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616Y1 -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 Google Patents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616Y1
KR200459616Y1 KR2020100008315U KR20100008315U KR200459616Y1 KR 200459616 Y1 KR200459616 Y1 KR 200459616Y1 KR 2020100008315 U KR2020100008315 U KR 2020100008315U KR 20100008315 U KR20100008315 U KR 20100008315U KR 200459616 Y1 KR200459616 Y1 KR 200459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ture
partition
desk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149U (ko
Inventor
김욱
Original Assignee
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욱 filed Critical 김욱
Priority to KR2020100008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61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6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브라켓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으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파티션을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구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반대방향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파로 이루어지는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판과 밀착되는 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된 칸막이;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와 상기 고정구가 대응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elevating system for partition of desk}
본 고안은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에 브라켓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으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파티션을 필요한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에는 작업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로 문서작성 또는 서류검토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책상이 설치된다.
이러한 책상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함께 근무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된다.
하지만 아무리 책상의 배치가 잘되어도 서로 대면해야 하는 상황이불가피하게 발생하므로 업무집중력이나 프라이버시를 위해 책상들 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한다.
이러한 칸막이는 일단 설치하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목적에 부합하도록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책상의 측면 또는 후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칸막이 들이 설치되고 있지만 가이드나 구동수단을 구비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톱파에 고정구가 안착되고 이 고정구에 의해 칸막이의 돌기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이드나 구동수단 없이 칸막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가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를 형성하므로 칸막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요부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를 부착 설치하므로 소음 없이 그리고 더욱 견고하게 칸막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돌기가 상기 칸막이의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므로 칸막이를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칸막이의 상부에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가 설치하므로 채광이 되면서 동시에 소음을 일부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를 일시고정시키는 일시고정수단을 구비하므로 판유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시고정수단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쐐기를 구비하므로 판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구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반대방향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파로 이루어지는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판과 밀착되는 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된 칸막이;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와 상기 고정구가 대응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요부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가 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칸막이의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칸막이의 상부에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를 일시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시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일시고정수단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스톱파에 고정구가 안착되고 이 고정구에 의해 칸막이의 돌기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이드나 구동수단 없이 칸막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상기 고정구가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를 형성하므로 칸막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상기 요부의 내주면에 탄성부재를 부착 설치하므로 소음 없이 그리고 더욱 견고하게 칸막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상기 돌기가 상기 칸막이의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므로 칸막이를 다단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상기 칸막이의 상부에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가 설치하므로 채광이 되면서 동시에 소음을 일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 상기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를 일시고정시키는 일시고정수단을 구비하므로 판유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은일시고정수단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쐐기를 구비하므로 판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브라켓의 전개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의 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은 책상(T)에 설치되는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칸막이(20)를 포함한다.
브라켓(10)은 베이스판(12)과, 상기 베이스판(12)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구 고정판(14)과, 상기 베이스판(12)의 일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판(16)과,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의 반대방향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판(18)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에 힌지결합되는 고정구(30)와, 상기 고정구(3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파(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12)은 책상(T)의 측면과 밀착되는 부재로서 주로 강재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측면판(16)은 상기 베이스판(12)의 측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판(12)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측면판(16)은 상기 베이스판(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은 상기 베이스판(12)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측면판(16)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2)과 연결설치된다. 상기 고정구 고정판(14) 또한 상기 베이스판(12)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에는 고정구(30)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0)는 바(bar) 형상으로 회전축(3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고정구(30)의 선단은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의 선단을 지나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에는 상기 고정구(30)가 평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스톱파(3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톱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판(18)은 상기 베이스판(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의 반대방향에 직각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절곡판(18)은 상기 베이스판(12)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판(18)은 관통구(18a)가 형성되어 필요한 곳에 나사못(18b)을 통하여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과, 상기 측면판(16) 및 상기 절곡판(18)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과, 상기 측면판(16) 및 상기 절곡판(18)은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된 판을 벤딩하여 브라켓(10)의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칸막이(20)는 상기 베이스판(12)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과 상기 측면판(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20)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판(12) 내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14)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20)의 폭은 책상에 설치되는 양쪽의 브라켓(10) 측면판(16)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상기 칸막이(2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동일한 높이에 돌기(22)가 한 쌍 형성된다. 상기 돌기(22)는 상기 칸막이(2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측면판(16)의 축방향 연장길이보다 외측에 위치해야 하고, 상기 고정구(30)를 회동시켜 스톱파(32)에 안착시켰을 때 상기 고정구(30)의 선단보다 내측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30)의 상부에 상기 돌기(22)가 대응되어 상기 칸막이(20)가 더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실시예]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은 책상에 설치되는 브라켓(50)과, 상기 브라켓(5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칸막이(60)를 포함한다.
브라켓(50)은 베이스판(52)과, 상기 베이스판(52)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구 고정판(54)과, 상기 베이스판(52)의 일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판(56)과, 상기 베이스판(52)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의 반대방향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판(58)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에 힌지결합되는 고정구(70)와, 상기 고정구(70)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파(72)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판(52), 고정구 고정판(54), 측면판(56), 절곡판(58) 및 스톱파(72)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고정구(7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전축(70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선단은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의 선단을 지나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70)와 후술하는 칸막이(60)의 돌기(62)가 대응되는 부분에 요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요부(74)의 내주면에는 탄성부재(76)가 부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76)는 수지, 고무(rubber) 또는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에는 상기 고정구가 평행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의 연장방향으로 스톱파(72)가 형성된다.
칸막이(60)는 상기 베이스판(52)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54)과 상기 측면판(5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60)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판(52) 내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54)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또한 상기 칸막이(60)의 폭은 책상(T)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50)의 측면판(56)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과 일치한다. 상기 칸막이(T)는 동일한 높이에 돌기(62)가 한 쌍씩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돌기(62)는 상기 칸막이(T)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측면판(56)의 축방향 연장길이보다 외측에 위치해야 하고, 상기 고정구(70)를 회동시켜 스톱파(72)에 안착시켰을 때 상기 고정구(70)의 선단보다 내측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톱파(72)에 안착된 고정구(70)의 요부(74)에 상기 돌기(62)가 삽입되므로 상기 칸막이(60)가 흔들림 없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70)의 요부(74) 내주면에는 탄성부재(76)가 부착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큰 손상을 입지 않는다.
또한 상기 칸막이(60)의 상부에는 상기 칸막이(60)의 내측으로 단면이 사각인 홈(6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64)에 판유리(80)가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판유리(80)는 일시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칸막이(60)의 홈(64)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일시고정수단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82)로서 상기 판유리(80)의 전면 또는 후면과 상기 칸막이(60)의 홈(64)에 끼워진다. 상기 쐐기(82)의 선단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재질은 수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0, 50 : 브라켓 12, 52 : 베이스판
14, 54 : 고정구 고정판 16, 56 : 측면판
18, 58 : 절곡판 20, 60 : 칸막이
22, 62 : 돌기 64 : 홈
30, 70 : 고정구 32, 72 : 스톱파
74 : 요부 76 : 탄성부재
80 : 판유리 82 : 쐐기

