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03U -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 Google Patents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03U
KR20210002003U KR2020200000693U KR20200000693U KR20210002003U KR 20210002003 U KR20210002003 U KR 20210002003U KR 2020200000693 U KR2020200000693 U KR 2020200000693U KR 20200000693 U KR20200000693 U KR 20200000693U KR 20210002003 U KR20210002003 U KR 202100020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lat panel
hollow
hollow spac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원
강문희
김상우
임재형
Original Assignee
조성원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카본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원,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카본메카 filed Critical 조성원
Priority to KR2020200000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003U/ko
Publication of KR20210002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0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4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having fork, comb or plate shaped means for engaging the lower surface on a object to be trans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2Use of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는,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고, 제1 중공공간이 형성된 중공바; 플랫 패널을 위로 받히고, 한쪽이 제1 중공공간에 삽입된 지지바; 및 중공바와 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지지바는,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재; 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상부부재; 및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부부재와 함께 제2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며, 제1 중공공간과 제2 중공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FLAT PANEL SUPPORT BAR HAVING VIBRATION DAMPING STRUCTURE}
본 고안은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되어 플랫 패널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FPD(flat panel display)는 계속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의 바(서포트) 사이즈, 그리고 FPD 이송용 로봇 핸드의 바(핑거) 사이즈도 대형화되고 있다. 서포트 및 핑거와 같은 이송용 바의 대형화는 부재 자체의 질량을 증가시켜 이송용 바가 자중에 의해 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이송용 바의 재료로서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CFRP는 경량이며, 평면성, 굽힘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송용 바의 재료로서 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에는 기판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본체부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기판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기판 이송장치에 있어서, 기판 이송시,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어 기판 하면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로봇 핸드; 및 로봇 핸드의 일단부를 본체부 일 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로봇 핸드의 하면을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기판 이송시 처짐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로봇 핸드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로봇 핸드의 결합부분에 체결부를 구비함으로써 진동 억제 및 처짐량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로봇 핸드의 진동 발생은 근본적으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에 있으므로,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와 같이, 캔틸레버의 외형을 변화시키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체결 구조를 개선하더라도 굽힘 진동(bending vibration) 발생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굽힘 진동은 탄성(强性) 진동의 일종으로서, 적당히 지지된 보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보의 굽힘 강성(剛性)에 의하여 복원력이 생기기 때문에 축선(軸線)에 직각인 방향에 일어나는 진동을 말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에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는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고안으로서, 캔틸레버의 외형 변화, 중량 감소, 체결 구조 개선에 의한 처짐량 경감 방안과는 시각을 달리한 캔틸레버의 내부구조 개선에 의한 진동 감쇠 방안에 관한 것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는 중공바의 진동에너지가 탄성부재를 통해 인서트부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됨으로써, 플랫 패널의 하중이 제거될 때 발생한 굽힘 진동 에너지가 빠르게 감쇠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는 복수의 탄성부재에 진동에너지가 집중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반복된 진동에너지에 의한 탄성부재의 영구적 변형이 빠르게 진행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공바를 풀트루전 공법에 의해 제조하고 있다. 중공바는 위에 플랫 패널이 놓이는 구성으로서, 일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그러나 풀트루전 공법에 의해 제조된 CFRP도 강도에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처짐량을 감소시키려면 단면적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는 로봇 핸드의 상면에 흡착부재가 마련된다. 흡착부재는 진공 흡입력을 이용하여 기판을 흡착한다. 흡착부재는 기판과 밀착력을 증대시키고, 로봇 핸드의 이동시 기판의 이탈을 방지한다. 흡착부재는 진공펌프와 튜브로 연결되어야 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에 흡착부재를 설치하려면, 튜브가 인서트바에 의해 중공바의 중공공간을 지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 (공개일: 2013.04.09)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 (공개일: 2019.12.11)
