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12U -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 Google Patents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12U
KR20190000312U KR2020170003903U KR20170003903U KR20190000312U KR 20190000312 U KR20190000312 U KR 20190000312U KR 2020170003903 U KR2020170003903 U KR 2020170003903U KR 20170003903 U KR20170003903 U KR 20170003903U KR 20190000312 U KR20190000312 U KR 201900003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nel
horizontal plate
partition
fram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민
Original Assignee
노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민 filed Critical 노상민
Priority to KR2020170003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312U/ko
Publication of KR20190000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되어 파티션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200)에 있어서,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 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210);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2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지지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SUPPORTING APPARATUS FOR PARTITION AND, PARTITION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판넬의 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되어 파티션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은 주어진 사무실이나 업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공간을 분할하는 판재를 지지하는 사무용 가구의 하나로서, 도 1에는 종래의 파티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파티션은 패널과 상단, 부착부, 하단을 비롯한 각종 연결부속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중에서도 하단부의 조절발은 따로 미리 조립을 해서 파티션 하단에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걸레받이 하단바에 전선을 연결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파티션패널과 하단부, 조절발이 조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사무실에 설치후 파티션과 그 주변환경 관리가 어려울뿐만 아니라 파티션 크기별로 필요로 하는 부속품의 종류도 다르며 그 개수도 많이 소요되어 파티션 제작시 부속품들을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등 제작이 번거롭고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단부와 조립발을 조립하여 파티션판넬 하단에 조립하므로 작업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310299호(2003.03.31), 파티션 프레임.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이 편리하여 필요한 작업공수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시공후에도 관리가 용이한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지지구는,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되어 파티션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에 있어서,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 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210);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2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는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단 변부로부터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241)을 형성하고, 삽입된 파티션판넬(100)의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양 측벽을 지지하여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측벽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브라켓(120)에는 파티션판넬(100)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띠(12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측벽플레이트(240) 상에서 상기 지지띠(12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띠(121)가 삽입되기 위한 띠삽입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변부에는 내부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130)이 장착되고, 상기 체결나사(220)는 스크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나사공(211)을 통해 바닥면(110)에 회전삽입되어 상기 골조프레임(130)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는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관(243)이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내부에는 직립배치되고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나사(233)가 고정장착되며, 상기 지주프레임(230)은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치합되는 회전결합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상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하단에는 하향 개구된 패드삽입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231)에는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에는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부(25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기 위한 제2패드삽입홈(252)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된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져 임의 규격을 갖는 하나의 높이조절구가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면서 지주프레임(230)의 전체적인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일정면적을 갖는 소폭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면서 공간을 구획하고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된 파티션판넬(100); 및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 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210)와,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2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티션판넬(100)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2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에 의하면, 파티션 제작을 위한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량생산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파티션에 구비된 걸레받이 하단부가 생략되므로 화재위험이 줄어들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설치후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용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파티션 제작을 위한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량생산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파티션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판넬(100) 및 파티션용 지지구(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파티션판넬(100)은 실내공간에 직립설치되어 판재로서, 일정면적을 갖는 소폭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면서 공간을 구획하고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브라켓(120)은 각 파티션판넬(100)을 측방으로 나란하거나 직교되게 연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 이용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티션판넬(100)의 상부에는 상단변부를 커버하는 별도의 마감부재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판넬(100)은 테두리 부분에 사각 골조프레임(130)이 배치되고 이 골조프레임(130)의 전면과 후면에 철판, 합성수지판 등의 커버판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골조프레임(130)은 목재나 합성수지재와 같이 원가가 저렴하고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티션용 지지구(200)는 파티션판넬(100)이 직립설치되도록 지지하는 부재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플레이트(210), 체결나사(220) 및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는 지주프레임(230)이 파티션판넬(10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파티션판넬(100)에 고정되는 프레임으로서,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는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나사(220)는 파티션판넬(100)과 수평플레이트(210)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지주프레임(230)은 지면에 안착되는 기둥부재로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지주프레임(230)이 원통형상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다양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하단에는 고무나 실리콘, 사포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논슬립패드(232)가 장착되어 지주프레임(230)이 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설치된 위치가 의도하지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단 변부에는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되어 수평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241)을 형성하고,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양측벽에 지지되어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측벽플레이트(2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에 장착된 수평플레이트(210)가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체결나사(220)에 측방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체결나사(220)가 외부가압력에 의해 훼손되거나 탈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되는데, 상기 사이드브라켓(120)에는 파티션판넬(100)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띠(121)가 연장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측벽플레이트(240) 상에서 상기 지지띠(12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띠(121)가 삽입되기 위한 띠삽입홈(2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티션용 지지구(200)가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에 장착되면서 사이드브라켓(120)의 지지띠(121)가 띠삽입홈에 삽입되므로, 측벽플레이트(240)가 파티션판넬(100)의 측벽에 밀착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변부에는 내부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골조프레임(130)이 장착되고, 상기 체결나사(220)는 스크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나사공(211)에 통해 바닥면(110)에 회전삽입되어 상기 골조프레임(130)에 홈을 형성하면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상에 파티션용 지지구(200)를 장착할 위치에 체결나사(220)를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나사공(211)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파티션용 지지구(200)의 장착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여러 개의 파티션판넬(100)이 연이어 설치되는 경우 지면이 굴곡지거나 단차가 발생하게 되면 각 파티션판넬(100)의 설치높이에 차이가 발생하여 견고하게 설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관이 저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조립체는 지면이 굴곡지거나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수평플레이트(210) 상에서 지주프레임(230)이 장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각 파티션판넬(100)을 수평하게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는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관(243)이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내부에는 직립배치되고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나사(233)가 마련되어,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치합되는 회전결합에 의해 상기 지주프레임(230)은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상하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높이조절을 위한 다른 방식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하단에는 하향 개구된 패드삽입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231)에는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단에는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부(25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기 위한 제2패드삽입홈(252)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된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져 임의 규격을 갖는 하나의 높이조절구가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면서 지주프레임(230)의 전체적인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바닥면(110)의 상태에 따라 필요로 하는 높이의 규격을 갖는 높이조절구(250a~250c)를 선택하여 지주프레임(230)의 하부에 부가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파티션판넬(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에 논슬립패드(232)가 장착되는 패드삽입홈(231)을 이용하여 상기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를 장착함으로써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를 연결하기 위한 부수적인 체결수단이 불필요하며, 패드삽입홈(231)으로부터 분리된 논슬립패드(232)는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의 하단에 형성된 제2패드삽입홈(252)에 장착하여 슬립방지 기능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티션 조립체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파티션 제작을 위한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고 용이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량생산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파티션에 구비된 걸레받이 하단부가 생략되므로 화재위험이 줄어들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설치후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파티션판넬 110...바닥면
200...지지구 210...수평플레이트
211...나사공 220...체결나사
230...지주프레임 240...측벽플레이트
241...삽입공간 242...띠삽입홈
250...높이조절구 251...체결부
252...제2패드삽입홈

