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02Y1 - 가변형 간격 조절구 - Google Patents

가변형 간격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02Y1
KR200489802Y1 KR2020170003161U KR20170003161U KR200489802Y1 KR 200489802 Y1 KR200489802 Y1 KR 200489802Y1 KR 2020170003161 U KR2020170003161 U KR 2020170003161U KR 20170003161 U KR20170003161 U KR 20170003161U KR 200489802 Y1 KR200489802 Y1 KR 200489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variable
protrusion
variable control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664U (ko
Inventor
김태연
Original Assignee
김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연 filed Critical 김태연
Priority to KR2020170003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02Y1/ko
Publication of KR201800036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변형 간격 조절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조립부(10)를 갖는 기초조절구(11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2조립부(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3조립부(30)를 갖는 제1가변조절구(1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4조립부(4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5조립부(50)를 갖는 제2가변조절구(1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기초조절구와 제1가변조절구 및 제2가변조절구로 이루어지고 이들 조절구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오는 각각의 조립부들이 서로 걸어져 조립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진 간격을 기초조절구와 제1가변조절구 및 제2가변조절구로 채워 조절함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제2가변조절구를 순차적으로 더 연결하여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진 간격을 채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간격 조절구{variable type gap regulation tool}
본 고안은 가변형 간격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대상물에 설치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대상물과 설치물과의 간격이 남을 경우 설치대상물과 피대상물과의 간격을 채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대상물에 대해 설치물이 흔들거림이나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 가변형 간격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물품을 올려놓고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바, 통상 벽면 양측에 브라켓을 각각 설치한 후 설치된 브라켓 상부에 패널을 안착시켜 안착된 패널 위에 물품을 올려놓도록 하고 있다.
근자들어서는 선반의 설치공간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창틀과 같이 활용가능한 공간에 선반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창틀에 선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창틀 프레임에 걸어지는 브라켓과 이 브라켓에 고정 지지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라켓을 이용하여 창틀에 선반을 설치한 다음 설치된 선반 위에 물품 예를 들어 화분이나 장식품을 올려 놓음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창틀공간을 선반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창틀에 선반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창틀에 선반을 고정하는 수단인 브라켓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바, 이미 설치되어 있는 창틀과 브라켓과의 간격에 의해 브라켓이 창틀로부터 밀착되지 않고 떨어지게 되어 덜렁거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창틀에 브라켓을 설치하는 구조가 브라켓의 꺾인 부분을 창틀에 걸어주는 구조에 의해 창틀에 브라켓을 설치하게 되는 바, 이 때 창틀에 따라 브라켓과 창틀과의 간격이 발생되기 때문에 브라켓이 창틀에 밀착되지 않고 덜렁거리거나 유동되어 외관상 좋지 않고 견고한 느낌을 갖지 못하게 된다.
물론, 브라켓을 창틀에 걸어준 후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브라켓과 창틀을 고정할 수 있으나, 대개의 창틀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피스로 브라켓과 창틀을 고정하는 작업에 어려움을 갖는다.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 20-0314549호인 판넬의 두께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프레임의 하측에서 고정판과 폭을 갖고 하측에 턱부가 형성된 제1연결홈과, 상기 고정판과 폭을 갖고 하측에 턱부가 형성된 제2연결홈과, 상기 고정판과 폭을 갖고 하측에 턱부가 형성된 제3연결홈과, 상기 제1, 2, 3 연결홈에 판넬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립되는 연결 돌출부와 홈부를 형성한 가변판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도어 설치를 위해 프레임을 설치할 때 판넬의 두께에 따라 하나의 프레임으로 폭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는 있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예컨대 창틀에 선반을 설치할 때 브라켓과 창틀과의 벌어지는 간격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전혀 해결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창틀과 같은 설치대상물에 브라켓과 같은 피설치대상물을 설치할 때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지는 간격을 쉽고 간단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14549호(2003.05.15.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54716호(2004.06.18. 등록)
본 고안은 설치대상물에 설치피대상물을 설치할 때 이들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진 간격을 채워 조절하도록 하여 설치대상물에 피설치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간격 조절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는,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조립부를 갖는 기초조절구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기초조절구의 제1조립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2조립부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3조립부를 갖는 제1가변조절구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가변조절구의 제3조립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4조립부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5조립부를 갖는 제2가변조절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기초조절구의 제1조립부는, 상기 기초조절구로부터 돌출되는 제1조립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변조절구의 제2조립부는, 상기 제1조립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부에 걸어지는 제1걸림턱을 갖는 제2조립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변조절구의 제3조립부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로부터 돌출되는 제3조립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의 제4조립부는, 상기 제3조립돌기로 이루어지는 제3조립부에 걸어지는 제2걸림턱을 갖는 제4조립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의 제5조립부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로부터 돌출되는 제5조립돌기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조립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조립부에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의 제2조립부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조립돌기가 위치되는 제1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3조립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3조립부에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의 제4조립부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조립돌기가 위치되는 제2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5조립돌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5조립부에는 상기 제2조립돌기가 위치되는 제3홈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기초조절구와 제1가변조절구 