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824A - 단열 갱폼 - Google Patents

단열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824A
KR20120105824A KR1020110023489A KR20110023489A KR20120105824A KR 20120105824 A KR20120105824 A KR 20120105824A KR 1020110023489 A KR1020110023489 A KR 1020110023489A KR 20110023489 A KR20110023489 A KR 20110023489A KR 20120105824 A KR20120105824 A KR 20120105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form
thermal insulation
urethane resin
ga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성
안덕기
Original Assignee
미진정공(주)
안덕기
최운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진정공(주), 안덕기, 최운성 filed Critical 미진정공(주)
Priority to KR10201100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5824A/ko
Publication of KR20120105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일면에 보온층이 형성되어 여름철의 높은 온도나 겨울철 낮은 온도의 환경에서도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고, 방음효과가 있어서 공사장이 소음공해를 줄여줄 수 있는 사용상 효율성이 뛰어난 단열 갱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 갱폼{GANG FORM}
본 발명은 단열효과가 있어 겨울철 낮은 온도나 여름철 더운 환경에서도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성이 뛰어나며 방음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갱폼에 관한 것이다.
건축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내ㆍ외 벽체 및 기둥 등의 성형 시 반죽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갱폼이 사용되고 있다. 갱폼의 종류로는 목재,합판, 경질섬유판, 합성수지재, 알루미늄패널, 강판 등이 있으며, 상기 갱폼의 형식으로는 일반갱폼, 유로폼(Euroform), 슬라이딩폼, 수직이동 갱폼, 테이블 갱폼, 터널식 갱폼, 와플갱폼, 트레블링 갱폼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갱폼은 크게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판재와, 상기 판재를 지지하는 틀체부로 구성된다. 틀체부는 전체적으로 4각형을 이루며 판재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철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판재 및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앵글로 되어 있었다.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프레임 및 판재가 미경화 콘크리트의 하중을 받을 때 이 하중을 나누어 주기 위한 앵글이 적절히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판재는 프레임의 전면에 배치되어서 리벳 등으로 체결되었다.
이러한 갱폼의 판재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사용한다. 그러나 합성수지제 판재는 목재 합판에 비해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고 콘크리트접합 면과 쉽게 분리된다는 탈형의 용이함 등의 이점이 있으나, 실제적 건설 현장에서 작업환경인 겨울철에 갱폼을 사용하는 경우 급격한 기상상태 또는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팽창시 또는 경화시의 수축력 등의 차이는 갱폼내 콘트리트가 경화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콘크리트경화에 따른 성형물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므로, 겨울철에는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갱폼은 겨울철 저온상태인 가혹한 환경하에서 갱폼의 판재 및 프레임 자체에 자국이 형성되거나 강성이 점차 열화되어 조립하고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따른 그 제작 내지 작업비용이 상승하고 많은 인력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단열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콘크리트 수화열 보존 및 콘크리트 경화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열 갱폼 제조방법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갱폼에 있어서, 상기 갱폼 일면에 보온층이 형성되는 단열 갱폼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뛰어난 단열성능을 갱폼의 사용으로 콘크리트 수화열 보존 및 이에 따른 균질한 콘크리트 품질유지가 가능하며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콘크리트 공사시 양질의 보양을 위한 불필요한 작업량감소이 감소되고 전천후 공사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갱폼의 단열성능 유지와 외부와의 열교차단으로 열손실 최소화 및 에너지 소비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위 공정에 대한공사기간 사전예측 가능으로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온층이 자연스럽게 방음효과를 구현함으로써 공자장의 소음이 외부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줄 수 있어 소음공해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제작순서도,
도 3은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결합됨을 보여주는 제작순서도,
도 5는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의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제작순서도이고, 도 3은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결합됨을 보여주는 제작순서도이고, 도 5는 갱폼에 발포우레탄수지가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갱폼(100)은 일정 강도를 가진 금속 재질의 평판(110)에 상기 평판(1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일자형태의 프레임바(120)가 설치되는바, 상기 프레임바(120)는 격자형태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바(120)가 설치된 상기 갱폼(100)의 일면에 단열기능을 가진 보온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보온층(130)은 무게가 가벼우며 단열과 방음효과가 우수하여 산업전방에 널리 사용되는 발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바,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갱폼(100)에 상기 발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보온층(130)이 형성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120)가 설치된 갱폼(100)을 화력을 가하여 표면을 예열한다. 상기 보온층(130)을 이루는 발포우레탄수지는 최소 20℃ 이상에서만 발포가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겨울철에 상기 갱폼(100)의 예열온도는 상기 발포우레탄수지의 발포가능온도인 20℃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열을 하는 것이다.
이후, 예열된 갱폼(100)의 일면에 박리제와 이형제를 도포하여 상기 보온층(130)이 상기 갱폼(100)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고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갱폼(100)의 활용범위, 공사현장의 상황, 공사비용 등과 같은 여건에 따라 상기 박리제와 이형제를 모두 살포하거나 박리제만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박리제와 이형제가 도포된 상기 갱폼(100)의 표면으로 발포우레탄수지를 도포한 후 발포시켜 상기 보온층(1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갱폼(100)이 일정 수준 이상의 단열기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보온층(130)의 두께가 최소 30~50mm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한 번의 발포로는 상기 보온층(130) 두께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여러 차례, 바람직하게는 2~ 4회 발포과정을 반복하여서 보온층(130)의 두께를 적정하게 형성하여 준다.
이 후, 발포된 발포우레탄수지를 냉각시켜 상기 보온층(130)의 강도를 높인 후 상기 갱폼(100)과 보온층(130)의 표면에 페인트를 도포하여 제작을 마감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단열 갱폼을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 2]
우선, 상기 프레임바(120)가 설치된 갱폼(100)의 표면에 구멍을 뚫고 상기 프레임바(120)가 격자 형태로 설치된 사이 공간의 면적을 실측한다.
그리고, 별도로 마련된 성형틀(미도시)에 상기 발포우레탄수지의 두께가 30~50mm가 되도록 발포하고 경화한 하여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을 제작 한 다음 상기 갱폼(100)에 설치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재단한다.
이후,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갱폼(100)의 일면에 적합한 크기로 제단된 상기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을 결합하고, 나사를 상기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을 관통시켜 상기 갱폼(100)의 표면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보온층(1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120)에 상기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을 추가로 결합하여 모든 면을 발포우레탄 수지층을 형성하여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바(120)에 결합되는 상기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 역시 나사를 통해 견고히 고정결합된다.
상기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은 표면에 부직포를 부착된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부직포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패널(200)의 휨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이 과정을 통해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이 갱폼(100)에 설치됨으로써 보온층(130)이 형성된 갱폼(100)이 형성되는바, 마지막으로 미관을 위해 페인트 등을 도포하여 제작을 마감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상기 보온층(130)이 형성된 상기 갱폼(100)은 다수개를 서로 연결하여 공사현장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크기로 확장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적절한 보온성을 확보하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갱폼 110 : 평판
120 : 프레임바 130 : 보온층
200 : 발포우레탄수지 패널