본 고안의 목적은, 단면적이 감소하면서도 처짐량이 감소하고, 튜브가 바 내부를 지날 수 있으며, 진동에너지를 반복적으로 흡수하는 부분의 영구변형 진행속도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중공바; 상기 플랫 패널을 위로 받히고, 한쪽이 상기 제1 중공공간에 삽입된 지지바; 및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부재와 함께 제2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공공간과 상기 제2 중공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 중공공간에 상기 플랫 패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빛 또는 음파가 상기 플랫 패널로 진행하도록, 상기 상부부재에 통과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공간에서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고, 상기 지지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중공바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랫 패널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는 진공패드; 및 상기 진공패드를 진공펌프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중공공간과 상기 제2 중공공간을 지나는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는 상기 중공바를 무는 척을 포함하고, 상기 척이 무는 힘에 의한 상기 제1 중공공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중공공간에 한 쌍의 인서트바가 삽입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한 쌍의 인서트바 사이를 지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하측판부; 상기 하측판부의 폭방향 양쪽에서 각각 위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부재와 접촉면을 형성하는 측면판부; 및 상기 접촉면이 증가하도록 상기 측면판부로부터 각각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바의 제1 중공공간에 한쪽이 삽입된 지지바가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면적이 감소하면서도 처짐량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중공공간과 제2 중공공간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튜브가 바 내부를 지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중공바와 지지바 사이에 인서트부가 개재되고, 제1 중공공간에서 중공바와 지지바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반복적으로 흡수하는 부분의 영구변형 진행속도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는, 단면적이 감소하면서도 처짐량이 감소하고, 튜브가 바 내부를 지날 수 있으며, 진동에너지를 반복적으로 흡수하는 부분의 영구변형 진행속도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FP) 이송용 바(10)는, FPD 이송적재용 카세트나 FPD 이송용 로봇에 장착되어 플랫 패널(FP)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중공바(100), 지지바(200), 연결부재(300) 및 인서트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중공바(100)는 지지바(200)를 플랫 패널(FP)용 이송장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플랫 패널(FP)용 이송장비에 장착된다. 중공바(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제1 중공공간(101)을 형성한다. 중공바(100)는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재질로 이루어진다.
중공바(100)는 풀트루전 공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풀트루전(pultrusion)은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을 균일하게 연속생산 가능하게 하는 공법이다. 직조된 카본이나 1차 성형을 거친 프리프레그(prepreg) 상태의 제품의 카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카본 섬유 원사를 레진 통을 통과시킨 후 일정 금형을 통과하여 제품을 만드는 공법이다.
풀트루전은 일정방향의 구조물 제조에 적합한 방식으로 대량생산 시에 경제적이다. 따라서 강도가 높고 구조물 생산에 적합하여 로드(Rod), 빔(Beam) 파이프 및 대형 구조물에 많이 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바(1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을 앞쪽, 오른쪽을 뒤쪽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패널(FP)용 이송장비는 중공바(100)의 뒤쪽 부분을 무는 척(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척(1)의 고정블록(1a)과 승강장치(1b)는 중공바(100)를 상하방향으로 물게 된다.
도 3은 중공바(100)의 뒤쪽 부분이 플랫 패널(FP)용 이송장비의 척(1)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0003055호를 참조하면, 척(1)에는 중공바(100)의 뒤쪽 부분을 누르는 고정블록(1a)과, 고정블록(1a)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장치(1b)가 형성되어 있다.
중공바(100)의 뒤쪽 개구부(이하 '후단개구부')에는 한 쌍의 인서트바(400)가 삽입결합된다. 한 쌍의 인서트바(400)는 제1 인서트바(410) 및 제2 인서트바(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인서트바(410)와 제2 인서트바(420)는 중공바(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인서트바(410) 및 제2 인서트바(420)는 직육면체 형태를 형성한다. 한 쌍의 인서트바(400)의 상면은 중공바(100)의 상측 내면에 접촉되고, 한 쌍의 인서트바(400)의 저면은 중공바(100)의 하측 내면에 접촉된다.
