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752Y1 -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 Google Patents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752Y1
KR200490752Y1 KR2020180002418U KR20180002418U KR200490752Y1 KR 200490752 Y1 KR200490752 Y1 KR 200490752Y1 KR 2020180002418 U KR2020180002418 U KR 2020180002418U KR 20180002418 U KR20180002418 U KR 20180002418U KR 200490752 Y1 KR200490752 Y1 KR 200490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lat panel
elastic member
hollow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3055U (ko
Inventor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조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원 filed Critical 조성원
Priority to KR2020180002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75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3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2Use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위에 플랫 패널이 놓이고, 중공공간이 형성된 중공바;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중공공간에 삽입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인서트바; 및 인서트부의 외면을 감싸고, 중공공간에서 중공바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인서트부와 중공바는 서로 이격되고, 중공바의 진동에너지는 탄성부재를 통해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FLAT PANEL SUPPORT BAR HAVING VIBRATION DAMPING STRUCTURE}
본 고안은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되어 플랫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FPD(flat panel display)는 계속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의 바(서포트) 사이즈, 그리고 FPD 이송용 로봇 핸드의 바(핑거) 사이즈도 대형화되고 있다. 서포트 및 핑거와 같은 이송용 바의 대형화는 부재 자체의 질량을 증가시켜 이송용 바가 자중에 의해 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이송용 바의 재료로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CFRP는 경량이며, 평면성, 굽힘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송용 바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에는 기판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기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기판 이송시,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기판 하면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로봇 핸드; 및 로봇 핸드의 일단부를 본체부 일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로봇 핸드의 하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기판 이송시 처짐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로봇 핸드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봇 핸드의 결합부분에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억제 및 처짐량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로봇 핸드의 진동 발생은 근본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에 있으므로,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와 같이, 캔틸레버의 외형을 변화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체결 구조를 개선하더라도 굽힘 진동(bending vibration) 발생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굽힘 진동은 탄성(强性) 진동의 일종으로서, 적당히 지지된 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보의 굽힘 강성(剛性)에 의하여 복원력이 생기기 때문에 축선(軸線)에 직각인 방향에 일어나는 진동을 말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에 개시된 캔틸레버의 외형 변화, 중량 감소, 체결 구조 개선에 의한 처짐량 경감 방안과는 시각을 달리하여 캔틸레버의 내부구조 개선을 통한 진동 감쇠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 (공개일: 2013.04.09)
본 고안의 목적은,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위에 플랫 패널이 놓이고, 중공공간이 형성된 중공바; 상기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공공간에 삽입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인서트바; 및 상기 인서트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공간에서 상기 중공바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공바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중공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서트부에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인서트바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공간에는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공바 간 결합력을 형성하는 연질접착제 및 경질접착제가 충전되며, 상기 연질접착제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사이에 충전되고, 상기 경질접착제는 상기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충전되며, 상기 중공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연질접착제를 통해 상기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바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접촉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랫 패널의 하중을 상기 중공바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공바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랫 패널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서트부에는 연질접착제가 충전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관통홀은 일자(一字)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질접착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중공바의 상면에 닿기 전까지 상기 결합부에 의해 탄성 압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바의 진동에너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됨으로써,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
도 5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장착부가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장착부가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10)는,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되어 플랫 패널(FP)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중공바(100), 인서트바(200) 및 탄성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중공바(100)는 위에 플랫 패널(FP)이 놓이는 구성으로서, 일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중공바(100)는 내부에 중공공간(101)을 형성한다. 중공바(100)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지며, 풀트루전 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풀트루전(pultrusion)은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을 균일하게 연속생산 가능하게 하는 공법이다. 직조된 카본이나 1차 성형을 거친 프리프레그(prepreg) 상태의 제품의 카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카본 섬유 원사를 레진 통을 통과시킨 후 일정 금형을 통과하여 제품을 만드는 공법이다.
풀트루전은 일정방향의 구조물 제조에 적합한 방식으로 대량생산 시에 경제적이다. 따라서 강도가 높고 구조물 생산에 적합하여 로드(Rod), 빔(Beam) 파이프 및 대형 구조물에 많이 쓴다.
중공바(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을 앞쪽, 오른쪽을 뒤쪽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중공바(100)의 앞쪽 개구부(이하 '전단개구부')에는 마감캡(C)이 삽입결합된다.