Claims (5)

  1.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과 평행하게 형성된 고정구 고정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면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일측면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구 고정판의 반대방향 직각으로 형성된 절곡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에 힌지결합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톱파로 이루어지는 브라켓과;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고정구 고정판 및 상기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 고정판과 밀착되는 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된 칸막이;를 포함하되,
    상기 돌기와 상기 고정구가 대응함에 따라 상기 칸막이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부에 탄성부재가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칸막이의 상하방향으로 일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의 상부에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이 가능한 판유리를 일시고정시킬 수 있는 일시고정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일시고정수단은 선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칸막이 고정 시스템.
KR2020100008315U 2010-08-10 2010-08-10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KR200459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15U KR200459616Y1 (ko) 2010-08-10 2010-08-10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315U KR200459616Y1 (ko) 2010-08-10 2010-08-10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9U KR20120001149U (ko) 2012-02-20
KR200459616Y1 true KR200459616Y1 (ko) 2012-04-04

Family

ID=4593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315U KR200459616Y1 (ko) 2010-08-10 2010-08-10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61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32A (ja) 1999-12-21 2001-09-04 Itoki Crebio Corp パネル付き折畳み式テーブル
JP2003070551A (ja) 2001-09-06 2003-03-11 Kokuyo Co Ltd デスクトップ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901243B1 (ko) 2008-10-01 2009-06-08 마진 상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교실 책상용 덮개 또는 가리개
JP2009195524A (ja) 2008-02-22 2009-09-03 Okamura Corp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732A (ja) 1999-12-21 2001-09-04 Itoki Crebio Corp パネル付き折畳み式テーブル
JP2003070551A (ja) 2001-09-06 2003-03-11 Kokuyo Co Ltd デスクトップ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9195524A (ja) 2008-02-22 2009-09-03 Okamura Corp テーブルにおけるパネル装置
KR100901243B1 (ko) 2008-10-01 2009-06-08 마진 상하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한 교실 책상용 덮개 또는 가리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49U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5610A (en) Adjustable door jamb and ceiling channel
US20060157436A1 (en) Rack system, adapter, rack frame, support rail, and method of making a rack system
US10184267B2 (en) Supporting mechanism for glass fence
KR20100018464A (ko) 패널들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지를 가지는 장치, 캐리지, 레일, 그리고 구획 부재
EP3179007B1 (en) Adjustable glass rail structure
US202000411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surface-mounted kitchen cooktop units
JP6443086B2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
KR200459616Y1 (ko) 책상용 칸막이 승강시스템
JP3190051U (ja) 仕切体保持具および仕切体構造
EP2841669B1 (en) Balcony glazing arrangement
US10145142B1 (en) Fence panel installation system
US11253069B2 (en) Hanging rack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KR102363668B1 (ko) 전자장치 및 계기 함체를 위한 장착 프레임 및 레일
US20220356714A1 (en) Infill adaptor for a balustrade
JP2016223174A (ja) 間仕切パネルにおける支柱固定装置
JP2010196385A (ja) スロープ用支柱の取付構造
DE202015102168U1 (de) Montageanordnung für Wandpaneele
CA2935756C (en) Supporting mechanism for glass fence
US10246925B2 (en) Adjustable casement window sash lifter
JP4884323B2 (ja) 制震取付具
JP6299161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パネル板係止装置
KR101545168B1 (ko) 경첩과 상기 경첩을 이용한 문짝의 시공방법
JP5216493B2 (ja) ボーダー支柱
CN210622657U (zh) 一种室内移门的钢架龙骨墙面
KR200291498Y1 (ko) 레벨조절용 거푸집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