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716Y1 -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 Google Patents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716Y1
KR200354716Y1 KR20-2004-0008117U KR20040008117U KR200354716Y1 KR 200354716 Y1 KR200354716 Y1 KR 200354716Y1 KR 20040008117 U KR20040008117 U KR 20040008117U KR 200354716 Y1 KR200354716 Y1 KR 20035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upport
fixed
movabl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양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철 filed Critical 양경철
Priority to KR20-2004-0008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7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3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 A47B96/065C-shaped brackets for gripping the shelf edge adjustable to the thickness of the shel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7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adjustable in themselve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벽면이나 진열대에 부착되어 상품을 전시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을 받쳐주는 선반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구는 벽면이나 진열대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반의 후단이 삽입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와, 그리고 상기 고정하부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진입되는 가동상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채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된 받침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받침부의 경계부위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와 고정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단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확보한 채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절곡되어 가동상부와는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동하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는 수직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가동하부에 형성되는 볼트머리 지지공을 포함하고 있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가동하부에 형성된 볼트머리 지지공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어 조절부재를 상,하로 이동조절시켜주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Shelf supporter enabling height control}
본 고안은 목재선반이나 유리선반과 같이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전시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받침구는 벽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부착패널 또는 벽면 및 부착패널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지주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서 벽면이나 지주 등에 설치되어 선반을 받쳐주는 선반받침구는 여러 형태의 구조로 된 것들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도 6의 도시와 같이 선반(100)의 저부만을 받쳐주는 선반받침구(200)와 도 7의 도시와 같이 선반(100)의 후단을 상,하로 지지하는 선반받침구(300)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의 선반받침구(200)는 선반(100)을 상,하로 붙잡아주지 않고 단순히 선반(100)을 밑에서 받쳐주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100)의 전,후 폭이 선반받침구(200)의 길이보다 클 경우에는 선반(100)이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상품을 선반의 선단측으로 진열하게 될 경우 선반이 넘어질 우려가 있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후자의 선반받침구(300)는 상,하부(301)(302) 사이에 선반(100) 후단이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부(301)에 나사조립된 작은 크기의 지지볼트(303)가 지지홈으로 삽입된 선반(100)의 후단 상면을 지지볼트(303)로 압착하여 선반을 지지할 수 있어 선반(100)이 어느 정도 큰 크기(상세하게는 전,후 폭)로 된 것도 설치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선반받침구(300)의 상부에 나사조립된 지지볼트(303)이 작기 때문에 선반받침구(300)의 상,하부(301)(302) 사이에 형성된지지홈의 상,하폭보다 조금 작은 두께를 갖는 선반의 설치는 가능한 반면에, 지지홈의 상,하폭에 비하여 훨씬 작은 두께를 갖는 선반의 경우에는 지지볼트(303)로 지지할 수 없기 때문에 두께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선반 예를 들면, 두께가 대략 30mm 이상으로 된 목재선반과 두께가 10mm 내외의 유리선반을 공동으로 후자의 선반받침구(300)로 설치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선반받침구에서 나타나는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저면을 비교적 넓은 폭으로 지지함과 동시 후단의 상,하면을 압착 지지하여 선반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두께가 가장 얇은 유리선반에서부터 두께가 가장 두꺼운 목재선반에 이르기까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모든 선반을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선반받침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벽면이나 진열대에 부착되어 상품을 전시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을 받쳐주는 선반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구는,