및 제2가변조절구로 이루어지고 이들 조절구들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오는 각각의 조립부들이 서로 걸어져 조립되어 연결되기 때문에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진 간격을 기초조절구와 제1가변조절구 및 제2가변조절구로 채워 조절함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제2가변조절구를 순차적으로 더 연결하여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과의 벌어진 간격을 채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의 기초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의 제1가변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의 제2가변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에 의해 설치대상물과 피설치대상물 사이의 공간이 채워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간격 조절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가변형 간격 조절구는,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조립부(10)를 갖는 기초조절구(11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2조립부(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3조립부(30)를 갖는 제1가변조절구(1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4조립부(4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5조립부(50)를 갖는 제2가변조절구(1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3가변조절구(13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사출성형에 의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와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는 서로에 대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가 기초조절구(110)의 상/하측부에 구비될 경우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는 상기 제1조립부(10)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상/하측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1가변조절구(120)의 상/하측부에 제2조립부(20)가 구비되면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는 제1가변조절구(120)의 좌/우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3조립부(30)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는 제2가변조절구(130)의 좌/우측부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03)에 위치되어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03)을 채워 피설치대상물(102)이 설치대상물(10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03) 만큼 상기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를 끼움방식으로 서로 조립하여 공간(103)을 채워주면 되는 것으로, 이 때 기초조절구(110)는 피설치대상물(102)에 끼워지고 피설치대상물(102)에 끼워지는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에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가 끼워져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가 조립되며, 기초조절구(110)에 조립된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에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를 끼워 줌으로써 공간(103)을 채워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또한,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를 서로에 대해 조립하더라도 공간(103)이 채워지지 않으면,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5조립부(50)에 다른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를 끼워 조립하고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5조립부(50)에 제2조립부(20)가 끼워진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에 다른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를 끼우는 구조로 복수개의 제1가변조절구(120)와 제2가변조절구(130)를 순차적으로 끼워 공간(103)을 채워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의 간격을 조절하면 된다.
이와 같이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를 순차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해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03)을 채워 간격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 도움없이 사용자가 직접 편리하고 용이하게 창틀과 같은 설치대상물(101)에 선반의 브라켓과 같은 피설치대상물(102)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는, 상기 기초조절구(110)로부터 돌출되는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는, 상기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부(10)에 걸어지는 제1걸림턱(21)을 갖는 제2조립돌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로부터 돌출되는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는, 상기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는 제3조립부(30)에 걸어지는 제2걸림턱(41)을 갖는 제4조립돌기(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5조립부(50)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로부터 돌출되는 제5조립돌기(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조립돌기들에 의해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를 서로 조립하여 설치대상물(101)과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03)을 채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턱(21)은 상기 제2조립돌기(22)가 상기 제1조립돌기(11)에 걸어져 끼워질 때 상기 제1걸림턱(21)에 의해 제2조립돌기(22)가 제1조립돌기(11)로부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걸림턱(41)은, 상기 제4조립돌기(42)가 상기 제3조립돌기(31)에 걸어져 끼워질 때 상기 제2걸림턱(41)에 의해 제4조립돌기(42)가 제3조립돌기(31)로부터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1걸림턱(21)과 제2걸림턱(41)이 각각 제2조립돌기(22)와 제4조립돌기(42)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대상물(101)에 대해 피설치대상물(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103)에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가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어 설치대상물(101)로부터 피설치대상물(102)이 떨어지거나 덜렁거리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조립부(10)에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조립돌기(11)가 위치되는 제1홈부(1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3조립부(30)에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조립돌기(31)가 위치되는 제2홈부(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조립돌기(5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5조립부(50)에는 상기 제5조립돌기(51)가 위치되는 제3홈부(5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조립돌기(11)가 위치되는 제1홈부(12)와 제3조립돌기(31)가 위치되는 제2홈부(32) 및 제5조립돌기(51)가 위치되는 제3홈부(52)가 각각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조립돌기(11)에 제2조립돌기(22)를 끼우거나 또는 상기 제3조립돌기(31)에 상기 제4조립돌기(42)를 끼우거나 또는 상기 제5조립돌기(51)에 다른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돌기(22)를 끼우거나 할 때 제1홈부(12)와 제2홈부(32) 및 제3홈부(52)에 의해 각각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끼워 조립함이 용이하다.
또한, 조립된 기초조절구(110)와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는 물론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가변조절구(120) 및 제2가변조절구(130)를 각각 인위적인 힘을 가해 분리함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조립부 11 : 제1조립돌기
12 : 제1홈부 20 : 제2조립부
21 : 제1걸림턱 22 : 제2조립돌기
30 : 제3조립부 31 : 제3조립돌기
32 : 제2홈부 40 : 제4조립부
41 : 제2걸림턱 42 : 제4조립돌기
50 : 제5조립부 51 : 제5조립돌기
52 : 제3홈부 110 : 기초조절구
120 : 제1가변조절구 130 : 제2가변조절구