플랫 패널(FP)이 중공바(100)의 상면에 직접 놓이면, 플랫 패널(FP)의 저면에 중공바(100) 상면과 마찰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있다. 중공바(100)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접촉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재(120)는 플랫 패널(FP)의 저면과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플랫 패널(FP)의 하중을 중공바(100)에 전달하게 된다.
접촉부재(120)는 강도와 탄성이 좋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접촉부재(120)는 내열성, 성형성, 내약품성, 내충격성, 착색성 등이 뛰어난 폴리에텔에텔 케톤(polyetherether ketone)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120)는 결합부(121) 및 접촉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공바(100)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102)이 형성된다.
결합부(121)는 중공바(100)에 삽입결합되는 부분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관통홀(102)에 억지끼움 조립될 수 있다. 접촉부(122)는 플랫 패널(FP)의 저면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결합부(121)의 위에 형성된다.
접촉부(122)의 상부는 플랫 패널(FP)의 저면과 접촉하는 위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플랫 패널(FP)이 중공바(100)에 올려지면, 접촉부(122)는 플랫 패널(FP)의 하중에 의해 탄성 압축되며 플랫 패널(FP)의 저면을 부드럽게 지지하게 된다.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2)의 저면은 중공바(100)의 상면에 밀착되는 평면을 형성한다. 결합부(121)는 접촉부(122)의 저면이 중공바(100)의 상면에 밀착될 때까지 관통홀(102)에 삽입된다. 인서트부(220)에는 (결합부(121)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결합부(1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바(200)는 중공바(100)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장착부(210)와 인서트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서트바(20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장착부(210)는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미도시)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사각형 블록 형태로 제작된다. 도 5는 장착부(210)가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의 척(1)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1)에는 장착부(210)를 누르는 고정블록(1a)과, 고정블록(1a)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b)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실제 산업현장에서 이송용 바(10)를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하는 기술은 제조회사별로 다양하다. 이송용 바(10)를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220)는 장착부(210)로부터 연장되어 중공공간(101)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사각기둥 형태로 제작된다. 인서트부(220)는 중공바(100)의 뒤쪽 개구부(이하 '후단개구부')를 통해 중공공간(101)에 삽입된다.
인서트부(220)의 길이는 중공바(100)의 길이보다 짧다. 일 예로, 중공바(100)의 길이가 2~3미터라면, 인서트부(220)의 길이는 25~35센티미터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공간(101)에서 인서트부(220)와 중공바(100)는 서로 이격된다. 즉, 중공공간(101)에서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은 서로 이격된다. 인서트부(220)에는 복수의 장착홈(221)이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는 진동에너지를 감쇠시키는 구성으로서, 고무 또는 수지(실리콘, EVA 폼) 등 탄성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인서트부(220)에는 복수의 장착홈(221)이 형성되고, 탄성부재(300)는 장착홈(221) 내에서 인서트바(200)의 외면을 감싸게 된다. 탄성부재(3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고리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는 제1 탄성부재(310), 제2 탄성부재(320) 및 제3 탄성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탄성부재(310)는 인서트부(220)의 앞쪽에서 장착홈(221)에 장착되고, 제3 탄성부재(330)는 인서트부(220)의 뒤쪽에서 장착홈(221)에 장착되며, 제2 탄성부재(320)는 제1 탄성부재(310)와 제2 탄성부재(320)의 중간지점에서 장착홈(221)에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00)의 외면은 중공공간(101)에서 중공바(100)의 내면에 밀착된다. 즉, 탄성부재(300)는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 사이에 탄성 압축된 상태로 개재된다.