Claims (7)

  1.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에 복수 개가 장착되어 파티션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에 있어서,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 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210);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2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는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단 변부로부터 일정길이로 상향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와의 사이에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간(241)을 형성하고, 삽입된 파티션판넬(100)의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양 측벽을 지지하여 측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측벽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브라켓(120)에는 파티션판넬(100)의 측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띠(121)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측벽플레이트(240) 상에서 상기 지지띠(12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지지띠(121)가 삽입되기 위한 띠삽입홈(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단 변부에는 내부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골조프레임(130)이 장착되고,
    상기 체결나사(220)는 스크류나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나사공(211)을 통해 바닥면(110)에 회전삽입되어 상기 골조프레임(130)의 표면을 파고들면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는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암나사관(243)이 하향 연장형성되고,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내부에는 직립배치되고 둘레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나사(233)가 고정장착되며,
    상기 지주프레임(230)은 상기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치합되는 회전결합에 의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상하로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용 지지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주프레임(230)의 하단에는 하향 개구된 패드삽입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삽입홈(231)에는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단에는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체결부(25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논슬립패드(232)가 삽입되기 위한 제2패드삽입홈(252)이 하향 개구되어 형성된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구(250a 내지 250c)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복수의 규격으로 이루어져 임의 규격을 갖는 하나의 높이조절구가 상기 패드삽입홈(23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면서 지주프레임(230)의 전체적인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파티션용 지지구.
  7. 일정면적을 갖는 소폭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직립배치되면서 공간을 구획하고 테두리에는 사이드브라켓(120)이 장착된 파티션판넬(100); 및
    수평한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밀착배치되고 양 측에는 상하로 개구된 나사공(21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210)와, 상기 나사공(211)을 통해 파티션판넬(100)의 바닥면(110)에 관통삽입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를 바닥면(110)에 고정시키는 체결나사(220) 및,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플레이트(210)의 하부에 직립배치되도록 장착되고 하단이 지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파티션판넬(10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주프레임(230)을 포함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파티션판넬(100)이 직립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파티션용 지지구(200);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KR2020170003903U 2017-07-26 2017-07-26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KR201900003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03U KR20190000312U (ko) 2017-07-26 2017-07-26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03U KR20190000312U (ko) 2017-07-26 2017-07-26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12U true KR20190000312U (ko) 2019-02-08

Family

ID=6536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03U KR20190000312U (ko) 2017-07-26 2017-07-26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2179A (zh) * 2022-01-24 2022-04-22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应对自然灾害的快捷装配式应急居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299Y1 (ko) 2003-01-21 2003-04-21 안상도 파티션 프레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299Y1 (ko) 2003-01-21 2003-04-21 안상도 파티션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2179A (zh) * 2022-01-24 2022-04-22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应对自然灾害的快捷装配式应急居所
CN114382179B (zh) * 2022-01-24 2024-05-07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应对自然灾害的快捷装配式应急居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6108B2 (ja) 商品の展示用の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US9877600B1 (en) Storage platform
US8967227B2 (en) Roller curtain fixing bracket assembly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US5941492A (en) Appliance mounting apparatus
KR20190000312U (ko) 파티션용 지지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조립체
CN214220359U (zh) 墙板调节组件和墙板组件
JP3142796U (ja) 棚構造
KR200445427Y1 (ko) 진열대용 선반 높이조절장치
KR200485772Y1 (ko) 천정 루바 설치구조
US20150289650A1 (en) Decorative element for a shelf
US20070262220A1 (en) Shelf support system
US20070029050A1 (en) Hanging device for a Roman shade
JP2009296201A (ja) 薄型テレビ壁掛け用ラック
US5813450A (en) Sunshade for car back window
CN111576698A (zh) 一种幕墙结构
KR200335198Y1 (ko)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101404701B1 (ko) 개방형 가구 및 그 제작방법
KR101081957B1 (ko) 마루틀 고정장치
CN215254207U (zh) 一种调节挂件
KR102253896B1 (ko) 체인으로 연결된 테이블형 식탁
JP7444578B2 (ja) 支持構造、什器及び取付方法
KR101061285B1 (ko) 벽걸이 조립 구조체
US20130020039A1 (en) Finial having a decorative insert
JP4831402B2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及び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