Claims (6)

  1. 갱폼(100)에 있어서,
    상기 갱폼(100) 일면에 보온층(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층(130)은 발포우레탄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층(130)은 갱폼(100) 일면에 박리제와 이형제를 도포하고, 발포우레탄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레탄수지의 발포는 2~4회 반복하여 보온층(13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층(130)은 발포우레탄수지 패널(200)을 상기 갱폼(100) 일면에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우렌탄수지 패널(200)은 일면에 표면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강도가 보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갱폼.
KR1020110023489A 2011-03-16 2011-03-16 단열 갱폼 KR20120105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89A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1-03-16 단열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89A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1-03-16 단열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824A true KR20120105824A (ko) 2012-09-26

Family

ID=47112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89A KR20120105824A (ko) 2011-03-16 2011-03-16 단열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582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237B1 (ko) 2018-09-07 2019-05-22 (주)신일산업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200490960Y1 (ko) 2019-03-08 2020-01-29 (주)피유켐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KR20210059940A (ko) * 2019-11-18 2021-05-26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237B1 (ko) 2018-09-07 2019-05-22 (주)신일산업 단열 구조의 조립식 갱폼
KR200490960Y1 (ko) 2019-03-08 2020-01-29 (주)피유켐 고난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을 사용한 단열 갱폼
KR20210059940A (ko) * 2019-11-18 2021-05-26 김재문 방음부재 및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229B1 (ko) 친환경 저소음 거푸집 판넬
KR101649969B1 (ko) 건식 마감이 용이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외벽 건식 단열 시공 방법
RU2549948C2 (ru) Наружная 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зданий
KR20070029137A (ko) 형틀 겸용 단열 패널 및 외단열 구조
CA2918288A1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anels
JP2008069574A (ja) 建物の外壁を被覆するための通気性断熱複合パネル
CN201970515U (zh) 建筑装饰用的金属夹层发泡复合板
KR20120105824A (ko) 단열 갱폼
CN102747788A (zh) 一种泡沫水泥夹芯外墙保温板材
KR20130098239A (ko)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CN203296304U (zh) 一种复合保温板
CN201003255Y (zh) 墙面保温装饰复合板材
KR102006109B1 (ko) 단열부재를 구비한 갱폼
CN101481928B (zh) 以钢混网状结构为主的房屋建筑结构
CN201021518Y (zh) 绝热建筑墙板
CN203256932U (zh) 一种吸音保温墙
JP2016094799A (ja) 集成断熱材および断熱複合板
CN205134580U (zh) 低内力免拆保温一体外模板
CN201109944Y (zh) 聚氨酯保温板
JPS6153494B2 (ko)
CN201343779Y (zh) 新型轻钢建筑
RU184150U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KR101164585B1 (ko) 외벽마감용 하이브리드 유니트패널
CN108797886A (zh) 一种聚氨酯秸秆板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