Claims (5)

  1.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제1조립부(10)를 갖는 기초조절구(11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2조립부(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3조립부(30)를 갖는 제1가변조절구(12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오는 한 쌍의 제4조립부(40)와 상/하측부 또는 좌/우측부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한 쌍의 제5조립부(50)를 갖는 제2가변조절구(130)로 구비되는 간격 조절구에 있어서,
    상기 기초조절구(110)는 피설치대상물(102)에 끼워지고,
    상기 기초조절구(110)의 제1조립부(10)는, 상기 기초조절구(110)로부터 돌출되는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는, 상기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는 제1조립부(10)에 걸어지는 제1걸림턱(21)을 갖는 제2조립돌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3조립부(30)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로부터 돌출되는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는, 상기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는 제3조립부(30)에 걸어지는 제2걸림턱(41)을 갖는 제4조립돌기(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5조립부(50)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로부터 돌출되는 제5조립돌기(5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간격 조절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돌기(1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조립부(10)에는 상기 제1가변조절구(120)의 제2조립부(20)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조립돌기(11)가 위치되는 제1홈부(1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간격 조절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조립돌기(3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3조립부(30)에는 상기 제2가변조절구(130)의 제4조립부(40)가 걸어짐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조립돌기(31)가 위치되는 제2홈부(3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간격 조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조립돌기(51)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5조립부(50)에는 상기 제5조립돌기(51)가 위치되는 제3홈부(52)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2020170003161U 2017-06-19 2017-06-19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200489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61U KR200489802Y1 (ko) 2017-06-19 2017-06-19 가변형 간격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161U KR200489802Y1 (ko) 2017-06-19 2017-06-19 가변형 간격 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64U KR20180003664U (ko) 2018-12-28
KR200489802Y1 true KR200489802Y1 (ko) 2019-08-09

Family

ID=6495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161U KR200489802Y1 (ko) 2017-06-19 2017-06-19 가변형 간격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237B1 (ko) * 2021-12-28 2023-12-29 동양철관 주식회사 각형 강관의 제조장치
KR102576184B1 (ko) * 2023-01-26 2023-09-08 동양철관 주식회사 각형 강관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5476A (ja) * 2011-10-31 2013-05-20 Okamura Corp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2847A (ja) * 1995-01-12 1996-07-30 Dainippon Ink & Chem Inc 合成樹脂製角型運搬容器
KR200314549Y1 (ko) 2002-12-03 2003-05-27 이재협 판넬의 두께에 따른 폭 조절이 가능한 프레임
KR200354716Y1 (ko) 2004-03-24 2004-06-30 양경철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WO2008088108A1 (en) * 2007-01-17 2008-07-24 Posi Inc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KR101058271B1 (ko) * 2009-07-27 2011-08-25 김시용 슬라이드 블록
KR101313532B1 (ko) * 2011-01-04 2013-10-01 주식회사 누리텍 나사못 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70014654A (ko) * 2015-07-30 2017-02-08 이규 마루널 고정장치
KR20170065212A (ko) * 2015-12-03 2017-06-13 김재준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5476A (ja) * 2011-10-31 2013-05-20 Okamura Corp トレー及びその収納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64U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8547B2 (ja) フロントパネルを固定する家具用取付具
US4034535A (en) Building set for a base construction of a pillar casing
KR200489802Y1 (ko) 가변형 간격 조절구
US3655254A (en) Cabinet, particularly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4147393A (en) Drawer slide mount employing a slide element and cooperative clip
US5667178A (en) Bracket assembly for mounting a shade
US20120228446A1 (en) Hardware for mounting a curtain rod
AU734973B2 (en) Assembly rail for a switching cabinet
US5941492A (en) Appliance mounting apparatus
US958481A (en) Door or window guard.
TR201809369T4 (tr) Soğutucu raf.
KR20210023202A (ko) 수직판재의 수직레벨 조절 구조를 갖는 시스템 가구
US20220034134A1 (en) Furniture compon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U151327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ам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в проемы
US681380A (en) Adjustable device for hanging pictures.
JP2008121382A (ja) パネル支持構造
JP6664654B2 (ja) 化粧板の固定構造
JP5540999B2 (ja) サイドパネルの取付装置
KR20190000312U (ko)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JP6494017B2 (ja) テレビ壁掛用の取付金具
US7543624B2 (en) Curtain hook apparatus and method
KR200453666Y1 (ko) 조립이 간편한 벽 부착식 선반
JP2017046787A (ja) キャビネット
JP4659608B2 (ja) 壁面装置
ITBZ940002U1 (it) Dispositivo di fissaggio di un pannello frontale di un casset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