벽면이나 진열대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반의 후단이 삽입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와, 그리고 상기 고정하부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진입되는 가동상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채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된 받침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받침부의 경계부위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와 고정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단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확보한 채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절곡되어 가동상부와는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동하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는 수직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가동하부에 형성되는 볼트머리 지지공을 포함하고 있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가동하부에 형성된 볼트머리 지지공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어 조절부재를 상,하로 이동조절시켜주는 조절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는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후단 전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는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후단 일부분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통적으로 좌,우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를 분리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도 6 및 도 7은 종래 기술의 선반받침구.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부재 11 : 부착부
12 : 고정상부 13 : 고정하부
14 : 암나사공 2 : 조절부재
21 : 가동상부 22 : 받침부
23 : 수직부 24 : 가동하부
25 : 볼트머리 지지공 3 : 조절볼트
5a : 목재선반 5b : 유리선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를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로 나타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고정부재를, 2는 조절부재를, 3은 조절볼트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부재(1)는 나사못(4)이나 부착볼트에 의해 벽면이나 진열대 등에 고정되게 부착되는 부착부(11)와, 상기 부착부(11)의 상,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된 상태로 형성되는 고정상부(12) 및 고정하부(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하부(13)에는 하나 이상의 암나사공(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재(2)는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와 고정하부(13)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진입 설치되는 가동상부(21)와, 이 가동상부(21)와는 수평을 이루도록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22)와, 상기 가동상부와 받침부의 경계부위에서 하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수직부(23)와, 이 수직부(23)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절곡되어 가동상부(21)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 가동하부(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하부(24)에는 고정부재(1)의 고정하부(13)에 형성된 암나사공(14)과 수직상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볼트머리 지지공(25)이 뚫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볼트(3)는 조절부재(2)의 가동하부(24)에 형성된 볼트머리 지지공(25)을 관통하여 고정부재(1)의 고정하부(13)에 형성된 암나사공(14)에 나사조립되어 조임방향 또는 풀림방향으로 회전조작함에 따라서 가동부재(2)를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작동으로 상기 가동부재(2)의 가동상부(21)와 받침부(22) 상면에 설치되는 목재선반(5a) 또는 유리선반(5b)의 후단 상면이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에 밀착 지지되게 하므로서 선반이 고정부재(1)와 가동부재(2)에 압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는 설치되는 선반과 같이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과, 좌,우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의 좌,우 길이가 설치하고자 하는 목재선반(5a) 또는 유리선반(5b)과 거의 같은 길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고정부재(1)를 벽면이나 진열대에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착부(11)를 다수의 나사못(4)나 부착볼트로서 부착하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1)의 고정하부(13)와 조절부재(2)의 가동하부(24) 각각에 복수개의 암나사공(14)과 볼트머리 지지공(25)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의 볼트머리 지지공(25)을 통해 조절볼트(3)를 삽입하여 그 조절볼트의 머리부분은 볼트머리 지지공(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는 한편, 조절볼트의 단부는 암나사공(14)에 나사조립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의 좌,우 길이가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길이보다 훨씬 짧은 길이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6)에 설치되거나 또는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며, 또 이 실시예에서 짧은 길이를 가지면서 셋트화된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에는 각기 하나의 조절볼트(3)에 의하여 조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실시예는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의 상,하 길이 및 조절볼트(3)의 길이는 두께가 두꺼운 목재선반(5a) 및 두께가 얇은 유리선반(5b)을 설치할 수 있는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의 도시는 선반받침구에 두께가 두꺼운 목재선반(5a)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목재선반(5a)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조절부재(2)의 가동하부(24)의 하측에서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절볼트(3)를 나사풀림하게 되면 조절볼트(3)는 밑으로 내려가게 되며, 이에 따라 조절부재(2)도 함께 내려가게 되므로서 사용자는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가 목재선반(5a)을 삽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내려가게 되면 조절볼트(3)의 나사풀림조작을 중지한 후 목재선반(5a) 후단을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와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 사이에 끼워준 다음 조절볼트(3)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조작하게 되면 조절부재(2)가 위로 올라가면서 목재선반(5a)의 후단 상면이 고정상부(12)에 밀착되므로서 목재선반(5a)은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와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가 되며, 또한 조절부재(2)에는 가동상부(21)와 수평을 이루는 받침부(22)가 목재선반(5a)을 받쳐주고 있는 상태이므로 목재선반(5a)은 받침부(22)보다 전방으로 길게 돌출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도시는 두께가 비교적 얇은 유리선반(5b)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경우에는 조절볼트(3)를 