중공바(100)는 척(1)이 무는 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 인서트바(410) 및 제2 인서트바(420)는 알루미늄 등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한 쌍의 인서트바(400)는 제1 중공공간(101)의 형태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인서트바(400)는 척(1)이 무는 힘에 의한 중공바(100)의 변형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바(100)와 한 쌍의 인서트바(400)는 복수의 체결부재(BT)에 의해 결합된다. 중공바(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복수의 관통홀(H1)이 형성된다. 제1 인서트바(410) 및 제2 인서트바(42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복수의 나사홀(H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BT)는 각각 관통홀(H1)을 통해 나사홀(H2)에 나사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200)는 위에 플랫 패널(FP)이 놓이는 구성으로서, 일 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지지바(200)는 내부에 제2 중공공간(201)을 형성한다. 지지바(200)는 상부부재(210), 하부부재(220), 마감캡(230), 접촉부재(240) 및 감지센서(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부재(210)는 일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상부부재(21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상부부재(210)는 탄소섬유를 열가소성 수지와 혼합하여 압출 후 프레스 성형하여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상부부재(210)의 강도는 고압 고열 프레스 성형시 생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공공간(201)에 플랫 패널(FP)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50)가 설치된다. 감지센서(25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유리기판을 감지하는 센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2367호 반도체 웨이퍼 또는 유리기판 감지용 초음파 센서 모듈 및 그것을 이용한 센싱 시스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210)에 통과홀(211)이 형성된다. 감지센서(250)의 빛 또는 음파는 통과홀(211)을 통과하여 플랫 패널(FP)로 진행하게 된다. 플랫 패널(FP)이 반사한 빛 또는 음파는 다시 통과홀(211)을 통과하여 감지센서(250)로 진행하게 된다. 감지센서(250)는 빛 또는 음파를 수신하여 플랫 패널(FP)의 적재를 감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210)에 복수의 접촉부재(240)가 결합된다. 접촉부재(240)들은 플랫 패널(FP)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접촉부재(240)들은 상부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설치홀(212)이 형성된다. 접촉부재(240)들은 설치홀(212) 내면에 접착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재(240)는 진공패드(241) 및 튜브(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진공패드(241)는 플랫 패널(FP)을 진공에 의해 흡착한다. 진공패드(241)는 고무 또는 피크(peek) 폴리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진공패드(241)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035361호 기판 이송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튜브(242)는 진공패드(241)를 진공펌프와 연결한다. 진공펌프는 이송용 바(10) 외부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220)는 상부부재(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부재(220)는 풀트루전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하부부재(220)는 상부부재(210)와 함께 제2 중공공간(201)을 형성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220)는 하측판부(221), 측면판부(222) 및 보강판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측판부(221)는 제2 중공공간(201)의 저면을 형성한다. 하측판부(221)는 일 방향으로 긴 플레이트 형태를 형성한다. 하측판부(221)는 상부부재(210)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다. 감지센서(250)는 하측판부(221)에 설치된다. 감지센서(250)는 하측판부(221)에 접착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측면판부(222)는 제2 중공공간(201)의 양쪽 측면을 형성한다. 측면판부(222)는 하측판부(221)의 폭방향 양쪽에서 각각 위쪽으로 연장된다. 측면판부(222)의 상면은 상부부재(210)의 저면과 각각 접촉면을 형성한다.
보강판부(223)는 (상부부재(210)의 저면과 접촉면이 증가하도록) 측면판부(222)로부터 각각 폭방향으로 연장된다. 보강판부(223)의 상면은 상부부재(210)의 저면과 각각 접촉면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는 복수의 체결부재(BT)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부재(210)의 폭방향 양쪽에 각각 복수의 관통홀(H1)이 형성된다. 보강판부(223)에 각각 복수의 나사홀(H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BT)는 각각 관통홀(H1)을 통해 나사홀(H2)에 나사결합된다.
체결부재(BT)에 의해 결합된 상부부재(210)와 하부부재(220)는 사각형 중공파이프 형태를 형성한다. 지지바(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지지바(200)의 앞쪽 개구부에 마감캡(230)이 결합된다. 마감캡(230)은 앞쪽 개구부에 접착 또는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바(200)의 뒤쪽 부분은 제1 중공공간(101)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중공공간(101)과 제2 중공공간(201)은 서로 연결된다.
