제가 0.9 ~ 1.1 대 1.1 ~ 0.9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제는 3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27 내지 34 중량%, 분자량 4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17 내지 24 중량%, TCPP(Tris(1-Chloro-2-Pripyl)Phosphate) 27 내지 34 중량%, 정포제 1,5 내지 2.3 중량%, 초기 반응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발포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경화촉매류 0.7 내지 1.3중량%, HFC-365mfc 10 내지 14 중량%, CO2 0.7 내지 1.3 중량%, 안정제 1.6 내지 2.3 중량%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우레탄의 주제로서 3 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TCPP 난연제 및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멈추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Insulation gang form using high flame retarding urethan spray foam}
본 고안은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발포제를 이용하여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접착성과 분리성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단열 갱폼에 대한 것이다.
갱폼은 건축물의 내, 외벽 벽체 및 기둥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사용된다. 갱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의 양생이 완료되면 갱폼을 해체한다. 이러한 갱폼의 종류로는 단열재가 없는 일반적인 갱폼과, 단열재로 스치로폼이 본드로 부착된 갱폼, 우레탄보드가 단열제로 부착된 갱폼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경화되며, 화학반응은 외부의 온도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공개특허 제10-2015-0119776호(공개일자 2015년 10월 26일) 공개특허 제10-2012-0105824호(공개일자 2012년 09월 26일) 등록특허 제10-1027618호(등록일자 2011년 03월 30일) 등록특허 제10-1202061호(등록일자 2012년 11월 09일)
단열재가 없는 갱폼의 경우에는 단열성이 부족하여, 계절별로 콘크리트의 경화속도가 차이 난다. 그래서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내부 수분이 동결됨으로 인해 동해가 발생하여 강도가 약해지며, 날씨가 더운 하절기에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하여 적정 습윤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균열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열재로 스티로폼이 본드로 부착된 갱폼의 경우에는 화재시 취약하며, 갱폼 해체시 본드로 부착됨으로 인하여 스치로폼의 제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본드로 인해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우레탄보드가 본드로 제작된 갱폼의 경우 갱폼 해체시 우레탄보드의 제거가 곤란하며 본드의 사용과 우레탄보드 발포시 프레온 사용에 따른 환경파괴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계절별 경화속도 및 강도 차이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한 단열 갱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화재에 대한 난연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체시 단열보드의 제거가 용이한 단열 갱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오존의 파괴를 없앨 수 있고 친환경적인 단열 갱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 갱폼은 갱폼프레임과, 상기 갱폼프레임에 접착된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갱폼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가 상기 단열보드가 접촉될 갱폼프레임의 평판의 표면에 40 내지 80%정도 도포된 상기 표면에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어 상기 평판에 접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단열 갱폼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의 우레탄은 주제와 경화제가 0.9 ~ 1.1 대 1.1 ~ 0.9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주제는 3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27 내지 34 중량%, 분자량 4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17 내지 24 중량%,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27 내지 34 중량%, 정포제 1,5 내지 2.3 중량%, 초기 반응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발포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경화촉매류 0.7 내지 1.3중량%, HFC-365mfc 10 내지 14 중량%, CO2 0.7 내지 1.3 중량%, 안정제 1.6 내지 2.3 중량%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우레탄의 주제로서 3 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TCPP 난연제 및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화재의 확대를 늦추거나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HFC-365mfc와 CO2의 발포제를 사용하여 우레탄폼을 분사하여 단열보드를 만듦으로 인하여 오존의 파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보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갱폼 해체시 단열제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갱폼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갱폼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갱폼은 갱폼프레임(10)과, 단열보드(20)를 포함한다.
갱폼프레임(10)은 철판 등으로 형성되며 건설현장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열보드(20)는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어 갱폼프레임(10)에 결합된다.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면 자가 접착력이 있어서 별도의 본드가 없어도 단열보드(20)은 갱폼프레임(10)에 결합된다. 이때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면 우레탄은 대략 5.0 ~ 6.0kgf/㎠의 접착력을 가진다. 이 경우 접착력이 너무 높기 때문에 갱폼의 해체시 단열보드(20)의 제거가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경우 단열보드(20)가 접촉될 갱폼프레임(10)의 평판의 표면에 면적의 40 내지 80% 정도를 이형제(15)로 도포한다. 즉 갱폼프레임(10)의 평판의 표면에 이형제(15)를 먼저 도포하고 우레탄을 스프레이 분사시켜 갱폼프레임(10)에 접착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형제(15)를 50% 정도 도포시킨다. 그러면 단열보드(20)의 접착력은 전체적으로 2.5 ~ 3.0kgf/㎠로 형성된다. 단열보드(20)가 갱폼프레임(10)에 접착될 때 접착력이 1.2 내지 2.0kgf/㎠ 이상만 되면 갱폼의 기능에는 이상이 없다. 그래서 이형제를 갱폼프레임(10)의 일부에만 도포할 경우 단열보드(20)를 갱폼프레임(10)에 충분히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형제(15)가 도포된 부위에서는 단열보드(20)가 갱폼프레임(10)에 접착되지 아니하므로 갱폼의 헤체시 단열보드(20)의 제거가 용이하다. 이때 이형제(15)는 무용제 타입의 왁스(Wax) 이형제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우레탄보드의 결합시 톨루엔(toluene), 아세톤(acetone), 자일렌(xylene)의 유기 용제로된 본드를 사용하였다. 이들 유기 용제는 인체에 유해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본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무용제 타입의 이형제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이형제를 단열보드(20)의 접촉면적의 50% 정도만 도포함으로 단열보드(20)의 제거가 용이하다.
한편 단열보드(20)는 고난연 우레탄이 갱폼프레임(10)에 스프레이 분사되어 갱폼프레임(10)에 결합된다. 이때 우레탄은 주제 및 경화제가 중량비율로 0.9 ~ 1.1 : 1.1 ~ 0.9로 혼합된다. 바람직하게는 1 : 1의 비율로 혼합된다.
여기서 주제는 3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27 내지 34 중량%, 분자량 4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17 내지 24 중량%,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27 내지 34 중량%, 정포제 1,5 내지 2.3 중량%, 초기 반응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발포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경화촉매류 0.7 내지 1.3중량%, HFC-365mfc 10 내지 14 중량%, CO2 0.7 내지 1.3 중량%, 안정제 1.6 내지 2.3 중량%를 구비한다.
그리고 경화제는 BASF사의 제품 또는 M20S 등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주제에 3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난연제인 TCPP, 그리고 촉매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난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래서 화재위험을 낮출 시 있다.
또한, HFC-365mfc, CO2는 발포제로서 오존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가 영(zero)이므로 오존층을 파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우레탄이 분사되어 형성된 단열보드(20)는 단열 효과가 뛰어나므로 계절별 경화속도의 차이를 완화시켜 주어 양생된 콘크리트의 강도 약화 및 균열발생을 감소시켜준다.
한편 본 실시예로 형성된 단열보드(20)의 난연재료의 시험결과는 [표 1]과 같다.
시험 항목
결과 판정기준
1회 2회 3회
열방출
시험
총방출열량(MJ/m2) 2.3 1.6 1.4 8이하
열방출율이 연속적으로 200 KW/m2를 초과하는 시간(s) 0 0 0 10이하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심재의 전부용융, 소멸) 등 없음 없음 없음 없을 것
가스유해성 행동정시시간(min : s) 13 : 50 14 : 46 - 9min 이하
[표 1]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국토교통구 고시 제2015-744호의 난연재료의 기준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10 : 갱폼프레임 15 : 이형제
20 : 단열보드