따라서,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 간 이격구조는 탄성부재(300)의 탄성에 의해 형성 및 유지되고,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 간 이격간격은 중공바(100)에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 및 크기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로봇 핸드의 하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기판 이송시 처짐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로봇 핸드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봇 핸드의 결합부분에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억제 및 처짐량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로봇 핸드의 진동 발생은 근본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에 있으므로,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와 같이, 캔틸레버의 외형을 변화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체결 구조를 개선하더라도 굽힘 진동(bending vibration) 발생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굽힘 진동은 탄성(强性) 진동의 일종으로서, 적당히 지지된 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보의 굽힘 강성(剛性)에 의하여 복원력이 생기기 때문에 축선(軸線)에 직각인 방향에 일어나는 진동을 말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에 개시된 캔틸레버의 외형 변화, 중량 감소, 체결 구조 개선에 의한 처짐량 경감 방안과는 시각을 달리하여 캔틸레버의 내부구조 개선을 통한 진동 감쇠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즉, 본 고안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10)는,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의 특성상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제거될 때 굽힘 진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나, 중공공간(101)에서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을 이격시키고, 인서트부(220)의 외면과 중공바(100)의 내면 사이에 탄성부재(300)를 탄성 압축된 상태로 개재시켜, 중공바(100)의 진동에너지가 탄성부재(300)를 통해 인서트부(22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감쇠하는 진동감쇠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캔틸레버의 외형 변화, 중량 감소, 체결 구조 개선 이외의 내부구조 개선을 통해 진동을 빠르게 소산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공간(101)에는 인서트부(220)와 중공바(100) 간 결합력을 형성하는 연질접착제(B1) 및 경질접착제(B2)가 충전될 수 있다.
연질접착제(B1)는 복수의 탄성부재(300) 사이에 충전되고, 경질접착제(B2)는 탄성부재(300)와 장착부(210) 사이에 충전된다. 연질접착제(B1) 및 경질접착제(B2)는, 인서트부(220)를 중공바(100)의 후단개구부를 통해 중공공간(101)에 삽입하기 전에 인서트부(220)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인서트부(2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연질접착제(B1)가 충전된 구간은 '감쇠구간'으로 지칭하고, 인서트부(220)에서 연질접착제(B1)가 충전된 구간은 '결합구간'으로 지칭하고자 한다.
연질접착제(B1)와 경질접착제(B2)는 강도 및 탄성에 의해 구분된다. 일 예로, 경질접착제(B2)는 높은 강도의 에폭시계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고, 연질접착제(B1)는 강도는 낮지만 탄성이 우수한 우레탄계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연질접착제(B1)와 경질접착제(B2)의 물성 차이에 의해, 결합구간에 충전된 경질접착제(B2)는 중공바(100)와 인서트부(220) 간 결합력을 형성하고, 감쇠구간에 충전된 연질접착제(B1)는 중공바(100)의 진동에너지가 인서트부(220)에 전달되는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연질접착제(B1)를 탄성부재(300) 사이에서 중공공간(101)에 충전하면, 중공바(100)의 진동에너지가 탄성부재(300)만을 통해서가 아니라 탄성부재(300) 사이에서도 연질접착제(B1)를 통해 인서트부(220)에 전달됨으로써, 진동이 더욱 빨리 감쇠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20)는,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감쇠구간을 축소하고 결합구간을 확장할 수 있다. 결합구간의 확장시 중공바(100)와 인서트부(220) 간 결합력은 강화되고, 감쇠구간이 축소되므로 중공바(100)의 진동에너지가 인서트부(220)에 전달되는 경로는 축소된다.
도 7(a)는 이송용 바(20)의 수평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이송용 바(20)의 수직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간에서 중공바(100)와 인서트부(220) 간 결합력의 지나친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인서트부(220)의 결합구간에는 복수의 이격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바(100)의 내면과 인서트부(220)의 외면은 이격홈(H)이 형성된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결합력을 형성하지 않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구간에서 진동에너지의 감쇠를 향상시키기 위해, 감쇠구간에서 중공바(100)의 내면과 인서트부(220)의 외면 간 이격간격을 넓혀서 탄성부재(300) 사이에 충전되는 연질접착제(B1)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이다. 도 9(a)는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접촉부재(120)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접촉부재(120)에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는, 인서트부(220)에 연질접착제(B3)가 충전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과 관통홀(102)은 일자(一字)로 연결되어 결합부(121)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B3는 B1과 동일한 접착제일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접촉부재(120)에 가해지면, 연질접착제(B3)는 (접촉부(122)가 중공바(100)의 상면에 닿기 전까지) 결합부(121)에 의해 탄성 압축된다. 즉, 접촉부(122)의 저면은 중공바(100)의 상면에 닿을 때까지 하강하며, 이때 연질접착제(B3)는 결합부(121)의 저면에 의해 눌려 탄성 압축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120)에 가해진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해제될 때, 결합부(121)는 연질접착제(B3)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재(120)에 가해진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해제되는 동안, 접촉부(122)가 플랫 패널(FP)의 저면을 지지한 시간은 연질접착제(B3)의 탄성 회복에 의해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접촉부재(120)에 가해진 플랫 패널(FP)의 하중이 0이 되는 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이송용 바에서 플랫 패널(FP)이 내려질 때 이송용 바에 형성되는 진동에너지가 감소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바의 진동에너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됨으로써,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20 : 이송용 바