튜브(242)는 제2 중공공간(201)과 제1 중공공간(101)을 지나서 후단개구부를 통해 이송용 바(10) 외부로 나오게 된다. 튜브(242)는 후단개구부에서 제1 인서트바(410)와 제2 인서트바(420) 사이를 지나서 이송용 바(10) 외부의 진공펌프에 연결된다.
감지센서(250)의 전원선(미도시)은 제2 중공공간(201)과 제1 중공공간(101)을 지나서 후단개구부를 통해 이송용 바(10) 외부로 나오게 된다. 감지센서(250)의 전원선은 후단개구부에서 제1 인서트바(410)와 제2 인서트바(420) 사이를 지나서 이송용 바(10) 외부의 전원에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0)는 중공바(100)와 지지바(20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300)는 탄성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 또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연결부재(300)는 인서트부(310) 및 경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310)는 중공바(100)와 지지바(200) 사이에 개재된다. 인서트부(310)는 직사각형 튜브(242) 형태를 형성한다. 인서트부(310)의 내면은 지지바(200)의 외면에 밀착된다. 인서트부(310)의 외면은 중공바(100)의 내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중공바(100)와 지지바(200)는 연결부재(300)에 의해 연결된다.
지지바(200)의 진동에너지는 연결부재(300)를 통해 중공바(1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00)의 진동에너지는 직사각형 튜브(242) 형태의 인서트부(3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감쇠하여 소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바(200)의 뒤쪽 부분은 제1 중공공간(101)에 삽입된다. 즉, 지지부는 중공바(100)보다 좁은 폭 및 높이를 형성한다.
상부부재(21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고압 고열 프레스 공법은 풀트루전 공법보다 CFRP에 높은 강도를 부여한다. 그리고 하부부재(220)는 풀트루전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보강판부(223)는 휨 변형 및 비틀림 변형에 대한 하부부재(220)의 형상적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지지부는 중공바(100)보다 좁은 폭 및 높이를 형성하더라도 높은 강도를 형성하여 플랫 패널(FP)의 하중에 의한 휨 변형 및 비틀림 변형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바(100), 인서트부(310), 상부부재(210) 및 하부부재(220)는 복수의 체결부재(BT)에 의해 결합된다. 중공바(100), 인서트부(310) 및 상부부재(210)의 상부에 각각 복수의 관통홀(H1)이 형성된다. 보강판부(223)의 상부에 복수의 나사홀(H2)이 형성된다. 체결부재(BT)는 각각 관통홀(H1)을 통해 나사홀(H2)에 나사결합된다.
지지바(200)와 중공바(100)는 단턱을 형성한다. 이때 지지바(200) 위에 놓인 플랫 패널(FP)은 단턱 부위에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20)는 중공바(100)와 지지바(200)의 외면을 경사면으로 연결한다. 경사부(320)는 플랫 패널(FP)이 미끄러지는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플랫 패널(FP)의 파손 발생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경사부(320)는 인서트부(310)와 연결된다. 연결부재(3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고, 경사부(320)의 바깥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경사부(320)는 충돌에 의한 플랫 패널(FP)의 파손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공공간(101)에서 중공바(100)와 지지바(200) 사이에 접착제(BD)가 충전될 수 있다. 접착제(BD)는 지지바(200)를 중공바(100)에 삽입하기 전에 지지바(200)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접착제(BD)를 중공바(100)와 지지바(200) 사이에 충전하면, 지지바(200)의 진동에너지가 연결부재(300)만을 통해서가 아니라 접착제(BD)를 통해 중공바(100)에 전달됨으로써, 진동이 더욱 빨리 감쇠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중공바의 제1 중공공간에 한쪽이 삽입된 지지바가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단면적이 감소하면서도 처짐량이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중공공간과 제2 중공공간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튜브가 바 내부를 지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중공바와 지지바 사이에 인서트부가 개재되고, 제1 중공공간에서 중공바와 지지바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됨으로써, 진동에너지를 반복적으로 흡수하는 부분의 영구변형 진행속도가 감소하도록 이루어지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이송용 바
100 : 중공바 200 : 지지바
101 : 제1 중공공간 201 : 제2 중공공간
300 : 연결부재 210 : 상부부재
310 : 인서트부 211 : 통과홀
320 : 경사부 212 : 설치홀
400 : 인서트바 220 : 하부부재
410 : 제1 인서트바 221 : 하측판부
420 : 제2 인서트바 222 : 측면판부
H1 : 관통홀 223 : 보강판부
H2 : 나사홀 230 : 마감캡
BD : 접착제 240 : 접촉부재
BT : 체결부재 241 : 진공패드
1 : 척 242 : 튜브
1a : 고정블록 250 : 감지센서
1b : 승강장치
FP : 플랫 패널

Claims (7)

  1.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에 장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중공바;