Claims (1)

  1. 철판으로 형성된 갱폼프레임과, 상기 갱폼프레임에 접착된 단열보드를 포함하는 갱폼에 있어서,
    상기 단열보드는 무용제 타입인 왁스(wax) 이형제가 상기 단열보드가 접촉될 갱폼프레임의 평판의 표면에 40 내지 80% 도포되어 접착력이 2.5 ~ 3.0 kgf/cm2 로서, 상기 표면에 우레탄이 스프레이 분사되어 상기 평판에 접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단열보드의 우레탄은 주제와 경화제가 1 : 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주제는 3관능기 폴리에스터 폴리올(polyester polyol) 27 내지 34 중량%, 분자량 4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 17 내지 24 중량%, TCPP(Tris(1-Chloro-2-Propyl)Phosphate) 27 내지 34 중량%, 정포제 1.5 내지 2.3 중량%, 초기 반응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발포촉매류 0.7 내지 1.3 중량%, 경화촉매류 0.7 내지 1.3중량%, 안정제 1.6 내지 2.3 중량%를 포함하되, 오존파괴지수(Ozone depletion potential, ODP)가 0인 HFC-365mfc 10 내지 14 중량% 및 CO2 0.7 내지 1.3 중량%를 친환경 발포제로서 함께 포함하며,
    상기 단열보드는 아래의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5-744호의 난연 규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단열 갱폼.

