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136Y1 -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 Google Patents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136Y1
KR960003136Y1 KR2019930006763U KR930006763U KR960003136Y1 KR 960003136 Y1 KR960003136 Y1 KR 960003136Y1 KR 2019930006763 U KR2019930006763 U KR 2019930006763U KR 930006763 U KR930006763 U KR 930006763U KR 960003136 Y1 KR960003136 Y1 KR 960003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support
mounting plate
height adjustab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6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038U (ko
Inventor
전선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전선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전선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림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19930006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3136Y1/ko
Publication of KR9400240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0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6Self-levelling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착판 20 : 고정판
30 : 나사봉 70 : 가구
본 고안은 가구의 수평을 조절하는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하중 가구도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하여 놓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가구 수평 조절용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가구는 실내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수평도가 어느 정도 맞아야 보기 좋게 배치하여 놓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수평도는 공장에서 제작 시에 거의 맞춰 줄 수 있다.
그렇지만 가구가 놓여지는 실내 바닥면은 그 수평 상태가 고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가구의 수평도는 재조정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가구의 수평도를 제조정할 수 있게 하고자 종래부터 여러가지 방식의 것이 실용화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소화 54-124751호, 가구용 어져스터와 동 59-141842호, 수평 설치 장치를 가진 가구를 들 수 있다.
전자는 상단의 지지편과 하단의 보호판이 상호 대칭 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된 구조로 되고, 고무 받침이 하단에 부착된 조절나사가 상기한 지지편을 관통하여 설치된 구조로 되어서 가구 등의 밑면에 상기한 보호판이 장착됨에 따라 가구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또 후자는 통상 사각형으로 되는 가구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에 삼각형상의 장착대가 붙여지고, 이 장착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높이 조절나사의 하단에 받침판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높이 조절 장치는 단지 조절나사를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가구의 국부적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된다.
그러나 전자는 절곡된 형태가 하중을 지지하기에 적합치 않아 장롱 등과 같이 무거운 가구의 경우에는 오래가지 않아 변형되어 수평 조절 상태가 어그러지는 결점이 있고, 후자는 가구의 프레임 측벽에 부착되는 구조이므로 안정된 지지상태를 보장할 수 없음과 동시에 가구의 평단면 형상과 그 넓이에 따라 별개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가구의 하단 밑면에 장착되어서 가구를 안전되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진 새로운 가구 수평 조절용 받침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나사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한 가구의 수평 조절용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한 가구의 측벽에 부착되는 장착판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판을 보유하고, 상기한 장착판의 상단과 고정판의 돌출단 사이로 블래킷이 연결되어 상기한 가구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나사봉의 회동에 따른 가구의 높낮이 조절 효과는 종래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이나,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가구가 고하중인 때에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단품(單品)로 제조될 수 있어서 가구의 평단면 형상이나 넓이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련된 실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장착판(10)은 다수의 나사공(11)이 뚫려지고 하측변이 직교상으로 절곡된 지지부(12)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장착판(10)의 측면에는 "ㄴ"자상 고정판(20)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이 고정판(20)의 중심에는 너트(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너트(21)를 관통하여 통상의 나사봉(30)이 나삽되어 있으며, 이 나사봉(30)은 상단에 욱각머리(31)를 보유함과 동시에 반대측 하단에는 받침봉(33)을 보유하고 있다. 이 받침봉(33)은 제3도에 상세히 묘사하고 있듯이 별도 형성된 받침구(34)에 끼워져 받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받침구(34)는 상기한 받침봉(33)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한편, 장착판(10)의 상방에서 고정판(20)의 돌출변에 이르는 사이로는 블래킷(40)이 연결되어서 고정판(20)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보강시켜 주고 있다.
상기한 블래킷(40)은 중앙에 장공(41)을 보유하고 있고, 이 장공(41)을 통해 상기한 나사봉(30)의 상부가 돌출하고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사용된다.
즉, 가구(70)에서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측벽판(71)의 하단측 밑면(73)에 상기한 장착판(10)의 지지부(12)가 접촉되게 장착되어서 나사공(1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상의 고정 나사에 의해 장착된다.
또 가구(70)의 바닥면(72)에는 통상적으로 높이 조절을 위한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을 통해 나사봉(30)의 육각머리(31)가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적당한 렌치 등을 사용하여 제3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정역 회동시키면 나사봉(30)이 너트(21)의 암나사산(22)을 타고 승강되면서 고정판(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줌에 따라 결과적으로 장착판(10)의 하측 지지부(12) 높이가 변화되어 가구(70)의 수평 조절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사봉을 회동 조작함에 따라 가구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있는 장치로서 가구의 측벽은 장착판의 지지부에 의해 그 밑면에서 받쳐지게 되는 것이므로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로 지지되고, 또한 장착판을 승강시켜 주는 고정판이 블래킷에 의해 견고하게 보강되기 때문에 고하중의 가구에 적용하더라도 전혀 변형되지 않고 정확하게 수평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단품으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가구의 평단면과 그 넓이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실용성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나사봉의 회동 조작에 의해 가구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한 가구의 수평 조절용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한 가구(70)의 측벽(71)으로 부착되는 장착판(10)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고정판(20)이 일체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한 장착판(10)의 상단과 고정판(20)의 돌출단 사이로 중앙에 장공(41)을 보유한 블래킷(40)이 연결된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수평 조절용 받침구.
KR2019930006763U 1993-04-27 1993-04-27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KR9600031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763U KR960003136Y1 (ko) 1993-04-27 1993-04-27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6763U KR960003136Y1 (ko) 1993-04-27 1993-04-27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38U KR940024038U (ko) 1994-11-16
KR960003136Y1 true KR960003136Y1 (ko) 1996-04-16

Family

ID=1935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6763U KR960003136Y1 (ko) 1993-04-27 1993-04-27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31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69Y1 (ko) * 2011-09-19 2013-06-27 양영희 수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038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935B1 (ko) 기구용 자동 레벨링 조립체
KR960003136Y1 (ko)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KR200345764Y1 (ko)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CN214016818U (zh) 一种床具
CN216587877U (zh) 一种建筑施工用支撑顶托装置
CN214030734U (zh) 一种传送结构支撑固定桩
JP2523523Y2 (ja) アジャスター
CN212376198U (zh) 支撑座
CN219794510U (zh) 一种防静电高架地板
KR910006120Y1 (ko) 실내용 칸막이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17276137U (zh) 一种建筑监理用水准仪
CN211288372U (zh) 一种桌腿连接结构及桌子
CN219147005U (zh) 一种转角台面安装结构
JP4006326B2 (ja) 根太支持具及び床部材
CN214739591U (zh) 一种高架地板支架
CN219020951U (zh) 一种淋浴底盘结构及包括该淋浴底盘结构的淋浴房
JPS6028246Y2 (ja) 扇形テ−ブルの天板支持装置
CN218457752U (zh) 一种侧向连接的床用可调节支撑组件
JPH0629431Y2 (ja) 下枠のだれ止め金具
CN214433860U (zh) 一种可调节高度的浴室设备
JPS6028134U (ja) 笠木板の支持金具装置
CN211447618U (zh) 支撑脚架以及上基座
KR19980020846U (ko) 세탁기 받침대
JPH068197Y2 (ja) 二重床パネルの高さ調節装置
JPS6041148Y2 (ja) 高さ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