    상기 플랫 패널을 위로 받히고, 상기 제1 중공공간에 한쪽이 삽입된 지지바; 및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랫 패널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재;
    상기 접촉부재가 결합되는 상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부재와 함께 제2 중공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중공공간과 상기 제2 중공공간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공공간에 상기 플랫 패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빛 또는 음파가 상기 플랫 패널로 진행하도록, 상기 상부부재에 통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개재되는 인서트부; 및
    상기 인서트부와 연결되고,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의 외면을 경사면으로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공공간에서 상기 중공바와 상기 지지바 사이에 접착제가 충전되고,
    상기 지지바의 진동에너지는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중공바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감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플랫 패널을 진공에 의해 흡착하는 진공패드; 및
    상기 진공패드를 진공펌프와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중공공간과 상기 제2 중공공간을 지나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 패널용 이송장비는 상기 중공바를 무는 척을 포함하고,
    상기 척이 무는 힘에 의한 상기 제1 중공공간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중공공간에 한 쌍의 인서트바가 삽입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한 쌍의 인서트바 사이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하측판부;
    상기 하측판부의 폭방향 양쪽에서 각각 위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부재와 접촉면을 형성하는 측면판부; 및
    상기 접촉면이 증가하도록 상기 측면판부로부터 각각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20200000693U 2020-02-27 2020-02-27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2100020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693U KR20210002003U (ko) 2020-02-27 2020-02-27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693U KR20210002003U (ko) 2020-02-27 2020-02-27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03U true KR20210002003U (ko) 2021-09-06

Family

ID=7778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693U KR20210002003U (ko) 2020-02-27 2020-02-27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003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361A (ko) 2011-09-30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20190003055A (ko) 2017-06-30 2019-0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보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361A (ko) 2011-09-30 2013-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 이송장치
KR20190003055A (ko) 2017-06-30 2019-0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텐츠 보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4002B2 (ja) ガラス板用梱包装置
US9487242B2 (en) Vehicle body lower portion structure
CN108597380A (zh) 显示面板
KR20210002003U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060019777A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CN102300681A (zh) Cfrp制搬运用部件及使用其的机械手
KR20140041719A (ko) 플라스틱 가공기의 클램핑 유닛의 가이딩 장치를 위한 가이드 슈
KR101995954B1 (ko) 장축 전송라인 슬리브용 지지모듈
KR200490752Y1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220159165A (ko) 진동 개선 구조를 갖는 플랫 패널 이송용 바
KR20140108782A (ko) 패널 운반용 적재대
KR20040012462A (ko) 유리기판 반송용 박스
KR101920754B1 (ko) 기판 이송장치
WO2017138248A1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160087480A (ko) 기판 카세트
JP2005305569A (ja) 機械用構造材およびロボットアーム装置用ハンド
KR102165562B1 (ko) 기판이송로봇용 포크장치
CN100501963C (zh) 用于基片的盒
KR101740605B1 (ko) 고감쇠 로봇핸드
CN219135108U (zh) 光伏组件运输用衬垫
JP2021004045A (ja) 板状体支持装置
CN211593037U (zh) 一种腰果仁包装瓶定位压紧装置
KR200331861Y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CN220364012U (zh) 一种板材夹料的缓冲结构
KR20080049254A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