    - 총방출열량 : 1.4 ~ 2.3 MJ/m2
    - 열방출율이 연속적으로 200 KW/m2을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하일 것.
    -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 없음
KR2020190000969U 2019-03-08 2019-03-08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KR200490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9U KR200490960Y1 (ko) 2019-03-08 2019-03-08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969U KR200490960Y1 (ko) 2019-03-08 2019-03-08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60Y1 true KR200490960Y1 (ko) 2020-01-29

Family

ID=6922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969U KR200490960Y1 (ko) 2019-03-08 2019-03-08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117A (zh) * 2021-03-25 2021-06-2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混凝土成型用保温模板及其制造方法
KR102311617B1 (ko) * 2021-07-26 2021-10-13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34A (ko) * 2000-03-21 2001-11-14 염규봉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조성물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2-09-26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466988B1 (ko) * 2007-07-19 2014-12-02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무용제 이형제 및 폴리우레탄 몰딩 제조의 용도
KR20150119776A (ko) 2014-04-16 2015-10-26 염성은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234A (ko) * 2000-03-21 2001-11-14 염규봉 난연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올조성물
KR101466988B1 (ko) * 2007-07-19 2014-12-02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무용제 이형제 및 폴리우레탄 몰딩 제조의 용도
KR101027618B1 (ko) 2009-09-25 2011-04-06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2-09-26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20150119776A (ko) 2014-04-16 2015-10-26 염성은 콘크리트 양생을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갱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27117A (zh) * 2021-03-25 2021-06-25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混凝土成型用保温模板及其制造方法
CN113027117B (zh) * 2021-03-25 2024-01-09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一种混凝土成型用保温模板及其制造方法
KR102311617B1 (ko) * 2021-07-26 2021-10-13 미진정공(주) 단열 갱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960Y1 (ko)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US4179535A (en) Method of forming a fire-resistant silicate coating
JP2007113386A (ja) 複合断熱パネルと複合発泡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339576B1 (ko) 콘크리트 중성화 방지 및 단면 복구 보강 방수공법
KR101823003B1 (ko) 준불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010B1 (ko)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KR102316355B1 (ko) 불연 단열재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1726987B1 (ko) 우수한 내화성능을 갖는 친환경 무용제 에폭시 발포성 내화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619298B1 (ko) 폴리우레탄 이액형 준불연 접착제 및 그를 이용한 준불연재
CN103587153B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硬质聚氨酯泡沫及其制备方法
KR102415013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US20070066165A1 (en) Fire protection coating for FRP-reinforced structure
CN206205203U (zh) 一种保温隔音防火墙体结构
WO2019080978A1 (en) INSULATING COMPOSITE FOR INSULATING BUILDINGS
KR101223785B1 (ko) 난연 패널과, 난연 자소성 경질 폴리우레탄 폼 현장 발포로, 2중 복합 구성된 냉장, 냉동, 특수단열 구조물의 친환경 무재해 시공방법.
JP3977176B2 (ja) 耐火断熱下地材
JP2017210807A (ja) 鉄骨柱の合成被覆耐火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6800679U (zh) 覆膜泡沫玻璃板
WO2023195753A1 (ko) 난연 및 방습 성능이 우수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 준불연 성능의 건축물 내외장 복합 단열재
KR101382045B1 (ko) 페놀 수지 경화 발포체를 이용한 불연 알루미늄 복합 판넬 및 그 제조 방법
KR102625133B1 (ko) 내화기능이 향상된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12354B1 (ko) 냉동 냉장 특수단열 구조물의 무재해 시공방법.
JP2002356943A (ja) 外壁構造
KR20110139065A (ko) 무재해, 친환경 방수, 방습시공과 난연 고분자단열을 이용한 보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