100 : 중공바 200 : 인서트바
101 : 중공공간 210 : 장착부
102 : 관통홀 220 : 인서트부
120 : 접촉부재 221 : 장착홈
121 : 결합부 H : 이격홈
122 : 접촉부 300 : 탄성부재
C : 마감캡 310 : 제1 탄성부재
B1,B3 : 연질접착제 320 : 제2 탄성부재
B2 : 경질접착제 330 : 제3 탄성부재
FP : 플랫 패널
1 : 척
1a : 고정블록
1b : 승강장치

Claims (6)

  1.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위에 플랫 패널이 놓이고, 중공공간이 형성된 중공바;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중공공간에 삽입되는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인서트바; 및
    상기 인서트부의 외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공간에서 상기 중공바에 밀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공바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중공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 또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서트부에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장착홈 내에서 상기 인서트바의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 탄성부재 및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공간에는 상기 인서트부와 상기 중공바 간 결합력을 형성하는 연질접착제 및 경질접착제가 충전되며,
    상기 연질접착제는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 사이에 충전되고, 상기 경질접착제는 상기 제2 탄성부재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충전되며,
    상기 중공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연질접착제를 통해 상기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바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접촉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랫 패널의 하중을 상기 중공바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바의 상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위에 형성되고, 상기 플랫 패널의 저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부에는 연질접착제가 충전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과 상기 관통홀은 일자(一字)로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연질접착제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중공바의 상면에 닿기 전까지 상기 결합부에 의해 탄성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20180002418U 2018-06-01 2018-06-01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0490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18U KR200490752Y1 (ko) 2018-06-01 2018-06-01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418U KR200490752Y1 (ko) 2018-06-01 2018-06-01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55U KR20190003055U (ko) 2019-12-11
KR200490752Y1 true KR200490752Y1 (ko) 2020-02-11

Family

ID=6883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418U KR200490752Y1 (ko) 2018-06-01 2018-06-01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752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592A (ja) 2001-03-29 2002-10-08 Nippon Oil Corp ロボットハンド部材の製造方法
JP2008279590A (ja) 2007-04-10 2008-11-20 Toray Ind Inc 搬送用ロボットハン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0712B2 (ja) * 2004-04-20 2012-07-18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部材、その製造方法及びロボットハンド
KR101920754B1 (ko) 2011-09-30 2018-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2592A (ja) 2001-03-29 2002-10-08 Nippon Oil Corp ロボットハンド部材の製造方法
JP2008279590A (ja) 2007-04-10 2008-11-20 Toray Ind Inc 搬送用ロボットハ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055U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2852B (zh) 用于传送基底的机械手及其末端执行器
JP5336157B2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CN105074900A (zh) 复合终端效应器
TW200744898A (en) Elliptic supporting member
KR200490752Y1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JP2008279590A (ja) 搬送用ロボットハンド
KR101307627B1 (ko) Cfrp 제 반송용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로봇 핸드
KR20130099864A (ko) 로봇 핸드용 프레임 및 로봇 핸드
JP2012188290A (ja) 少なくとも1つの物体を運搬するためのマット、移載装置及び移載方法
US20160326717A1 (en) Han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192804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
KR20220159165A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102394478B1 (ko) 하이브리드 인발 복합재료
KR20210002003U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TW201446481A (zh) 管成形體
JP2009184053A (ja) ロボットハンド用フォーク
KR101339479B1 (ko) 이송장치의 롤러
JP2017125600A (ja) バネ構造体
KR20170019913A (ko) 고감쇠 로봇핸드
CN212202944U (zh) 支承构件
JP2012030469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支持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14115B2 (ja) ケーブル支持部材
CN219657058U (zh) 一种抗震的压力表
CN109642635B (zh) 支承构件
CN207759541U (zh) 一种彩砖传输台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