나사조임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가 유리선반(5b)을 삽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유리선반(5b)을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와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 사이로 끼워준 다음 다시 조절볼트(3)를 나사조임하여 조절부재(2)를 상승시키게 되면 유리선반(5b)의 후단은 고정부재(1)의 고정상부(12)와 조절부재(2)의 가동상부(21)사이에 밀착 지지된 상태가 되며, 또한 유리선반(5b)은 받침부(22)에 의하여 안정되게 받쳐진 상태가 되어 유리선반(5b)이 받침부(22)에서 길게 돌출되는 규격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유리선반은 고정부재(1)와 조절부재(2)에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두께가 두꺼운 선반이나 두께가 얇은 선반을 공통적으로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벽면이나 진열대 등에 설치되는 선반을 목재선반 및 유리선반으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목재선반과 유리선반을 조화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어 백화점이나 각종 전문매장에서는 전시 및 진열하고자 하는 상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열 및 전시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벽면이나 진열대에 부착되어 상품을 전시 및 진열하기 위한 선반을 받쳐주는 선반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구는,
    벽면이나 진열대에 고정 부착되는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의 상,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직각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선반의 후단이 삽입 설치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와, 그리고 상기 고정하부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 및 고정하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진입되는 가동상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된 채 전방을 향해 길게 돌출된 받침부와, 상기 가동상부와 받침부의 경계부위에서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부와 고정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단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확보한 채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직각상으로 절곡되어 가동상부와는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가동하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과는 수직상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가동하부에 형성되는 볼트머리 지지공을 포함하고 있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가동하부에 형성된 볼트머리 지지공을 관통하여 고정부재의 고정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나사조립되어 조절부재를 선반의 두께에 따라 상,하로 이동조절시켜서 선반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조절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는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후단 전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조절부재는 설치하고자 하는 선반의 후단 일부분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공통적으로 좌,우 길이가 짧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KR20-2004-0008117U 2004-03-24 2004-03-24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KR200354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7U KR200354716Y1 (ko) 2004-03-24 2004-03-24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7U KR200354716Y1 (ko) 2004-03-24 2004-03-24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716Y1 true KR200354716Y1 (ko) 2004-06-30

Family

ID=4943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17U KR200354716Y1 (ko) 2004-03-24 2004-03-24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7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5Y1 (ko)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KR20180003664U (ko)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102267329B1 (ko) * 2020-11-24 2021-06-21 주식회사 미래에스엠 무타공 다용도 선반 지지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5Y1 (ko)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KR20180003664U (ko)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102267329B1 (ko) * 2020-11-24 2021-06-21 주식회사 미래에스엠 무타공 다용도 선반 지지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3555B2 (en) Planar display assembly
RU2006127478A (ru) Дисплейный стенд
KR200354716Y1 (ko) 선반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반받침구
KR20060118886A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US20020040532A1 (en) Adjustable spirit level for tile and cabinet installation
JP2006280810A (ja) 陳列棚装置
JP2008104709A (ja) ハンギング装置及びハンギングビームの取付装置
KR100762009B1 (ko) 책상의 선반장 설치구조
KR200345764Y1 (ko)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JP6982919B1 (ja) 太陽電池パネル取付架台
KR200335198Y1 (ko)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KR960003136Y1 (ko)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RU191741U1 (ru)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адиатора
JP2532901Y2 (ja) 家具の高さ調節装置
JP2009034460A (ja) パネル状物品の支持具
JP2002223880A (ja) アジャスタ機構
JP2005264549A (ja) ローパーティション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JPH079297Y2 (ja) スタンド用固定金具
KR101000586B1 (ko) 낚시대 받침대용 고정구
KR970000262Y1 (ko) 선반 받침구
KR200365456Y1 (ko) 조립식 진열대
JP2006064757A (ja) ディスプレイ固定用スタンド
KR200459616Y1 (ko)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KR200165373Y1 (ko) 상품진열용 선반 받침구
KR200232277Y1 (ko) 간이용 보드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